• 제목/요약/키워드: anti-whitening

검색결과 433건 처리시간 0.036초

B16F10 melanoma cell을 이용한 캐모마일(Matricaria chamomilla L.) 추출물의 미백 효과 (Whitening effect of extracts from Matricaria chamomilla L. with B16F10 melanoma cells)

  • 조재범;김명욱;이은호;김예진;조은비;강인규;조영제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1권3호
    • /
    • pp.267-273
    • /
    • 2018
  • 기능성 천연물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검토하고자 캐모마일 추출물의 미백 효과를 조사하고 melanin 생성 반응에 관여하는 물질 억제에 대한 기전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캐모마일을 water와 60% ethanol을 이용하여 추출하였고, 얻어진 추출물을 phenolic 농도별로 설정하여 tyrosinase 저해 활성을 알아보았을 때, water 추출물의 경우 효과가 미비하였고, 60% ethanol 추출물에서는 농도 의존적으로 저해 활성이 나타내어 melanin 생성 저해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캐모마일 60% ethanol 추출물을 동결건조하여 얻어진 분말을 이용하여 B16F10 melanoma cell에 대한 세포 독성을 측정 결과, $75{\mu}g/mL$의 농도에서부터 독성이 관찰되어 농도 구간을 10, 25, $50{\mu}g/mL$으로 선정하였다. ${\alpha}-MSH$로 자극한 B16F10 melanoma cell에서 melanin 생성량을 측정하여 캐모마일의 melanin 성성 억제 효능과 melanin 생성에 영향을 미치는 단백질인 tyrosinase, MITF, TRP-1, TRP-2의 단백질 발현 억제 효과를 알아본 결과, 캐모마일의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농도 의존적으로 melanin 생성 함량이 감소하였고, tyrosinase, TRP-1, TRP-2, 등의 단백질 발현량 또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캐모마일 추출물은 B16F10 melanoma cell에서 melanin의 생성을 억제하고, melanin 생성 관련 단백질발현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위의 결과들로 인하여 캐모마일은 미백 기능성 식품 산업화를 위한 유용한 자원으로 활용 될 것으로 예상되며, 추후 산업적 응용을 위한 지속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용담화 에탄올 추출물의 항노화 작용 연구 (Study on the Anti-aging Activity of Gentianae sino-ornata Ethanol Extract)

  • 최형욱;리순화;김은주;김수경;이장천;임규상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12
    • /
    • 2015
  • Objective :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extract ofGentianae sino-ornata(GSO) on the anti-oxidative activity of skin.For this purpose, several functions of GSO were analyzed in terms of skin-lightening activity and wrinkle improvement. Methods : Cell viability was measured by neutral red (NR) assay, and GSO showed highly efficacy in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The level of tyrosinase and matrix metalloproteinase-1 (MMP-1) in media was analyzed by ELISA kit, and the expressions of p-JNK and p-ERK was measured by Western blot. To elucidate inhibitory effects of GSO on melanin synthesis, I determined the tyrosinase activity and melanin production in B16F10 cells. Results : MMP-1 production in UVB-stimulated HDF cells was inhibited by GSO treatments, and also GSO inhibited protein expression levels of p-JNK and p-ERK. GSO significantly reduced tyrosinase activity and melanin synthesis in B16F10 cells. Conclusions : From these results, GSO appears to be effective on skin elasticity increase, wrinkle improvement, whitening as anti-aging activity.

항노화 화장품 원료로서의 N-Acetyl-D-glucosamine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N-Acetyl-D-glucosamine as the Anti-aging Cosmetic Ingredients)

  • 표영희;김영은;문지선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706-716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게나 새우의 껍데기에서 추출된 키틴을 탈아세틸화 하여 얻은 NAG를 화장품 원료로서 적용하고자 하였다. NAG와 GLC를 비교하기 위하여 피부세포에 대한 세포독성, 항염증, 멜라닌 생합성 억제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피부에 적용하였을 때 멜라닌과 홍반변화의 효과를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Raw 264.7세포와 B16F10세포에 대해 유의한 세포독성을 나타나지 않았으며, Raw 264.7세포에서 LPS에 의해 유도된 NO 생성 항염증 저해효과는 미비 하였고, NAG는 B16F10세포에 ${\alpha}$-MSH로 멜라닌 생성을 유도한 후 멜라닌 생합성 억제능을 측정한 결과 멜라닌의 생성 증가를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로 NAG가 함유된 크림을 만들어 피부에 적용하였을 때 멜라닌 지수, 홍반지수의 감소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를 보여 NAG 함유 화장품이 피부미백개선을 위한 기능성화장품으로 활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나무잎 추출물에 의한 삼베와 모시섬유의 염색성 (Dyeing Property of Bamboo Leaves Extract on Hemp and Ramie Fiber)

  • 민경혜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438-444
    • /
    • 2011
  • Bamboo leaves, as natural dye provide unartificial fresh green, are known for expert property at anti-bacterial, anti-aging, anti-oxidation, skin whitening, moisturizing, peeling of horny, deodorizing and some skin disease like as eczema and inflammation without any allergic response. Also, It is quite common to obtain bamboo leaves from our surrounding but most of them were not in use. On purpose of development the way of recycle with common material to dye, bamboo leaves were used to dye on ramie fiber which is valuable for both of apparel and industrial field and investigated their dyeing property. Using extract from bamboo leaves, dyeing property was examined with dyeability, colorimetric property, light fastness and wash fastness under different conditions by extract density, dyeing time, dyeing method and mordants. As results, dyeing was generally colored in yellowish, K/S Value was shown more higher on hemp fiber than ramie. The most optimum dyeing condition was investigated on pre-mordant treatment, dyeing temperature $60^{\circ}C$, dyeing time 30min and extract density 400%. On the treatment with mordant(Al, Fe, Cu), dyebility on both of hemp and ramie fiber were increased by mordant. Especially with Copper(Cu) as mordant, dyebility was highly increased than any other mordants and dyeings showed in deep color. Also on the fastness test which is the most important to natural dyeing, wash-fastness showed good performance with 4-5 grade but light-fastness was above 4 grade on both of hemp and ramie fiber, lower than wash-fastness overall.

추출조건에 따른 진피(陳皮) 및 승마(升麻) 추출물의 미백 활성효과 (Inhibitory Effect of Citrus Unshiu Peel and Cimicifuga Dahurica Extracts on Melanogenesis accroding to the Various Extraction Methods)

  • 이윤정;송현우;이보리;나혜림;송봉준;이영미
    •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4-36
    • /
    • 2022
  • Objectives: Excessive melanin production leads to skin pigmentation, which causes various cosmetic and health problems. Citrus unshiu Markovich peel (CS) and Cimicifuga dahurica (CD) have long been widely used as a oriental medicinal plant because of their pharmacological properties including anti-ulcer,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properties. Method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inhibitory effects of CS, CD extracts or CS:CD=1:2 mixture on melanogenesis according to the various extraction methods. CS and CD extracted were prepared by ethanol extraction (EE), ultrasonification extraction (USE), Supercritical extraction (SCE), reflux extraction (RE), respectively. Results: DPPH radical scavenging and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of CD extracts or CS:CD=1:2 mixture were increased in dose-dependent manners. In addition, we evaluated the effect of CS, CD extracts or CS:CD=1:2 mixture on tyrosinase activity and melanogenesis in α-melanocyte stimulating hormone-induced B16-F10 melanoma cells. CS, CD extracts or CS:CD=1:2 mixture significantly inhibited tyrosinase activity and melanogenesis at 10-200 ㎍/mL. Conclusions: Therefore, our study suggests that CS and CD extracts have potential as a safe treatment for excessive pigmentation or as a natural ingredient in cosmetics.

승마, 황련, 황백, 후박 추출 혼합물의 항노화 및 멜라닌 생성 저해효과 (Anti-aging and Anti-melanogenesis Effect of Cimicifuge dahurica, Coptis chinensis, Phellodendri amurense and Magnol obovata Extracts Mixture)

  • 신서연;김규원;강세원;조홍석;김은지;박경목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1-10
    • /
    • 2017
  • 한의학에서 승마(Cimicifuge dahurica, C. dahurica), 황련(Coptis chinensis, C. chinensis), 황백(Phellodendri amurense, P. amurense) 추출물은 해독작용을 하며 후박(Magnol obovata, M. obovata) 추출물은 항균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승마, 황련, 황백, 후박 추출물을 혼합하여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써의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MTT assay를 이용한 세포 독성평가와 DPPH와 ABTS를 이용한 항산화 효과를 측정한 결과, 단일 추출물보다 추출혼합물이 더 안전함을 확인 하였으며 농도 의존적으로 항산화 활성이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뿐만 아니라 NO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우수한 항염증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며, 섬유아세포에서 UVB로 유도된 세포 손상을 보호하면서 type 1 pro-collagen 합성량이 증가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또한 추출 혼합물은 melanin 합성과 tyrosinase 활성 및 melanin 합성 관련 인자 및 효소들(MITF, tyrosinase, TRP-1, TRP-2)의 발현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로 보아 승마, 황련, 황백, 후박 추출 혼합물은 항노화 및 미백 등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써 개발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효소(Protopectinase) 처리한 대두가 세포내 멜라닌 생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oybean Protopectinase on Melanin Biosynthesis)

  • 유진균;이진희;조형용;김정국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355-362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효소처리 한 대두추출물의 항산화 및 미백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DPPH 및 hydroxyl radical 포착활성을 측정하였고, 멜라닌 생성의 첫 단계인 tyrosinase 활성, mouse melanoma B16BL6 세포 생존율 및 TRP-1, TRP-2 발현 저해활성을 측정하였다. 또한 기존의 기계적 마쇄 가공한 대두추출물과 효소처리 가공한 대두추출물의 항산화 및 미백효과를 비교 조사하였다. 효소처리 한 대두추출물의 DPPH radical 소거능과 hydroxyl radical 소거능이 마쇄처리 한 추출물보다 높았으며, 특히 효소처리군이 마쇄군에 비하여 20% 이상 높은 항산화력을 나타내었다. 또한 마쇄군에 비하여 효소처리군이 tyrosinase와 TRP-1, TRP-2의 더 높은 활성 억제능을 보였다. 이는 대두가 B16BL6 melanoma 세포의 tyrosinase 단백질의 활성을 저해시킴으로써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데 효과적임을 의미하는 동시에 효소처리에 의하여 대두의 영양소의 손실이 더 적었음을 나타낸다. 결론적으로 효소처리에 의한 대두 추출물은 항산화 활성과 미백 효과가 우수하여 기능성 화장품의 천연 소재로서 활용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참깨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melanoma cell (B16F10)에서 MITF, TRP-1, TRP-2, tyrosinase 의 발현 저해 (Anti-oxidant Function and Inhibitory Effects of the Expression of MITF, TRP-1, TRP-2 and Tyrosinase of Sesamum indicum L. in B16F10 Melanoma Cells)

  • 유단희;주다혜;이진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318-324
    • /
    • 2017
  • 본 연구는 참깨 70%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와 미백효과를 검증하여 나타내었다. 참깨 추출물의 전자공여능 측정실험은 $1,000{\mu}g/ml$에서 71.7%의 효과를 나타냈으며, tyrosinase 저해활성 측정은 $1,000{\mu}g/ml$의 농도에서 42%의 효과를 보였다. 참깨 추출물의 세포 생존율을 melanoma cell (B16F10)에서 확인하기 위하여 MTT assay를 진행하였으며, 세포 생존율을 측정한 결과, $1,000{\mu}g/ml$ 농도에서 84.3%의 독성을 보였다. 이하의 세포실험에서는 세포 생존율이 90% 이상되는 농도인 $500{\mu}g/ml$ 이하에서 실험을 진행하였다. 참깨 추출물의 MITF, TRP-1, TRP-2 및 tyrosinase의 단백질 발현 효과를 50, 250, $500{\mu}g/ml$ 농도에서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 MITF, TRP-1, TRP-2 및 tyrosinase의 각각 $500{\mu}g/ml$ 농도에서 68.3%, 39.2%, 89.7%, 22.3%의 단백질 발현 억제 효과를 보였다. 또한, MITF, TRP-1, TRP-2 및 tyrosinase의 mRNA발현을 RT-PCR로 50, 250, $500{\mu}g/ml$ 농도에서 측정하였고, 양성 대조군으로 GAPDH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참깨 추출물의 $500{\mu}g/ml$ 농도에서 각각 81.8%, 66.5%, 84.2%, 68.1%의 mRNA 발현이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부터 참깨 추출물의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N-Linked Glycosylation 저해에 의한 닭의장풀 추출물의 미백효능 (Whitening Effect of Dayflower (Commelina communis L.) Extract by Inhibition of N-Linked Glycosylation Process and Melanogenesis)

  • 박선희;이방용;이승현;한창성;김진국;김경태;김기호;김영희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73-78
    • /
    • 2009
  • 닭의장풀(Commelina communis L. Dayflower) 추출물의 미백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B16 melanoma 세포를 이용하여 melanin 생성에 관련된 다양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닭의장풀 추출물은 버섯 tyrosinase 활성 실험에서 저해 효과를 보이지 않았으나, melanin 생성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B16-F10 멜라노마 세포를 이용한 활성시험 결과에서, 닭의장풀 추출물은 1,000 ${\mu}g/mL$의 농도에서 약 32%의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였으며, 세포내 티로시나제 활성 억제 능도 우수하여 닭의장풀 추출물 250 ${\mu}/mL$ 이상의 농도에서 50% 이상의 저해 효과를 보였다. 추출물의 생성 기작에 대한 영향을 조사한 결과, melanin 합성의 key protein 인 tyrosinase 발현의 우수한 저해 능력을 보였고, tyrosinase related protein-1 (TRP-1)의 발현 억제와 tyrosinase related protein-2 (TRP-2)의 N-glycosylatin 억제를 통해 melanin 합성이 억제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닭의장풀 추출물은 melanin 합성에 필수적인 효소(tyrosinase, TRP-1)의 발현 저해 및 TRP-2의 N-glycosylation 억제를 통해 미백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에 따라 본 추출물은 melanin 합성의 효소 경로를 저해하는 미백 소재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미백성 Tyrsoinase 저해물질 생산 비병원성 야생효모 Saccharomyces cerevisiae WJSL0191와 Papiliotrema laurentii ON30의 균학적 특성과 Tyrosinase 저해물질의 생산 (Micro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Whitening Tyrosinase Inhibitor-producing Wild Yeasts, Saccharomyces cerevisiae WJSL0191 and Papiliotrema laurentii ON30 and Production)

  • 김지윤;이종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285-296
    • /
    • 2020
  • 본 연구는 야생효모로부터 미백성 tyrosinase 저해 물질을 생산하여 기능성 화장품 생산에 응용할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위해 대전광역시 3대 하천과 충남 금산의 향신료 재배지의 주변 토양들과 부식물 등에서 분리한 비병원성 효모들의 tyrosinase 저해활성을 측정하여 우수 균주들을 선발하여 이들의 균학적 특성과 tyrosinase 저해제 생산 조건을 조사하였다. 먼저 대전시 하천에서 분리한 야생효모들 중에서는 S. cerevisiae WJSL0191의 무세포추출물이 가장높은 33.2%의 tyrosinase 저해활성을 보였고 금산 향신료 재배지에서 분리한 효모중에서는 P. laurentii ON30가 27.3%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여 이들 두효모들을 우수균주들로 최종 선발하였다. 선발균주 모두 자낭포자를 형성하였으나 의균사를 형성하지 않았고 YPD 배지와 비타민을 첨가하지 않은 YPD 배지에서 잘 생육하였다. 특히S. cerevisiae WJSL0191은 20% 포도당을 함유한 YPD 배지와 15% NaC을 함유한 YPD 배지에서 잘 생육하는 내당성과 호염성을 보였다. S. cerevisiae WJSL0191과 P. laurentii ON30의 주름생성 억제에 관련된 elastase 저해 활성은 각각 26.2, 18.6%를 보였고 노화 억제관련 SOD유사활성은 각각 10.2%와 3.7%로 나타내었다. S. cerevisiae WJSL0191의 tyrosinase 저해물질의 최적 생산 조건은 30℃에서 72시간동안 YPD 배지에서 배양하였을 때 최고 96.1%의 저해활성을 보였고, P. laurentii ON30은 YPD 배지로 20℃에서 24시간 배양하였을 때 30.4%의 최고 저해활성을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