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olescents depression

검색결과 590건 처리시간 0.035초

잠재성장모형을 이용한 청소년의 비공식 낙인이 자아존중감, 불안우울,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The impact of informal labeling on self-respect, depression/anxiety, and aggression of adolescents using latent growth model)

  • 박옥자;김혜경
    • 한국가족관계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3-24
    • /
    • 2018
  • Objective: This study examined the change of informal labeling self-respect, depression/anxiety, and aggression of adolescents over time and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cept and the growth of the variables. Method: 4-year longitudinal panel data(n=2,699), Korea Youth Panel Survey (KYPS), were analyzed to verify the influence of informal labeling on self-respect, depression/anxiety, and aggression of adolescents. Through latent growth modeling, temporal change of the variables was examined. Results: Analytic results are as follow. First, the initial status of informal labeling had a negative impact on the initial status of self-respect. The slope of informal labeling also had a negative impact on the slope of self-respect. In contrast, the initial status of informal labeling did not have an significant impact on the slope of self-respect. Second, the initial status of informal labeling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initial status of aggression. The slope of informal labeling had a negative impact on the slope of aggression. In contrast, the initial status of informal labeling did not have an significant impact on the slope of aggression. Third, the initial status of informal labeling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initial status of depression/anxiety and a negative impact on the slope of depression/anxiety. The slope of informal labeling had a positive impact on the slope of self-respect. Conclusions: The results suggest the importance of informal labeling on self-respect, depression/anxiety, and aggression of adolescents.

학교 밖 청소년의 진로장애가 자아존중감과 우울을 통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Career Barrier on Smart-phone Addiction through Self-esteem and Depression among Out-of-school Adolescents)

  • 이래혁;이재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9호
    • /
    • pp.431-445
    • /
    • 2021
  • 본 연구는 학교 밖 청소년의 진로장애가 자아존중감과 우울을 통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사회복지 실천 함의를 제공하려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러한 연구문제를 규명하기 위해 본 연구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구축해놓은 학업중단 청소년 패널 조사의 원자료 중 일부를 활용하여 PROCESS macro 분석 방법을 통해 진로장애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직·간접적 영향을 검증하였다. 먼저, 분석을 통해 학교 밖 청소년의 진로장애는 스마트폰 중독을 유의미하게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학교 밖 청소년의 우울은 진로장애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였으나 자아존중감은 매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학교 밖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우울은 진로장애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이중매개하고 있었다. 즉, 진로장애는 자아존중감을 낮췄고, 낮아진 자아존중감은 우울을 증가시켰으며, 증가된 우울은 최종적으로 스마트폰 중독을 증가시켰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학교 밖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에 개입하기 위한 다양한 실천적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청소년의 자아상과 사회적 민감성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자아상-우울-불안-사회적 민감성간의 구조적 관계분석 (A STUDY OF RELATIONSHIP BETWEEN SELF-IMAGE AND SOCIAL SENSITIVITY IN ADOLESCENTS : THE STRUCTURAL RELATION AMONG SELF-IMAGE, DEPRESSION, ANXIETY, AND SOCIAL SENSITIVITY)

  • 신민섭;소준현;홍강의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7권1호
    • /
    • pp.61-67
    • /
    • 1996
  •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자아상과 우울, 불안, 그리고 사회적 민감성간의 구조적 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해보고자 하였다. 우선, 자아상이 부정적인 청소년들이 자아상이 긍정적인 청소년보다 더 우울하고 불안하며 대인 관계나 사회적 상황에서 더 예민한 반응을 보이는 지를 알아보고자 하였고, 두번째로는 낮은 자아상이 사회적 민감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지 , 아니면 낮은 자아상을 가진 청소년들이 우울이나 불안감을 더욱 느끼게 되고, 그 결과 사회적 민감성이 증가되는지 그 인과적인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 고등학교에 재학중인 남, 여 학생 총 1,602명 (남자 697명, 여자 905명)에게 Offer의 자아상 척도와 간이 정신진단 검사의 하위 척도중 우울, 불안, 사회적 민감성 척도를 실시한 후, 자아상이 낮은 집단과 높은 집단간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자아상이 낮은 집단이 자아상이 높은 진단에 비해 우울.불안, 사회적 민감성 척도점수상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 점수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아상과 우울, 불안, 사회적 민감성간의 구조적 관계를 LISREL로 분석한 결과, 자아상이 사회적 민감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준다기 보다는, 자아상이 낮은 청소년들은 자기 자신에 대해 우울이나 불안감을 느끼게 되고, 그로 인해 사회적 민감성이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들이 사회적 불안과 대인 공포를 발전시키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긍정적 자아상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해주었고. 사회 공포증 청소년 환자에 대한 치료및 예방에 있어 임상적 시사점을 가지는 것으로 논의되었다.

  • PDF

The Effects of Group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on the Improvement of Depression and Anxiety in Adolescents with Problematic Internet Use

  • Kim, Sang-Hyun;Yim, Hyeon-Woo;Jo, Sun-Jin;Jung, Kyu-In;Lee, Kina;Park, Min-Hyeon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9권2호
    • /
    • pp.73-79
    • /
    • 2018
  • Objectives: The overuse of the Internet among adolescents has increased dramatically in recent years, leading to pathological or problematic Internet use.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CBT) is known to be effective for the treatment of problematic Internet use, particularly for adolescents.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the therapeutic efficacy of group CBT for problematic Internet use in adolescents. Methods: A total of 17 patients aged 12-17 years who met Young's diagnostic questionnaire criteria of problematic Internet use participated in a school-based eight-session group CBT program. The level of problematic Internet use among participating students was measured using Young's Internet Addiction Scale (IAS). Depression and anxiety levels were evaluated using the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 (CDI) and the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TAI), respectively. Each construct was assessed at baseline, immediately after the intervention, and at a one-month follow-up visit.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based on a p-value of <0.05. Results: Immediately after the program, the IAS, CDI, and State Anxiety Inventory (SAI) score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before the program. At the one-month follow-up assessment, the IAS scores remained low, and the CDI and SAI scores were even lower than immediately after the program. Conclusion: Group CBT was effective for adolescents with problematic Internet use, and was also demonstrated to improve depression and anxiety.

청소년의 사회적 위축과 학교 환경이 스마트폰 의존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과 우울의 매개효과 (Impact of Social Withdrawal and School Environment on Adolescents' Smartphone Dependenc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and Depression)

  • 손신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2호
    • /
    • pp.577-586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의 영향 요인들을 확인하고, 요인들 간의 작용하는 직·간접 경로를 통해 스마트폰 의존에 미치는 영향정도를 확인하는 것이다.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KCYPS 2018)의 2차년도 자료를 이용하였고, SPSS 26.0 및 26.0 AMO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여섯 개의 경로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자아존중감과 우울이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사회적 위축과 학교 환경은 자아존중감과 우울을 매개 요인으로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에 영향을 미쳤다. 청소년의 스마트폰 의존은 개인적 요인뿐 아니라 학교 환경과 같은 사회적 요인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는 청소년들의 스마트폰 의존을 예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근거자료로 제시될 것이다.

중국 연변지역 내 해외취업가정 청소년의 우울·불안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자아정체감의 조절효과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Identity in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Anxiety, and School Adaptation of Adolescents from Overseas-Employed families of Yanbian in China)

  • 박수영;김순규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9권5호
    • /
    • pp.689-697
    • /
    • 2019
  • 본 연구는 연변지역 조선족 가족으로 부모가 해외취업 중인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연구이다. 부모가 해외취업중인 청소년은 부모와의 장기적인 별거로 심리·정서적 어려움을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데, 본 연구는 부모와의 장기 별거로 우울·불안을 경험하는 청소년의 학교적응을 살펴보고 우울·불안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자아정체감의 조절효과를 검토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연변지역 중·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청소년 28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해외취업가정 청소년에 해당하는 총 167부의 설문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는 SPSS 24.0을 이용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중국 연변지역 내 해외취업가정 청소년의 우울·불안은 학교적응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우울·불안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자아정체감의 조절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에서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연변지역 내 해외취업가정 조선족 청소년의 우울·불안 수준을 줄이고, 자아정체감의 향상을 통해 학교적응을 높일 수 있는 실천적 대안들을 제시하였다.

다문화청소년의 신체만족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우울감과 교우관계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Body Satisfaction on Life Satisfaction :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esion and Friendship)

  • 맹미숙;천미정;정영심
    • 산업융합연구
    • /
    • 제19권4호
    • /
    • pp.127-134
    • /
    • 2021
  •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청소년의 신체만족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우울감과 교유관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2017년 다문화패널(MPAPS) 중 청소년을 대상으로 조사한 7차 년도 자료를 사용하였다. 표본은 조사당시 고등학교 1학년에 재학 중인 1,146명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 기술통계, 상관분석을 진행하였다. 더불어 우울감과 교우관계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 다문화청소년의 신체만족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우울감과 교우관계가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다문화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 향상을 위한 우울감 감소와 원만한 교우 관계 증진을 위한 사회복지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 및 실천적 함의의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청소년기 우울증의 한약치료에 관한 주제범위 문헌고찰 (A Scoping Review of Herbal Medicine for Depression in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 김예지;서혜선;김상민;이선행;이진용
    •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26-39
    • /
    • 2022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llect reported but scattered data on herbal medicine treatment for depression in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and to establish future research directions for this topic. Methods Using the scoping review method, 10 Korean and foreign databases were searched for studies published up to March 22, 2022. Studies targeting children and adolescents diagnosed with depression, studies using herbal medicine treatments, and clinical studies were included. Results Twelve randomized clinical trials, two chart reviews, and six case reports were identified. Frequently used Korean medical patterns, treatment methods, herbal medicines, decoctions, treatment periods, and post-treatment evaluation results were analyzed. Differences in the confirmed results from actual clinical settings were reviewed, and the direction of follow-up research on this topic was suggested. Conclusions This study outlined the results of various levels of clinical research on herbal medicine treatment for depression in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showed the clinical availability of herbal medicine, and provided a foundation for future research.

청소년 우울 측정을 위한 CES-D와 RADS-2-K 도구의 비교 (Comparison of CES-D and RADS-2-K in Measuring Adolescent Depression)

  • 성경미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53-62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scales measuring adolescent depression. Methods: A cross-sectional survey was conducted using CES-D and RADS-2-K as sales measuring adolescent depression. The participants were 1,217 adolescents from two middle schools located in South Korea.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WIN 21.0. All the items included in the two instruments were analysed through content analysis. Results: The study revealed that the two instruments produced different results in the number of depressive students, depression levels according to subjects' characteristics, and item distribution based on content analysis. The total number of the students belonging to the depression group was 194, including 132 from CES-D and 183 from RADS-2-K. Based on the content analysis covering two categories, general and adolescent depression, the study determined fifteen subcategories in the items of the two scales. Conclusion: In this study, CES-D showed less sensitivity than RADS-2-K in depression levels according to factors relevant to adolescent depression, and both scales had no item for three subcategories of adolescent depression and one subcategory of general depression. The researcher suggests that further studies to evaluate the validity of adolescent depression scales will be useful for helping adolescents with depression.

우울 청소년의 건강경험 - Newman의 실무연구방법론을 근거로 - (Health Experience of Depressive Adolescents: Reflected from Newman's Praxis Methodology)

  • 권영란;이정숙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217-228
    • /
    • 2009
  • Purpose: Guided by Newman's theory of health as expanding consciousness, this study was done to explore the health experience of adolescents having depression. Methods: The researcher engaged in six to eight in-depth interviews with six adolescents. To begin the dialog, the researcher asked each participant to recount the first important memory he/ she had. All the narrative and diagram sharing between the researcher and participants were summarized according to recognized patterns and later elaborated in following interviews based on Newman's praxis methodology. Results: The significant individual pattern of early health experience was during the binding stage. At the turning point, individual patterns for participants revealed a personal journey of self-discovery and then emergence of reflecting behaviors. After the turning point, the participants changed as they evolved from the initial period of disruption and disorganization to organization at a higher level. The results suggest that adolescents who are depressive find new ways of relating to friends, family, healthcare providers, and the community by expanding their consciousness. Conclusion: Newman's praxis methodology is a good way of helping and studying adolescents with depression because it emphasizes participant-nurse/researcher partnership and pattern recognition as nursing pract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