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dmissibility

검색결과 75건 처리시간 0.027초

디지털 증거능력 확보 강화를 위한 디지털 포렌식 연구동향 메타분석 (Meta Analysis on Digital Forensics Research Trends for Securing its Admissibility of Digital Evidence)

  • 류보라;전민서;지주연;이찬우;장항배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23-32
    • /
    • 2017
  • 최근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에 따라 디지털 정보를 포함한 다양한 데이터들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이러한 데이터의 활용이 보편화된 최근의 사회는 수사와 재판과정에도 많은 변화를 주었다. 하지만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고 있는 디지털 증거에 대한 기술력과 분석력의 진보에 비해 디지털 포렌식 관련 법과 제도의 확립은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디지털 증거의 법적인정을 위해서는 균형 잡힌 연구의 활성화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포렌식 관련 연구동향을 파악하고, 연구 활성화를 위한 객관적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메타분석을 진행하였다.

처리(處理)들과 대조(對照)와의 비교(比較)를 위한 부분(部分)BTIB실험계획모형(實驗計劃模型) (Partially BTIB Designs for Comparing Treatments with a Control)

  • 김광훈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1권
    • /
    • pp.7-33
    • /
    • 1990
  • Bechhofer and Tamhane(1981) developed a theory of optimal incomplete block designs for comparing several treatments with a control. This class of designs is appropriate for comparing simultaneously $p{\geq}2$ test treatments with a control treatment (the so-called multiple comparisons with a control (MCC) problem) when the observations are taken in incomplete blocks of common size $K{\<}p+1$. In this paper we want to extend to partially BTIB designs with two associate classes for the MCC problem. We propose a new class of incomplete block designs that are partially balanced with respect to test treatments. Because the class of designs that we consider is larger than the class of designs in Bechhofer and Tamhane and provides us with designs that improve on the optimal designs in their class. We shall use the abbreviation PBTIB to refer to such designs. We study their structure and give some methods of construction. Also we describe a procedure for making exact joint confidence statements for the MCC problem in PBTIB Designs with two associate classes. We study Optimality, Admissibility considerations in PBTIB designs with two associate classes.

  • PDF

응급구조사 업무범위 확대를 위한 입법 타당성 연구 : 중요도와 필요도 및 허용도가 높은 업무를 중심으로 (Legislation feasibility studies for expanding the business scope of paramedics: Focused on high level task in importance, need and allowance)

  • 한송이;지현경;윤성우;이창희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17-138
    • /
    • 2015
  • Purpose: This study was performed targeted to paramedic and doctors, to examine the frequency, importance, and admissibility of the tasks of paramedics, and to establish as a basis for expanding their business scope. Methods: The subjects were 282 paramedics and 58 doctors, and the study was performed from October 20 to November 19, 2014.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done by using SPSS/WIN 20.0.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legal business scope of paramedics and the actually performed work. The frequently covered areas were trauma, cardiac arrest, and respiratory care; however, severity classifications were the most important. Concerning drug administration, epinephrine administration seemed to be the most necessary. Conclus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to broaden the capacity building and business scope of paramedics. Furthermore, to increase the resuscitation rate of emergency patients, the various tasks of paramedics must be incorporated, and these should be supported by laws and institutions.

디지털 포렌식 증거 채택 기준의 한계와 개선 방안 (Limitations and Improvements of Adoption Criteria for Digital Forensic Evidence)

  • 김민수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35-43
    • /
    • 2018
  • 현재 디지털 증거는 증거 채택에 있어 자유심증주의를 택하는 바, 채택의 기준이 명확하지 못하며, 분산처리 기법으로 디지털 증거의 분석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나 암호기술의 발전 등으로 영장청구 제한시간인 48시간에 적합하지 못한다는데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민/형사 소송절차에서의 증거능력과 증명력을 판례를 중심으로 분석하여, 자유심증주의를 대체할 객관적이고 세부적인 채택기준의 필요성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또한, 포렌식 관점에서의 영장 청구 제한시간에 대한 문제점과 이에 대한 개선안으로 디지털 증거분석 사전신청제를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사이버범죄의 대응강화를 위한 디지털 포렌식 수사 활용방안 (The application of digital forensic investigation for response of cyber-crimes)

  • 오세연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4호
    • /
    • pp.81-87
    • /
    • 2015
  • 본 논문에서는 최근 증가하고 있는 다양한 사이버범죄에 대한 대응강화를 위해 국내에서 발생하고 있는 사이버범죄의 발생현황과 경찰청의 디지털 포렌식 활용실태를 살펴 본 후 사이버범죄의 수사와 범인검거에 있어 좀 더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사이버범죄 대응 디지털 포렌식 모델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 모델은 디지털 포렌식 분석기를 통하여 수집된 데이터를 언어지원시스템에 의해 다양한 개별언어를 표준화된 데이터로 처리하고, 처리된 데이터는 범죄혐의를 입증하는데 있어 법적 증명력이 있는지 여부를 검토하여 법적증명력이 있다고 분석된 데이터들은 다시 경찰 등의 수사기관에 알려주게 되어 신속한 수사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수사기관은 파일시스템에 직접 접근하여 디지털 증거능력 여부를 조회 확인 할 수 있게 함으로써 보강수사에 대한 수사절차와 시간을 최소화 하고, 디지털 포렌식에 의해 분석된 데이터는 디지털 포렌식 저장기에 다시 저장하여 모아진 데이터를 통해 향후 범죄예측과 예방에 활용하게 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사이버범죄 감소의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다.

사이버 범죄 수사를 위한 사이버 포렌식 범주 온톨로지 (Cyber forensics domain ontology for cyber criminal investigation)

  • 박흠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3권8호
    • /
    • pp.1687-1692
    • /
    • 2009
  • 사이버 포렌식은 사이버 공간에서 일어나는 범죄 수사로 디지털 포렌식의 처리 절차와 기술적 방법을 그대로 사용한다. 사이버 범죄에는 사이버 테러와 사이버 공간을 이용한 일반사이버 범죄로 나눌 수 있는데 대부분 서로 연관되어 있다. 그리고 사이버 테러 수사에는 높은 수준의 조사 기법과 시스템 환경, 분야별 전문가가 필요하며, 일반 사이버 범죄는 사이버 공간에서의 디지털 증거에 의해 일반 범죄와 연결되어 있다. 그래서 관련 범죄 유형 판단이나 증거 수집, 법적 증거 능력 확보에 많은 어려움이 겪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사이버 범죄 분류, 사이버 공간에서의 증거 수집, 사이버 범죄 관련 법 적용 등에 초점을 두었고, 효율적인 사이버 범죄 수사를 위한 사이버 범죄에 대한 개념 통합이 필요하여 사이버 범죄 분류, 관련 법률, 증거, 피의자, 사건 정보 등의 개념과 속성과 관련도를 이용한 개념망으로 사이버 포렌식 범주 온톨리지를 구축하였다. 이 온톨로지는 사이버 사건 수사 절차와 범죄 유형, 사건, 증거, 용의자 등의 분류, 클러스터링, 연관 검색, 탐지 등의 데이터 마이닝에 활용할 수 있다.

포렌식에서 디지털 증거의 우선순위 스케쥴링 (Priority Scheduling of Digital Evidence in Forensic)

  • 이종찬;박상준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9호
    • /
    • pp.2055-2062
    • /
    • 2013
  • 범죄 증거의 새로운 형태인 디지털 증거는 기존의 증거와 기능 및 역할에 있어서 거의 차이점이 없으며, 증거로서의 법적 인정 및 역할이 점차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포렌식 수사관은 다수의 증거 보유 장치(예, 컴퓨터 시스템, 저장 매체 등)에 저장되어 있는 막대한 양의 데이터로부터, 사건과 관련된 실마리를 찾기 위하여 많은 시간을 소모해야 한다. 따라서 조사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서는 잠재적인 관련 증거의 중요성에 근거하여 순서화 및 순위화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포렌식 조사 시에, 정확한 증거를 선정하게 함으로서 증거 분석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식은 증거 조사 소요시간, 증거의 가치, 증거간의 연관성 그리고 사건과 시간과의 연관성과 같은 다수의 부정확한 요소가 퍼지 집합 함수를 사용한 의사 결정에 사용되는 다기준 의사 결정에 근거한다.

수사실무 및 법과학 지침서로서 「흠흠신서(欽欽新書)」의 재해석 (Reinterpretation of Heumheum Sinseo as Investigation and Forensic Manual)

  • 김은기;조현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583-590
    • /
    • 2016
  • 흠흠신서(欽欽新書)에 관해 법률서로서의 그 가치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져 왔으나, 수사실무 및 법과학 서적으로서의 가치에 대한 연구는 거의 전무한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다산의 흠흠신서(欽欽新書)가 가지는 법과학적, 수사 실무서로서의 가치를 탐구하고 재발견 해보고자 한다. 범죄수사 및 처벌에 관해 다산은 인도주의에 입각한 정의 관념과 합리주의를 기본이념으로 삼고, 무죄추정의 원리, 신속한 수사의 원리, 자백의 증거능력의 제한 등을 통해 현대 민주적 형법사상에 접근하였다고 평가받고 있다. 또 수사기법에 있어서는 진술을 청취함에 있어서 언어적 단서 뿐 아니라 비언어적 단서의 중요성 역시 강조하고 있으며, 당대의 과학 수준에서 가장 합리적이고 과학적인 수사기법들을 소개하고 있다. 이 연구를 통해 흠흠신서가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에게도 여전히 "실용적"가치를 지니고 있음을 재발견하고 "온고지신(溫故知新)"의 의미를 다시 한 번 되새기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여대생의 성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성행동에 관한 연구 - 보건계열과 비보건계열을 중심으로 - (The Research on Sexual Knowledge, Attitude and Behavior of the Woman Student - Oriented to Health and Non-health Groups -)

  • 최혜정;강진아;김연희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9-44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substantial foundation to establish effective sex education plan for female college students. For this purpose, we compared female college students with health related majors and the ones with non-health related majors in knowledge in sex, attitude toward sex, and sexual experience. We took the form of self-recording to survey 269 single female college students. The result is as follows. For knowledge in sex, including reproductive organs, contraception, delivery, sexual disease, and sexual intercourse, students with health-related majors(20.59) gained higher scores than students with non-health related majors(16.82). Scores for attitude toward sex indicated 2.43 for the health related majors and 2.35 for the non-health related majors. Attitude toward pre-marital sex, sex admissibility, and abortion showed especially distinct result between the two groups. Whether a student has ever engaged in sexual intercourse served as a significant variable to determine knowledge in sex overall, and the indexes such as sexual pleasure, chasteness, marital values, and attitude towards sex indicated significant differences. The result may be interpreted that the students with sexual experience tend to show more open attitude toward sex. The result indicated that contraception, pregnancy, and delivery were the parts that the participants most wanted to be educated on. Knowledge in sex is both positively correlated with attitude toward sex and sexual behavior. Also, the result indicates that knowledge in sex, both subjective and objective, significantly affects sexual behavior.

  • PDF

폭발사고시 효과적인 과학수사 방법에 관한 연구 (Research on Effective Scientific Investigation Methods with Regards to Explosion Accidents)

  • 전상근;채종민
    • 대한수사과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72-87
    • /
    • 2006
  • Accidents and terrorist acts that utilize explosives have a great influence on society and thus require a prompt investigation for the arrest of the culprit. However, such investigations are often met with difficulties due to the vastness of the crime scene, restrictions on approaching the scene, fragility of the evidence, complexity of investigation, and the lack of expertise. In spite of such facts, scientific investigation regarding explosives have not been widely studied in Korea. Therefore, the focus of this research primarily concerns the effective scientific investigation methods in cases of accidents that involve chemical explosives. Although the a systematic investigation method is at the heart of scientific investigation in cases of explosive accidents, it is only at its rudimentary stage. Therefore, in this research, a systematic investigation method is put forth for the 'scene investigation, the documentation of the scene, and the collection and processing of evidence. Further, I have set forth a 'scene investigation check list' the ensure a thorough scene investigation and to promote an exhaustive evidence collection that would guarantee the admissibility of such evidence in court. The above efforts were aimed at simplifying the currently complicated investigation system. 1) In the future, a guidebook that can be generally applied to accidents involving explosives in Korea ught to be produced, a continual systematic education and integrated training excises for investigators ought to be established, laws that require additives in explosives ought to be instituted so that the type, components, and source of explosives can be identified, and lastly, a database that contain information on former explosion accidents, trends, and techniques of criminal activities that involve explosion accidents should be compil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