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chievement evaluation

검색결과 821건 처리시간 0.023초

팀워크와 동료학습이 전문대학 물리학 수업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eamwork and Peer Learning on Academic Achievement in Physics Class at Junior College)

  • 김미라;조영
    • 공학교육연구
    • /
    • 제23권6호
    • /
    • pp.68-76
    • /
    • 2020
  • This study presents a teaching model to increase the participation and interest, and to improve their understanding of physical concepts of first-year engineering students taking physics(2) course at a three-year college. In the class, a team task solution based on teamwork and a peer learning method through questions and answers between participants in each team were applied so that learners could actively participate in the class to discuss and present. We examined how the activities of each team affected students' interest in subjects, motivation to learn, and the degree of understanding of physical concepts. In the team activity, students were able to actively participate through emotional sharing between learners and free questions and explanations, and it was confirmed that academic achievement was improved by comparing the final exam evaluation results with the evaluation results of the previous three years.

교과별 수행평가 도서목록에 대한 중고교생들의 인식 및 관심 수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wareness and Interest Level of the Performance Evaluation Book List i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 박시윤;노동조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29-244
    • /
    • 2018
  • 본 연구는 교과별 수행평가 도서목록에 대한 중고교 학생들의 인식 및 관심 수준을 알아보고 나아가 그러한 수준에 따른 만족도 및 교육성과와의 관계를 알아본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서울시 소재의 2개의 중학교와 고등학교의 학생 2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성별과 학교급별에 따라서 교과별 수행평가 도서목록에 대한 학생들의 관심 수준에는 차이가 있었다. 둘째, 교과별 수행평가 도서목록에 대하여 관심이 있는 학생이 수행평가에 더 많은 시간과 노력을 소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과별 수행평가 도서목록에 대한 인식 수준에 따라서 지식습득과 학업성취도와의 관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선택 기준과 만족도에도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중심학습 교육을 받고 있는 간호학생의 학습유형에 따른 참여도와 학업성취도 (Particip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by Learning Styles in Problem Based Learning)

  • 김지윤;최은영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00-206
    • /
    • 200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nursing students' learning styles and relationship of learning style to particip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Method: The study participants were nursing students in C college learning through problem based learning (PBL). Data were collected using a questionnaire which included Kolb's learning styles. Performance evaluation and paper examination were used to evaluate academic achievement. Results: Most of the students had converger type learning style. Student with a tendency to abstract conceptualization, such as converger type and assimilator type, preferred discussion and presentation. The students with converger type learning style participated and achieved better than students with diverger style.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learning style was related to particip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Therefore in order to use PBL effectively, facilitators should consider students' learning styles.

  • PDF

간호대학생의 아동간호학 임상실습 자가평가 분석 (Nursing Students' Self-evaluation Analysis on Pediatric Nursing Clinical Practice)

  • 이영은;박선영;최은아;김은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9호
    • /
    • pp.355-364
    • /
    • 2017
  • 본 연구는 아동간호학 임상실습을 경험한 간호대학생의 학습역량 성취도와 임상실습 만족도 그리고 서술형 총평의 분석을 통해 아동간호학 임상실습 학습성과 달성 전략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대상자는 B광역시 K대학교의 간호학과 4학년으로 2016년 2월 24일부터 동년 6월 24일까지 아동간호학 실습을 마친 총 115명 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 및 내용분석으로 결과를 도출하였다. 간호대학생의 학습역량 성취도와 임상실습 만족도는 높게 나타났으며 연령에 따른 학습역량 성취도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아동간호학 임상실습을 통해 '제한된 실습경험에 대한 아쉬움' 등을 보고하였다. 따라서 간호대학생들의 아동간호학 임상실습 학습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기술영역의 학습역량 성취도를 증진시키고, 실습기관에 대한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임상실습 전략이 필요하다고 본다.

2009 개정 초등 과학과 성취기준에 대한 교사들의 이해와 활용 (Teachers'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by Implementing 2009 Revised Curriculum Elementary Science Achievement Standards)

  • 김은주;이진숙;이훤;김대현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911-923
    • /
    • 2016
  • 현재 2009 개정 과학교육과정을 시행하고 있는 현장의 초등 교사들을 대상으로 과학과 성취기준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으며 실제 수업에서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12명의 교사를 심층 면담하여 질적 내용분석법에 따라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과 성취기준에 대한 교사의 이해와 활용은 '과학 수업과 평가의 통제적 역할을 하는 성취기준'으로의 이해와 '평가중심 활용에 무게'를 두고 성취기준을 활용하는 것으로 요약할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과학 수업의 이정표의 의미로 성취기준을 이해하고 있으나, 일상적인 과학 수업과 평가 상황에서는 크게 염두에 두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반과 핵심으로 층위가 나뉜다고 이해하고, 핵심 성취기준에 대한 양과 수준의 정선 문제를 제기하였다. 한편 과학과 성취기준의 활용 측면에서는 학기 초 교육과정 업무 해결을 위하여 끼워 맞추기식 양상과 평가 활동을 위한 활용에 치우쳐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의 성취기준에 대한 관심과 교육과정 전문성을 높여야 한다. 둘째, 교사가 쉽게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는 교육과정 문서를 개발하고 과학 성취기준을 정선해야 한다. 셋째, 교육과정 정책에 대한 홍보 및 정보제공, 행정적 재정적 지원 및 장학과 관련된 제도적 개선이 요구된다.

$2003{\sim}2006$년 국가수준 과학과 학업성취도 변화 추이 분석 (Trend Analysis of Students' Science Achievement in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from 2003 to 2006)

  • 정은영;최원호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438-452
    • /
    • 2008
  • 우리나라 학생들의 학력 수준을 파악하고 연도별로 학력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파악하여, 이를 토대로 교육과정, 교수 학습, 교육 정책에 유의미한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하여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는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를 시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03년부터 2006년까지 초등학교 6학년, 중학교 3학년,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시행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서 과학과 학업성취도 평균 점수와 성취수준별 비율의 변화 추이를 분석하였다. $2003{\sim}2006$년 연도별 과학과 성취도 점수를 비교한 결과, 학교급에 상관없이 학생들의 성취도는 증가 또는 감소의 특별한 경향이 보이지 않았다. 연도별 과학과 성취도 점수의 평균과 우수학력에 속하는 성취수준 비율을 성별로 비교한 결과, 초등학교에서는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더 높았지만 학교급이 높아질수록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더 높아졌다. 한편 기초학력미달에 속하는 학생의 비율은 모든 학교급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더 높았다. 그리고 연도별 과학과 성취도 점수의 평균을 지역별로 비교한 결과, 초 중 고등학교 모두 읍 면지역 학생들의 성취수준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고려할 때 성별, 지역별 점수 차를 줄이기 위하여 교육적 환경을 개선할 필요가 있으며,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 결과가 교육과정 및 교육 정책 입안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도록 추가적인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성취기준 단위로 분석한 중학교 학생의 성차 (Analysis on Gender Difference Appearing in Middle School Students at Each Achievement Standard)

  • 조윤동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8권2호
    • /
    • pp.231-256
    • /
    • 2016
  • 이 글에서는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문항의 중학교 남녀학생별 평균 정답률을 바탕으로, 성차가 나타난 성취기준을 살펴보고자 한다. 성취기준은 교육과정을 구성하는 가장 작은 단위로서 교사가 수업 계획을 세우는 기준 단위가 되기도 한다. 수업 계획은 시수에 따라 구상하게 되는데, 그 시수를 결정하는 것이 성취기준이다. 그러므로 성취기준에서 나타난 성차에 관한 객관적인 정보는 수업 계획을 세우는 단계에서 성차를 해소화기 위한 방안을 구상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또한 이 연구는 앞으로 수학에서 나타나는 성차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지표로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과학에 대한 태도와 과학 성취도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Attitudes Toward Science and Science Achievement)

  • 이미경;김경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399-407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6학년, 중학교 3학년, 고등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우리나라 학생들이 과학에 대하여 어떠한 태도를 가지고 있는지를 알아보았고, 과학에 대한 태도와 과학 성취도간의 상관 관계를 성별, 지역별, 성취수준별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우리나라 학생들은 과학에 대하여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기는 하나 그 정도가 매우 약했으며, 초등학생보다 중 고등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태도가 덜 긍적적이었다. 또한, 모든 학교급에서 남학생들이 여학생들보다 과학에 대하여 좀 더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었고, 지역간에도 과학에 대한 태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에 대한 태도와 성취도간의 상관 관계는 중학생들의 경우에 가장 높았으며, 고등학교, 초등학교의 순서로 높았다. 또한, 초등학교의 경우에는 남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태도와 성취도간의 상관 관계가 컸으며, 고등학교의 경우에는 여학생들의 상관 관계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 성취 수준에 따른 과학에 대한 태도와 성취도와의 상관 관계는 과학 성취도가 높은 집단에서 가장 크게 나타났다.

Factors of Korean Students' Achievement in Scientific Literacy

  • Shin, Dong-Hee;Ro, Koog-Hyang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893-905
    • /
    • 2001
  • Korean students ranked the 3rd out of 32 participating countries in the first cycle of PISA(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 science field, which assessed 15-years-old students' scientific literacy. PISA developed several variables such as parents' socio-economic status, parents' educational attainment, family wealth, and cultural possession,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background variables on scientific literacy. On the other hand, motivation and engagement in science study were not given much attention, partly because science was the minor area in the first cycle of PISA. Therefore, PISA Korea developed a series of variables to collect data on students' learning motives and out-of-school activities in science as a national op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ings. First, Korea was found to be one of the PISA participating countries with the scientific literacy achievement least influenced by parents' socio-economic status, family wealth, and parents' cultural possession. Second, the degree of achievement in scientific literacy according to parents' educational attainment was in a positive correlation, similar to the overall tendency of PISA. Third, the most crucial learning motive for Korean students was their desire to develop scientific thinking abilities or obtain science knowledge. On the other hand, choosing jobs in the field of science or parental expectation was the least important learning motive. In particular, the motive for scientific learning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degree of scientific literacy achievement. Therefore, the higher the students achievement, the stronger the motive for scientific learning in order to develop their ability to think scientifically or acquire science knowledge. Fourth, Korean students were shown to participate very little in out-of-school scientific activities other than watching TV programs related to science. Whatever the activities may be, the more actively involved students are in out-of-school scientific activities, the higher their scientific literacy achievement. Fifth, Korean girls were rather passive compared to boys in all areas, including science learning motive and out-of-school scientific activities. The gender difference was especially more pronounced in out-of-school scientific activities with wider gaps in such activities as reading scientific books or articles and visiting science-related web sites.

  • PDF

아버지의 역할수행과 아동의 성취동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ather’s Role Performance and Children’s Achievement Motivation)

  • 김진;이신숙;신효식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47-55
    • /
    • 199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the importance of father’s roles on children. A survey was carried out on 458(227 boys and 231 girls) 6th-graders at randomly chosen 4 elementary schools in Kwangju.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standard deviation and Pearson’s coefficient were checked and one-way ANOVA,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also carried out on the collected dat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Evaluation of fathers’role performance depending on background variables ranged from 46.17 to 58.51 points(equivalent to 61.56∼78.01 points in the 100-point scale). Background variables that caus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ere children’s sex, fathers’religion (whether they had one or not) fathers’education, monthly family income and decision-makers at home. The degrees of fathers’role performance were higher when the answerers were girls, when fathers had religions, when fathers educational level was higher, when the family income was higher, and when all family members participated in the decision-making. 2. Evaluation of children’s achievement motivation depending on background variables ranged from 77.17 to 84.34 points( equivalent to 68.90∼75.35 points in the 100-point scale). Background variables that caus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children∼s sex and decision-makers at home. Children∼s achievement motivation were higher in the case of girls and when all family members participated in the decision-making. 3. When it comes to the children’s achievement motivation in relation to father’s role performance, 1)The overall aspect of fathers’ role performance caus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ildren’s achievement motivation. 2) The influence of fathers’role performance on children’s achievement motivation was highest in the investigation-faciliator role (${\beta}$=2.5) and then the economic role (${\beta}$=.14) and the valuetransmitter role (${\beta}$=.14). The explanative power of these variables was 22%.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