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4697/jkase.2008.28.5.438

Trend Analysis of Students' Science Achievement in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from 2003 to 2006  

Jeong, Eun-Young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Choi, Won-Ho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 v.28, no.5, 2008 , pp. 438-452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urposes of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NAEA) are to assess Korean students' achievement of the educational goals as well as to diagnose the trends of educational achievement in order to monitor the quality of education at the national level. We analysed average scores in science achievement and trend of achievement level at the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NAEA) from the year 2003 to 2006 for 6th, 9th and 10th grader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or grades 6, 9, and 10, the average scores of NAEA did not tend to increase or decrease. About the trend analysis of gender, females outperformed males for grade 6, but males outperformed females for grade 10. For grade 6, the ratio of females in Advanced level was more than that of the males in the same level. For grades 9 and 10, the ratio of male was higher than the females. For grades 6, 9 and 10, the ratio of males in Below-Basic level was more than that of females in the same level. The results of the educational achievement of urbanization shows that students in rural area scored the lowest. And the ratio of Below-basic level students was highest in rural area. It is needed that educational surroundings be improved to lessen the score difference both between genders and regions. An additional study is needed to used the results of NAEA for the improvement of curriculum and educational policy.
Keywords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NAEA); science achievement; trend analysis; gender difference; regional difference;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2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김명숙, 허형, 이종승, 허경철, 이명희, 노국향, 박정 (2001).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체제 구축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CRE 2001-2
2 송현미, 신영준 (1999). 여학생이 선호하는 과학 수 업 형태 및 수업 환경 조사를 통한 과학 수업 전략 수립. 한국생물교육학회지, 28(2), 136-143
3 윤진 (2002). 초중고 학생들의 과학관련 진로 선택 요인.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4), 906-921
4 조지민, 김명화, 최인봉, 송미영, 김수진, 남민우, 박 종훈, 박은아, 김민정, 고정화, 도종훈, 정은영, 최원호, 김미경 (2007).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2003-2006 년 변화 추이-.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07- 3-1
5 최원호, 신영준, 전영석 (1999). 여학생 대상 과학 교 수학습 자료의 주제 선정 연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27(4), 321-330
6 Livingstone, I. D. (1990). Monitoring national standards. In H. J. Walberg, & G. D. Haertel,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Educational Evaluation
7 Papanastasiou, C. (2002). School, teaching and family influence on student attitudes toward science, based on TIMSS data for Cyprus. Studies in Educational Evaluation, 28(1), 71-86   DOI   ScienceOn
8 NAEP (1996). Technical report. http://nces.ed.gov/natio nsreportcard
9 QCA (2002). http://www.qca.org.uk
10 권오남, 김희백, 신동희, 정경아 (2005). 여학생의 수학과학 성취도 제고를 위한 교수-학습과정 혁신방안 연 구. 교육부 정책연구과제 2005-공모-11
11 NAEP (2006). The nation's report card: Science 2005. http://nces.ed.gov/nationsreportcard
12 이미경, 손원숙, 노언경 (2007). PISA 2006 결과 분 석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07-1
13 김명숙, 이규민, 박중재(2005). 초중등학생 학업성취 도 평가 개선 방안 연구. 교육인적자원부
14 김주훈, 이범홍, 이양락 (2000). 제7차 교육과정에 따 른 성취기준과 평가기준 개발 연구: 중학교 과학, 한국 교육과정평가원
15 이혜숙, 최경희 이재경 마경희 이기순 (2005). 직업 인으로서의 과학기술자 및 여성 과학기술자, 그리고 역 할모델에 대한 중.고등학생들의 인식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2), 184-196
16 김경근 (2005). 한국사회 교육격차의 실태 및 결정 요인. 교육사회학연구, 15(3), 1-27
17 고정화, 도종훈 (2007). 2006년 국가수준 학업성취 도 평가 연구-수학-.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07-3-4
18 교육부 (2000).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성취기준과 평가기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19 교육부 (1997). 제7차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1997-15호
20 정구향, 정미경, 김진하 (2001). 제7차 교육과정에 따 른 초등학교 성취기준과 평가기준 예시평가도구 개발 연 구: 총론.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01-4-1
21 박정, 김경희, 김수진, 손원숙, 송미영, 조지민 (2007). 우리나라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결과의 변화추이(2003 -2005년). 교육과정평가연구 10(2), 173-202
22 박정, 정은영, 김경희, 한경혜 (2004). 수학과학 성취 도 추이변화 국제비교 연구-TIMSS 2003 결과 보고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04-3-2
23 최경희, 김경미 (2001). 여학생들에게 친근한 과학 학 습 내용 및 방법을 적용한 수업이 여학생들의 과학 학습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1(1), 149-159
24 정은영, 최원호 (2007). 2006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과학-.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07- 3-5
25 Peterson, P. E., & Hess, F. M. (2005). Johnny can read...in some states: Assessing the rigor of state assessment systems. Education Next, 2005(3), 52-53
26 文部科學省 (2007). http://www.mext.go.jp
27 노태희, 최용남 (1996). 성역할의 관점에서 조사한 과 학자와 자신에 대한 이미지의 격차 및 과학 관련 태도 와의 관련성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6(3), 286-294
28 Paik, S. J. (2004). Korean and US families, schools, and Learning.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41(1), 71-90   DOI   ScienceOn
29 Schmidt, W. H., Wang, H. C., & McKnight, C. C. (2005). Curriculum coherence: An examination of US mathematics and science content standards from an international perspectiv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37(5), 525-559   DOI   ScienceOn
30 김명숙, 노국향, 박정, 부재율, 양길석 (1998). 국가 수준 교육성취도 평가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 구보고 RRE 98-8
31 Fennema, E., & Carpenter, T. P. (1998). New perspectives on gender differences in mathematics: An introduction. Educational Researcher, 27(5), 4-5
32 Shen, C. (2005). How American middle schools differ from schools of five Asian countries: Based on cross-national data from TIMSS 1999. Educational Research and Evaluation, 11(2), 179-199   DOI   ScienceOn
33 Klecker, B. M. (2006). The gender gap in NAEP fourth-, eighth-, and twelfth-grade reading scores across years. Reading Improvement, 43(1), 50-56
34 강영혜, 김미숙, 이영, 남기곤, 김동춘 (2005). 양극화 해소를 위한 교육분야 대책 수립 연구. 한국교육개발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