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a beauty college student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2초

헤어미용 전공 대학생의 전공만족도가 미용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Cosmetology Major The impact of college student satisfaction on the cosmetology profession)

  • 문소희;공차숙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8권6호
    • /
    • pp.1667-1677
    • /
    • 2021
  • 본 연구는 헤어 미용 전공 대학생의 전공만족도가 미용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헤어 미용 전공 대학생들의 전공만족과 전문직관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헤어 미용 전공 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미용전문직관 간에 정(+)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p<0.001), 전공만족은 '전문성' t=4.625(p=.000), '직업인식' t=3.152(p=.002)로, 전공가치는 '전문성' t=2.330(p=.021), '전문활동' t=2.438(p=.015), '직업인식' t=4.843(p=.000)으로, 대학생활적응은 미용전문직관의 하위요인인 '전문활동' t=2.746(p=.006), '직업인식' t=4.303(p=.000)으로 나타나 헤어 미용 전공 대학생의 전공만족도는 미용전문직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헤어 미용 전공 대학생에게 있어 전공만족은 대학 및 전공학과에 대한 만족뿐만 아니라 자기 자신에 대한 만족 및 헤어 미용 직무 자신감으로 이어져 긍정적인 영향으로 사회생활을 적응할 수 있게 해주며, 미용전문직관은 헤어 미용 직업에 대한 가치관과 태도로 미용 전공 대학생 때 전문직관이 생기게 된다. 연구결과를 통해 헤어 미용 전공 대학생들의 긍정적인 전문직관의 형성과 전공만족도를 높이고 올바른 이론과 실기교육을 통해 미용전문직관이 확립될 수 있도록 학생들의 자기계발과 더불어 교수 및 교육관계자들의 전문직업 윤리와 가치관에 관한 교육과 지속적인 지도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헤어미용전문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air and Beauty College Students' Major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 임순자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3호
    • /
    • pp.115-122
    • /
    • 2021
  • 본 연구는 헤어미용전문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전공만족도와 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함이다. 연구대상은 G지역 헤어미용전문대학에 재학 중인 남·녀대학생 173명을 대상으로 2021년 3월 10일부터 25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중 150부를 최종적으로 SPSS.WIN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첫째, 헤어미용전문대학생의 전공만족도가 진로준비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둘째, 헤어미용전문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을 하는데 있어서 전공에 대한 만족도와 자기효능감이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헤어미용전문대학생의 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나타내어서 유의한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온라인 수업이 미용전문대학생의 셀프리더십, 자기효능감,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online classes on beauty student's self-leadership, self-efficacy, and learning outcomes)

  • 임순자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2호
    • /
    • pp.29-35
    • /
    • 2022
  • 본 연구는 미용전문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셀프리더십과 자기효능감이 학습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함이다. 연구대상은 D지역 미용전문대학에 재학 중인 1, 2학년 남·녀 대학생 115명을 대상으로 2021년 11월 22일부터 12월 1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중 100부를 최종적으로 SPSS.WIN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첫째, 미용전문대학생의 셀프리더십이 학습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둘째, 미용전문대학생의 학습성과에 영향을 주는 셀프리더십과 자기효능감이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미용전문대학생의 자기효능감이 학습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어서 유의한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생의 외모관리 기대가치와 뷰티관리행동 간의 관계에서 외모자신감의 조절효과 (The Moderating Effect of Confidence in Appear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xpected Value of Appearance Management and Beauty Management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 유은숙;나윤영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358-365
    • /
    • 2023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 of appearance confid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xpected value of appearance management and beauty management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For data collection, 3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mong the students of a 4-year university in Gwangju, Republic of Korea from April 12 to 22, 2022; 273 copies were collected, and 259 copies were used as the final sample. SPSS 21.0 was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expected value of appearance management had a positive (+) effect on beauty management behavior. Second, the expected value of appearance managemen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beauty management behavior. Taken together,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social internalization, play and sympathy values, and appearance confidence of the expected value of appearance management, the higher the college students' beauty management behavior. Taken together,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social internalization, play conformity value, and appearance confidence of the expected value of appearance management, the higher the college students' beauty management behavior. This was confirmed to act as a reinforcing mechanism.

뷰티미용전공 전문대학생의 간접적 직무체험 (Job Shadowing)에서 직업진로 발달의 이해 (Understanding of the Career Development in the Job Shadowing of the Beauty Major College Students)

  • 조은희;박주호
    • 직업교육연구
    • /
    • 제37권1호
    • /
    • pp.77-100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뷰티미용전공 전문대학생이 직무현장 관찰 및 현직자와 대화에서 자신의 직업관, 진로발달, 그리고 자아에 대한 성찰을 어떻게 형성하는가를 다각적으로 탐색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뷰티분야 직업현장을 참여 관찰하고 현직자와 인터뷰를 체험한 수도권 소재의 A대학 뷰티미용전공 학생 8명을 표본으로 선정하고, 개별 심층 면담을 통해 그들이 경험한 의미를 해석하였다. 심층면담 결과에 따르면, 참여자들은 간접적 직무체험(직업현장 관찰 및 현직자와 대화)을 통해서, 첫째 뷰티업무의 성공적 수행을 위해 필요한 태도, 지식, 역량, 조건 등이 무엇인지를 학습하였다. 특히, 참여자들은 뷰티업종에서 직무수행의 핵심 역량이 고객과의 인간관계라는 사실을 학습하였다. 둘째, 참여자들은 뷰티 직업이 실제 고되고 힘들다는 현실을 알게 되었고, 미래에 어떠한 진로를 선택할지에 대한 직업진로 결정의 준거를 설정하게 되었다. 즉, 그들은 직무현장 관찰을 통해 뷰티직업에 대한 그들 자신 직업선택 관점의 변화를 보여 주었다. 마지막으로 연구 참여자들은 직업진로 결정 여부 이외에 자신들의 전공에 대한 만족하고 있는지 여부를 성찰 하였다. 본 연구는 구성주의적 관점에서 뷰티미용전공 전문대생이 직무관찰을 통해 직업진로 발달 및 직업관 변화를 맥락적으로 파악했다는 데 그 이론적 의의가 있다. 아울러, 현장실습 및 인턴십 등 직접적인 직무체험에서 진로교육 의미 탐색에 초점을 둔 기존 연구와 달리, 본 연구는 참여 관찰 및 현직자와 대화라는 간접적 직무체험에서 학생들이 무엇을 학습을 했는지를 심층 분석했다는 점에서 향후 전문대학 진로교육 프로그램 운영에 실제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중국 대련 남자대학생의 패션행동분석 (An Analysis of Fashion Behavior of Male College Students in Dalian, China)

  • 김정원;사일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93-102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factor of fashion behavior and to identify fashion behavior differences according to demorgraphic/physical characteristics and parents' background of male college student in Dalian, China. The data were collected via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from 250 male college students living in Dalian, China in June 2007. Data analysis method were used to Crombach's a, reliabilty, factor analysis, frequency analysis, ANOVA, and Sheffe's test for the post hoc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ashion behavior factors were analyzed into 6 factors such as fashion satisfaction oriented, high price oriented, fashion leader oriented, practical fashion oriented, others defendence oriente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age, major and physical variables such as height, weight, clothing size and parents' background such as education, job, and income.

향장미용산업의 핵심인재육성을 위한 대학원 교과과정에 관한 연구 (A graduate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for talking core men of into Cosmetic & Beauty inductry)

  • 김주덕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03-122
    • /
    • 2003
  • Recently, many graduate schools related to Cosmetic & Beauty have established, and it is very advisable. However, the following the curriculum or the teaching staff has to be made up well for making a substantial graduate school, and it will contribute largely toward to Cosmetic & Beauty industry. If it is used like a tool for only increasing the quorum of student, it is not a help to Cosmetic & Beauty industry even though many Cosmetic & Beauty courses in the graduate schools are established. The government and the industrial circles have to give thought and support to develop a university. Then special workers who train in this part will be a help to grow Cosmetic & Beauty industry. Hereafter, Cosmetic & Beauty industry is a big field of industry after medical supplies in the fine chemistry industry when we take the scale of industry and the national competitiveness into consideration. And Cosmetic & Beauty industry is a competitive field of industry with a small investment contrary to medical supplies. However, there are few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special workers through the college of pharmacy in Cosmetic & Beauty contrary to medical supplies. Also, there is no position for managing the growth of Cosmetic & Beauty industry in the government agencies. At this point of time, it is very desirable situation that the graduate school related to Cosmetic & Beauty is established lately, and we hope that it is an opportunity for the growth of Cosmetic & Beauty industry through the interests of the university, the government, the industrial circles, and so on.

뷰티전공 대학의 교육서비스품질 구성개념 분석 (Analysis of the Composition Concept of Education Service Quality of Beauty Major University)

  • 강세령;이영조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271-280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뷰티 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개방형 질문지와 포커스 그룹 인터뷰의 두가지 통합 연구방법을 통하여 교육 서비스 품질 구성개념을 규명하고자 한다. 연구 참여자는 전국 2년제, 4년제 대학의 뷰티 전공 재학생을 모집단으로 설정하고 임의 표집방식으로 250명을 채택하여 조사에 사용하였다. 일련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방형질문지의 귀납적 내용분석 결과 뷰티 전공 대학의 교육 서비스품질은 전공지식, 교육적 자질, 교수-학생 친밀감, 학생욕구반영, 활용성, 교육과정 구성, 환경효율성, 교육기자재, 명성의 9개 세부 영역과 일반영역으로 교수 전문성, 교수-학생 공감, 교육과정, 교육 환경, 명성의 5개 영역으로 도출 하였다. 둘째, 포커스 그룹 인터뷰 결과 귀납적 내용분석을 보다 타당성 있게 지적하고 심도 있게 도출 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 뷰티 전공 대학의 교육서비스 품질의 측정도구 개발에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한글판 미의 광범위한 개념 척도(K-BCBS)의 신뢰도 및 타당도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Broad Conceptualization of Beauty Scale)

  • 안분숙;이경수;김현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359-366
    • /
    • 2021
  • BCBS(Broad Conceptualization of Beauty Scale)는 내면적 미의 척도로 개인의 내면적 미의 기준을 평가하도록 고안된 측정도구이다. 본 연구에서 번안과정을 거쳐 구성된 최종 한글판 BCBS 9문항을 사용하여 여자대학생 100명을 대상으로 신뢰도 및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한글판 BCBS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내적 일치도를 확인한 결과 Cronbach's 𝜶는 0.878, 주관적 미 0.874, 신체적 미 0.808, 심리적 미 0.880로 높은 신뢰성을 보였다. 한글판 BCBS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탐색적 및 확인적 요인분석을 시행한 결과 모든 항목에서 유의미한 결과로 나타나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서 한글판 BCBS는 여성의 광범위한 미의 개념을 종합하여 평가하는 유용한 측정도구로 입증되었으며, 이를 기초자료로 하여 여자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수행하는 내면화된 미의 전문적인 발전과 연구에 활용되어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대학생의 뷰티 유튜브 시청만족도와 K-뷰티의 관계성 연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University Students' Beauty YouTube Viewing Satisfaction and K-Beauty)

  • 오정선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12호
    • /
    • pp.175-182
    • /
    • 2020
  • 본 논문은 대학생들의 뷰티 유튜브 시청만족도와 K-뷰티와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한 논문으로 대학생들의 뷰티 유튜브 시청만족도는 이용후기, 화장법, 화장트렌트, 대리공감, 오락적 동기에서 보통이상의 만족도를 나타냈다. 뷰티 유튜브 시청만족도와 K-뷰티와의 관계성을 연구하기 위해 K-뷰티 설문항목의 요인분석 결과 발전영향 요인과 타 산업 발전분야로 구분하였다. 대학생의 뷰티 유튜브 시청만족도는 K-뷰티 발전영향 요인에 정(+)의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K-뷰티 타 산업 발전분야와는 관계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뷰티유튜브의 컨텐츠 개발과 함께 미디어컨텐츠를 활용한 K-뷰티 발전방안 등에 대한 참고자료 활용을 기대하고 관련하여 좀 더 확장된 연구를 지속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