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Young Children's Leadership

검색결과 30건 처리시간 0.029초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교사-유아 친밀 관계 및 유아의 의도적 통제가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aternal Parenting, Teacher-Child Closeness Relationships and Effortful Control on Young Children's Leadership)

  • 이경님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1권6호
    • /
    • pp.19-36
    • /
    • 2015
  • 본 연구는 어머니의 양육행동과 교사-유아 친밀 관계 및 유아의 의도적 통제가 리더십에 미치는 직 간접적인 영향을 경로분석을 통하여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만 4, 5세 유아 266명과 그들의 어머니와 담임교사를 대상으로 양육행동, 교사-유아 친밀 관계, 의도적 통제, 리더십이 측정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과 경로분석을 통하여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리더십에 의도적 통제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리더십에 어머니의 양육행동은 유아의 의도적 통제를 통하여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리더십에 교사-유아 친밀 관계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의도적 통제를 통하여 간접적인 영향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장 큰 인과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써 유아의 리더십에 의도적 통제와 교사-유아 친밀관계는 직접적으로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교사-유아 친밀관계와 어머니의 양육행동이 리더십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의도적 통제의 매개효과가 확인되어 교사-유아 친밀관계와 어머니의 온정적인 양육행동은 유아의 의도적 통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는 리더십을 증진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그리고 교사-유아 친밀 관계는 유아의 리더십 증진에 가장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유아 기질 및 교사-유아 관계가 유아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Effect Young Children's Temperament and Teacher-child Relationship on Young Children's Leadership)

  • 고정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524-540
    • /
    • 2014
  • 본 연구는 유아 기질 및 교사-유아 관계가 유아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유아기질 검사는 학부모가 설문에 응답하였고, 교사-유아 관계와 유아 리더십은 담임교사와 부담임 교사가 응답하였다. 연구대상은 8곳의 유치원 만 3-5세 유아 333명이다. 유아기질 및 교사-유아 관계, 유아리더십을 검사하기 위한 검사 도구는 선행연구에서 활용된 도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재구성하여 사용하였고, 이를 근거로 연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Statistics 20 for Window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Scheff$\acute{e}$ 검증,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 다중회귀분석, 공차(Tolerance), 분산팽창지수(Variance Inflation Factor, VIF), 상관계수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유아 기질은 규칙성, 활동성, 지속성, 적응성 순으로 높게 나타났고, 교사-유아관계는 친밀관계, 의존관계, 갈등관계 순으로 나타났다. 리더십은 목표달성능력, 인간관계능력, 통솔력, 재창조능력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유아의 기질중 적응성, 지속성은 유아의 리더십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유아 관계에서는 친밀관계와 의존관계가 유아의 리더십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유아 리더십 발달에는 기질 면에서 상황변화에 잘 적응하고 안정된 성향과 교사-유아 관계에서 친밀하고 의존적인 관계가 중요함을 알 수 있다.

부모의 리더십과 언어통제유형이 유아의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arental Leadership and Verbal Control Modes on Preschool Children's Leadership)

  • 장영애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49-259
    • /
    • 2015
  •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parental leadership and verbal control modes on preschool children's leadership. The sample included 202 children between the ages of 4 and 5 and their mothers, and data were collected using an index of parental leadership, an index of parental verbal control, and an inventory of preschool children's leadership. A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a t-test, a correlation analysis, an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eschool children's leadership according to the child's age. According to a correlation analysis, parental leadership and verbal person-oriented control modes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preschool children's leadership, and imperative control and position-oriented control modes had negative correlations. In addition, parental leadership and verbal control modes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preschool children's leadership. In particular, parents' communication skill, relationship skill, group activity skill, person-oriented control mode, and position-oriented control mode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preschool children's leadership.

취학전 남아와 여아의 리더십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 기질, 또래상호작용, 어머니의 언어통제유형, 가정환경을 중심으로 (Variables Associated with Children's Leadership Qualities)

  • 문혁준
    • 아동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35-46
    • /
    • 2010
  • This study analyzed variables that affect children's leadership qualities. The subjects were 400 five-year-old children and their mothers living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the Young Children's Leadership Scale (Kim, 2006), Temperament(Hong, 2008), Peer Interaction (Choi, 2004), Mother's Verbal Control Modes(Do, 1997), and the HOME instrument (Rhee and Jang, 1982). The data collected was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ur results indicated that (a) girls' scores on leadership were higher than those of boys. (b) Boys' leadership qualities were related to children's temperament, peer relationship, maternal verbal control modes, and home environment. (c) Girls' leadership qualities were related to children's temperament, peer relationship, and home environment. (d) In particular, it was noted that children's temperament (in terms of their sensitivity/endurance) was the strongest predictor for leadership qualities in both boys and girls.

사회인구학적 변인, 기질과 놀이성이 유아의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hildren's Temperament and Playfulness on Their Leadership)

  • 이복동;문혁준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97-111
    • /
    • 2012
  • 본 연구는 유아의 리더십에 영향을 미치는 내 외적 관련 변인들에 대해 연구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서울시와 경기도의 유아교육기관에 재원중인 만 5세 유아 251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연구문제 분석을 위해 t검증과, 상관분석, 중다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유아의 성별, 출생순위, 어머니의 취업여부에 따라 기질, 놀이성, 리더십의 일부 하위영역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유아의 기질, 놀이성, 리더십의 변인간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 부분적으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리더십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알아본 결과, 놀이성의 신체적 자발성, 사회적 자발성, 인지적 자발성, 그리고 즐거움의 표현이 주요 변인으로 나타났다. 유아리더십은타고난특성과함께환경이나교육에의해개발될수있으므로유아가긍정적인 놀이를 통해 사회적인 자발성이나 인지적 또는 즐거움의 자발성을 높일 수 있는 적절한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놀이를 통한 리더십 프로그램 개발과 성인의 정서적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유아의 리더십과 관련된 변인 연구 : 유아의 개인 변인과 환경 변인을 중심으로 (Variables Related to Leadership of Young Children: A Focus on Individual Variables and Environmental Variables)

  • 서기남;문혁준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7권5호
    • /
    • pp.107-121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leadership-related variables of young children. Subjects were 467 fiveyear-olds from the region. Data were subjected to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leadership in young children was related to their temperament, peer interaction, verbal control modes of mothers, and home environment. Positive peer interaction was the strongest predictor for leadership of young children.

아버지의 양육행동, 양육참여도, 아동이 지각한 아버지-자녀 간 의사소통이 아동의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aternal Parenting Behaviors, Child-Rearing Involvement, and Father-Child Communication Perceived by Children on Their Leadership)

  • 장영애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617-632
    • /
    • 2015
  •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paternal parenting behaviors, child-rearing involvement, and father-child communication perceived by children on their leadership. A total of 197 children selected from three elementary schools and their fat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Data were collected using a parenting behavior index, a child-rearing involvement inventory, a father-child communication inventory, and a children's leadership index and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the t-test, a one-way ANOVA ($Scheff{\acute{e}}$ test), an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ildren's leadership according to the father's education level, family income, the father's warmth/acceptance, the father's family activity involvement, and open/problematic communication between the father and the child. The child's age, the father's education level, family income, the father's warmth/acceptance, open communication, and problematic communication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the child's leadership.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child's leadership may be strengthened if the father is warmer and more accepting and has open communication with the child.

아버지의 언어적 상호작용과 유아의 셀프리더십 및 유치원 적응력과의 관계 (The Relations between Father's Interaction and Self-leadership, Preschool Adjustment of Young Children)

  • 문병환;김세루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97-113
    • /
    • 2011
  • 본 연구는 아버지의 언어적 상호작용과 유아의 셀프리더십 및 유치원 적응력과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G시에 소재한 15개소 유아교육기관에 다니고 있는 만 4, 5세 유아 253명과 그들의 아버지 253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는 아버지의 언어적 상호작용과 유아의 유치원 적응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버지 언어적 상호작용의 하위영역인 의사소통 지향성, 화합 지향성은 유아의 셀프리더십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통제지향성은 유아의 셀프리더십과 통계적으로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버지의 언어적 상호작용과 유아의 셀프리더십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버지의 언어적 상호작용의 하위영역인 의사소통 지향성에서 정적상관이 나타났으며, 반면에 통제 지향성에서는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유아교육현장에서 아버지와 유아의 언어적 상호작용의 중요성을 강조하여 유아교육기관의 부모교육 및 교사교육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어머니의 양육태도 및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이 유아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other's Parental Attitude and the Ability of Children's Self-regulation on Young Children's Leadership)

  • 노인순;문혁준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8권5호
    • /
    • pp.25-45
    • /
    • 2012
  • 본 연구는 인천과 경기지역의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재원 중인 만 5세 435명과 그들의 어머니 435명을 대상으로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이 유아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자료는 t검증과 F검증 및 상관분석 그리고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첫째, 유아의 성별에서는 어머니의 양육태도, 자기조절능력, 유아리더십에서 여아가 높게 나타났다. 출생순위에서는 둘째이상의 유아를 둔 부모가 통제적 양육태도가 높게 나타났고, 어머니의 취업여부에서는 취업모가 더 자율적이고 통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어머니의 학력과 월 소득이 높을수록 애정적 양육태도와 자율적 양육태도가 높게 나타났다. 유아리더십에서는 취업모의 유아가 주도성, 사교성, 민감성에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통제적 양육태도는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유아리더십과 부적상관이,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과 유아리더십 간에는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셋째, 유아리더십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가정의 월 소득이 높고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자율적이며,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이 높을수록 유아리더십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정서지능과 친사회적행동이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and Prosocial Behaviors on Their Leadership)

  • 김은경;김상림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1호
    • /
    • pp.169-175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정서지능과 친사회적행동이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수도권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 20개소에 재원 중인 만 4, 5세 유아 400명이다. 연구대상 유아의 담임교사에게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여 유아의 정서지능과 친사회적행동 및 리더십을 측정했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3.0을 사용하여 분석했다. 측정도구의 문항신뢰도와 기술통계를 산출하고, Pearson 상관분석 및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했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유아의 정서지능과 친사회적행동이 높게 나타날수록 리더십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정서지능과 친사회적행동은 리더십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영향력에 있어 친사회적행동이 정서지능 보다 더 큰 것으로 밝혀졌다. 유아 리더십은 현대사회에서 요구되는 정서 사회성발달의 일부로 본 연구결과는 정서지능과 친사회적 행동 증진을 통해 리더십 발달을 지원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