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f Children's Temperament and Playfulness on Their Leadership

사회인구학적 변인, 기질과 놀이성이 유아의 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 Published : 2012.08.31

Abstract

This goal of this study was to find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that have an influences on young children's leadership.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251 five year old children enrolled in childcare programs located in Seoul & Gyeonggi-do, Korea, the methods for analyzing children's leadership were t-tests, a correlation analysis and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hich was used to recognize what factor affected the leadership of young children the most.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that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sub-factor and leadership of playfulness according to the gender and birth order of young children and whether their mother was working out or not. In other words,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leadership and temperament according to gender and birth order and whether their mother was working out or not. Secondly, there was partial correlation between the temperament of young children, playfulness, and leadership according to the testing of the low-level variable factor. Thirdly, the strongest predictor of children's leadership wad the social independence among playfulness.

본 연구는 유아의 리더십에 영향을 미치는 내 외적 관련 변인들에 대해 연구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서울시와 경기도의 유아교육기관에 재원중인 만 5세 유아 251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고, 연구문제 분석을 위해 t검증과, 상관분석, 중다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유아의 성별, 출생순위, 어머니의 취업여부에 따라 기질, 놀이성, 리더십의 일부 하위영역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유아의 기질, 놀이성, 리더십의 변인간의 관계를 알아본 결과, 부분적으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리더십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알아본 결과, 놀이성의 신체적 자발성, 사회적 자발성, 인지적 자발성, 그리고 즐거움의 표현이 주요 변인으로 나타났다. 유아리더십은타고난특성과함께환경이나교육에의해개발될수있으므로유아가긍정적인 놀이를 통해 사회적인 자발성이나 인지적 또는 즐거움의 자발성을 높일 수 있는 적절한 프로그램을 제공하며, 놀이를 통한 리더십 프로그램 개발과 성인의 정서적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윤정(1999). 아동의 사회적 능력과 어머니 양육행동과의 관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 김기영(2005). 또래 상호작용 속에서의 유아 리더십.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청구논문.
  3. 김민영(2010). 유아의 다중지능 및 창의적 가정환경과 유아리더십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 김수영(2000). 유아의 또래 수용도, 놀이 상호작용 및 놀이 형태와의 관계. 유아교육연구, 20(3), 47-66.
  5. 김영희(1995). 아동의 놀이성군 확인과 관련 변인 탐색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6. 김재우, 손경환(2009). 유아의 형제 유무와 운동 발달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13(1), 233-253.
  7. 문혁준(2010). 취학 전 남아와 여아의 리더십에 영향에 미치는 변인: 기질, 또래관계상호작용, 어머니의 언어통제유형, 가정환경을 중심으로. 아동학회지, 31(1), 35-46.
  8. 서기남(2009). 유아의 리더십과 관련된 변인 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9. 우정순(2010). 유아의 기질과 유아 리더십에 관계 연구.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0. 이경실(1997). 유아의 놀이성과 사회적 능력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1. 이명숙(2006). 유아 셀프리더십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2. 이연실(2010). 유아의 놀이성과 리더십과의 관계. 한국놀이치료학회지, 1, 33-48.
  13. 이은경(2002). 교사가 지각한 유아의 기질과 놀이성에 관한 연구.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4. 이채호, 최인수(2008). 교사용 유아 리더십 평가 처도 개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13(3), 23-37.
  15. 천희영(1992). 한국아동의 기질유형화와 어머니 양육태도.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6. 최수연(2003). 영재유아와 일반유아의 사회성숙도에 대한 차이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7. Barnett, L. A. (1990). Playfulness: Definition, design, and measurement Play & Culture, 3, 319-336.
  18. Carey, W. B., & McDevitt, S. C. (1978). Revision of the infant temperament questionnaire. Pediatrics, 61, 735-739.
  19. Goleman, D. (2006). 성공마인드의 혁명적 전환 SQ 사회지능. (장석훈 역). 서울: 웅진지식하우스. (2006년 원저 발간)
  20. Kagan, L. S. (1994). Leadership: Rethinking it-making it happen. Young Children, 59(4), 50-54.
  21. Lieberman, J. N. (1977). Playfulness: Its relationship to imagination and creativity. New York: Academic Press.
  22. Lynham, S. A. (2000). Leadership development: A Review of The Theory and Literature. In P. Kuchinke(Ed.), Proceedings of the 2000 Academy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annual meeting. Baton Rouge, LA: Academy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23. Russell, R. F. (2001). The role of values in servant leadership. Leadership & Organizational Development Journal, 22(2), 34-45. https://doi.org/10.1108/01437730110380200
  24. Snow, M. E., Jacklin, C. N., & Maccoby, E. E. (1981). Birth-order differences in peer sociability at thirty-three months. Child Development, 52, 589-595. https://doi.org/10.2307/1129178
  25. Thomas, A., & Chess, S. (1977). Temperament and development. New York: Brunner/Mazel.
  26. Vandenberg, B. (1986). Environment and cognitive factor in social play. Journal of Experimental Child Psychology, 31, 169-175.
  27. Walker, S., Berthelsen, D., & Irving, K. (2001) Temperament and peer acceptance in early childhood: Sex and social status differences. Child Study Journal, 31, 177-1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