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ork Breakdown Structure

검색결과 168건 처리시간 0.035초

교육시설 BTL 사업의 실적공사비 적용을 위한 작업분류체계(WBS) 구축 (A Model of Work Breakdown Structure for being applied to Historical Data in BTL Project for Educational Facilities)

  • 김성겸;조창연;손재호;김재온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7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499-502
    • /
    • 2007
  • 정부는 기존의 품셈에 의한 예정가격 산정 방식을 폐지하고, 실적계약 단가를 근거로 하는 실적공사비 적산제도를 도입하여 시행중에 있다. 그러나 현재 BTL 교육시설물 예정가격 산정방법의 경우 표준화된 작업분류체계(WBS : Work Breakdown Structure) 및 내역서 작성지침의 부족으로 인하여 단가 산정에 정확한 근거 마련이 힘든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BTL로 발주된 교육시설물의 내역서를 바탕으로 BTL 교육시설물의 실적공사비 적용을 위한 작업분류체계(WBS : Work Breakdown Structure) 구축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일반 시설물과는 다른 특징을 가지는 교육시설물 분류체계를 구축하고 이를 이용한 공사비 항목 및 유지보수비 항목의 체계화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 PDF

강교량 제작 프로세스 모델을 기반으로한 WBS구축 (Work Breakdown Structure(WBS) based on the Steel Box Girder Production Process Model)

  • 하승호;김석;김경민;박찬혁;김경주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4년도 제5회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521-525
    • /
    • 2004
  • 본 연구의 목적은 강교량 제작 현장에서의 효율적인 정보관리를 지원하기 위한 정보관리체계의 구축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강교량 제작 업무 프로세스와 제작공종별 발생정보의 흐름과 정보관리 레벨(Level)을 분석함으로써 업무 수행과정에서의 효율적인 정보관리를 지원하기 위한 WBS 구축방안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강교량 제작은 다양한 제작공정을 거쳐 수행되며, 각 단계별 업무 목적 및 관행에 따라 다양한 정보관리 수준을 갖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효율적인 공정, 원가, 자원 및 풀질 등의 정보 관리, 공유 및 재활용을 위해서는 공종과 강교 거더의 부위 분류체계를 바탕으로 한 WBS의 구축이 바람직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 PDF

건축물 3D 프린팅 공종분류체계 도출 및 표준품셈 연계방안 제시 (A Development of Work Breakdown Structure and Link to Standard Estimation System for 3D Printing Building)

  • 주기범;서명배;박형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2호
    • /
    • pp.702-708
    • /
    • 2018
  • 3D 프린팅 기술은 기존 산업계의 생산 패러다임을 변화할 수 있는 4차 산업혁명의 주요기술로 큰 관심을 받고 있다. 건설분야의 특성으로 인해 3D 프린팅의 기술 도입이 타 산업분야에 비해 느리지만, 향후 생산인구의 감소와 생산성 및 안전도 향상 등을 위해 3D 프린팅을 활용한 건설 자동화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3D 프린팅을 건설에 도입하기 위한 사전준비로서 건설 3D 프린팅 공종분류체계와 기존 표준품셈체계와의 연계방안을 제시 한다. 이를 위해 건설 및 3D 프린팅 관련 전문가 자문을 바탕으로 기존 건설 3D 프린팅 기술을 바탕으로 가상의 시나리오를 작성하였다. 시나리오에 따라 3D 프린팅 공사 수행에 필요한 16개의 공종을 도출하였다. 기존 공종분류체계와 표준품셈을 분석하고 도출된 3D 프린팅 공종을 연계하였다. 기존 분류체계와 동일한 3D 프린팅 공종도 있었으며 기존에 존재하지 않는 공종은 유사한 분류체계 하위에 추가하는 등 4가지 타입으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3D 프린팅 공사관리 및 원가산정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3D 프린팅 공사 수행을 통해 실질적인 품셈 산출이 필요하다.

현장 관리자 중심의 건축공사 가설기술 표준분류체계구축 (Development of Standard Breakdown Structure of Temporary Construction Technique in Building Construction focused on Site Manager)

  • 김민정;박준모;김옥규;최병주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2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17-118
    • /
    • 2012
  • This study has been reorganizing a standard breakdown structure of temporary technique focused on construction site. For this, first of all we, the authors, reviewed features and present statuss of construction temporary technique, and could develop to the standard breakdown structure through studying a construction site and researching a delphi method. By using the standard breakdown structure obtained from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the application of to information of construction business and plan to a schedule and a work.

  • PDF

공공아파트 건설공사의 공간별 공사비분류체계 개발 (Development of the Space Cost Breakdown Structure(CBS) for Multi-Family Housing Projects)

  • 현창택;구교진;연희정;문현석;조규만;홍태훈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8권6호
    • /
    • pp.178-187
    • /
    • 2007
  • 최근 정부의 주택보급정책 강화에 따라 공공아파트 건설공사의 건축공사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현재 공공아파트 공사비내역 구성은 공종별 분류체계로 구성되어 있어, 공공아파트의 건축공사비를 체계적으로 예측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많은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공아파트 프로젝트 기획 및 설계단계에서 좀 더 합리적인 공사비 예측을 위해, 델파이분석(Delphi)기법을 이용하여 공공아파트 공간별 공사비분류체계를 개발하였다. 공공아파트 공간별 공사비분류체계는 공공아파트의 공간별 특성을 반영하여 주택부문, 주택외부문, 가산부문 등으로 구분하였으며, 각각의 부문을 공간별 해당 부위와 각 세부공종으로 세분화하였다. 또한 구축된 공간별 공사비분류체계에 공공아파트 공사비 내역서를 분석하여 공간별 분류체계의 실용성 및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DSM을 이용한 PBS 구출 (PBS Construction by Using DSM)

  • 김찬묵;박영원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1권1호
    • /
    • pp.26-32
    • /
    • 2008
  • 이 논문은 프로젝트 관리 기법으로 널리 알려진 업무분담구조(WBS)에 관해 다루고 있다. 그러나 현재 국내산업에서 사용되고 있는 WBS는 잘못된 형식을 취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WBS의 핵심요소인 물리적 계층 구조(PBS)가 공간 중심적으로 잘못 구축됨으로써 발생한다. 이 논문은 국내 철도 산업에서 작성된 PBS를 예제로 하용하여, 설계 구조 매트릭스(DSM)를 이용하여 기능 중심적 PBS로 새로이 구축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제안된 방법론과 프로세스는 빠른 시간 내에 올바른 PBS를 구축하는데 유용할 것이다.

4D객체 활용에 의한 건설공사 리스크 인자별 중요도 시각화 기법연구 (Visualizing Method of 4D Object by Weight of Construction Risk Factors)

  • 강인석;박서영;김창학;문현석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6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571-573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리스크관리 인자별 중요도와 4D 객체 시각화방법론을 통한 리스크관리 정보의 시각화 모델을 제안한다. 리스크관리 프로세스 모델은 WBS(Work Breakdown Structure)와 RBS(Risk Breakdown Structure)를 통해 구성되며, RBS에서 분류된 리스크 인자는 퍼지 분석기법을 통해 중요도(Weight)가 분석된다. 이 중요도는 4D 시각화를 위한 건설공사 객체(Object)의 속성 데이터로 지정된다. 또한 Object의 4D 시각화를 위한 방안으로는 4D 시뮬레이션기법이 활용되며, 등급별로 구분된 리스크 인자의 중요도와 4D 시뮬레이션을 통해 직접적인 건설공사 부위별 리스크관리 수준 확인과 부위별 리스크 인자의 시각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방법론을 제시한다.

  • PDF

세일요트 통합관리 시스템을 위한 웹기반 YWBS 설계 프로그램 (Development of a Web-Based Application for YWBS i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s)

  • 이동건;남승훈;정용국;신종계
    • 대한산업공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46-54
    • /
    • 2013
  • Recently, the marine leisure industry has begun to make a mark on the growth engines of the Korean economy. Hence, various government research projects are in progress to catch up with the fundamental yacht technologies of advanced countries. Research on the integrated management technologies of sail yachts is carried out as a part of those projects. Work Breakdown Structure (WBS) is a basic architecture for robust and high-level management systems. In this paper, we suggest a product-oriented Yacht Work Breakdown Structure (YWBS). General WBS has a drawback in that it can only follow the targeted purpose, but YWBS allows for a generic WBS approach. This concept allows us to apply WBS to multi-purpose uses. The YWBS is used as an infrastructure in information management and for data relationships in sail yacht management systems. YWBS is designed and managed by a web application, and the system is implemented with a website as a user interface. This application has not only a design function, but also a data transfer function that is based on the Microsoft Silverlight platform, a kind of Rich Internet Application (RIA) technology. Using this application, YWBS designers can communicate with the management system without added tasks like as uploading and updating.

공종분류체계를 활용한 도시철도 시설물 유지관리시스템 개발 (The Development of Urban Metro Maintenance Facility System Using Construction Classification System Management)

  • 현지훈;양병수;문성우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3권4호
    • /
    • pp.69-77
    • /
    • 2012
  • 건설정보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데이터 생성부터 유지관리까지 전 과정을 관리해야 한다. 그러나 사업관리정보시스템 (PMIS, Project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은 설계를 포함하여 시공단계에서 사업관리를 중심으로 운영하고 있어서 유지관리와의 연계가 부족하다. 본 논문에서는 유지관리분류와 도시철도시설물 공종분류를 활용하여 시공단계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를 유지관리 활동에 활용하는 프로세스를 제시한다. 유지관리분류와 공종분류를 연계함으로써 시공정보와 유지관리정보를 일괄적으로 추적할 수 있으며, 유지관리 시 필요한 시공정보를 손쉽게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사업관리정보시스템과 유지관리정보시스템(MMIS, Maintenance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을 연동할 수 있으며, 시공정보를 건설사업의 라이프싸이클 정보를 관리할 수 있게 하여 생애비용을 추적관리 할 수 있도록 돕는다. 본 논문에서는 유지관리정보시스템 프로토타입을 개발했으며, 업무적용 시 타당성이 있음을 보여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