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아파트 건설공사의 공간별 공사비분류체계 개발

Development of the Space Cost Breakdown Structure(CBS) for Multi-Family Housing Projects

  • 현창택 (서울시립대학교 건축학부) ;
  • 구교진 (서울시립대학교 건축학부) ;
  • 연희정 (서울시립대학교 건축공학과) ;
  • 문현석 (서울시립대학교 건축공학과) ;
  • 조규만 (서울시립대학교 건축공학과) ;
  • 홍태훈 (서울시립대학교 건축학부)
  • 발행 : 2007.12.31

초록

최근 정부의 주택보급정책 강화에 따라 공공아파트 건설공사의 건축공사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현재 공공아파트 공사비내역 구성은 공종별 분류체계로 구성되어 있어, 공공아파트의 건축공사비를 체계적으로 예측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많은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공아파트 프로젝트 기획 및 설계단계에서 좀 더 합리적인 공사비 예측을 위해, 델파이분석(Delphi)기법을 이용하여 공공아파트 공간별 공사비분류체계를 개발하였다. 공공아파트 공간별 공사비분류체계는 공공아파트의 공간별 특성을 반영하여 주택부문, 주택외부문, 가산부문 등으로 구분하였으며, 각각의 부문을 공간별 해당 부위와 각 세부공종으로 세분화하였다. 또한 구축된 공간별 공사비분류체계에 공공아파트 공사비 내역서를 분석하여 공간별 분류체계의 실용성 및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As the government has enforced recently the policies on the distribution of the housing, the construction cost of multi-family housing projects has increasingly become very sensitive and political issue. However, it is difficult to predict the construction cost in planning and design phase of the project because the Bill of Quantity of the multi-family housing projects was composed of breakdown structure based on each work package. To predict the construction cost in planning and design phase for multi-family housing projects in more effective and reasonable way, this study developed the cost breakdown structure based on spaces using Delphi method. The Cost Breakdown Structure (CBS) based on spaces for multi-family housing projects basically consists of three parts: (i) Building part; (ii) Non-building part; and (iii) Additional part. The characteristics of spaces in multi-family housing projects are fully taken into consideration. Then these three parts were subdivided into work packages in terms of work tasks. Additionally, the usefulness and effectiveness of Space CBS in this paper were validated by analyzing the BOQs of several collected sample projects and matching with Space CBS afterwards.

키워드

참고문헌

  1. 김기홍, 박찬식, 장선호 (2005). '고층 사무소건축의 공사비계획을 위한 웹 기반 개산견적 프로그램', 한국건설관리 학회논문집, 한국건설관리학회, 6(2), pp.69-79
  2. 김문한 외 공저 (1999). 건설경영공학, 기문당
  3. 박환표, 이재섭 (2004).' 건설정보 분류체계 활용도 측정을 통한 분류체계 활성화 방안',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한국건설관리학회, 5(6), pp.90-100
  4. 서울시립대학교 (2006), 턴키공사방식의 성과평가에 관한 연구, 건설교통부
  5. 전석한, 최인성 (2003).' 실적공사비 산정시스템에 관한 연구 - 공동주택을 중심으로-', 한국건축시공학회논문집, 한국건축시공학회. 5(1), pp.111-121
  6. 전재열 (2003).' 실적자료 분석에 의한 적정 공사비 산정방법의 전산화 알고리즘 구축에 관한 연구',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한국건설관리학회. 4(4), pp.192-200
  7. 한국건설기술연구원(2007)a. 2007 건축공사 표준품셈, 건설교통부
  8. 한국건설기술연구원(2007)b. 2007년 상반기 건설공사 실적공사비 적용 공종 및 단가, 건설교통부
  9. 한국건설기술연구원(2007)c. 건축공사 수량산출기준지침서, 건설교통부
  10. 한국건설기술연구원(2007)d. 건축공사 표준시방서, 건설교통부
  11. Chua, D., and Godinot, M. (2006). 'Use of a WBS Matrix to Improve Interface Management in Projects',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ASCE, 132(1), pp.67-79 https://doi.org/10.1061/(ASCE)0733-9364(2006)132:1(67)
  12. Jung, Y., and Woo, S. (2004). 'Flexible Work Breakdown Structure for Integrated Cost and Schedule Control',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ASCE, 130(5), pp.616-625 https://doi.org/10.1061/(ASCE)0733-9364(2004)130:5(6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