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ter Body Extraction

검색결과 88건 처리시간 0.019초

초미세 분쇄한 삼백초로부터 추출된 phenolic 화합물의 hyaluronidase 억제 효과 (Hyaluronidase inhibitory activity of extracted phenolic compounds from ultrafine grind Saururus chinensis)

  • 박기태;오상룡;조영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20-26
    • /
    • 2016
  • 본 연구에서 92종의 한약재로부터 물과 ethanol을 용매추출물에 대하여 HAase의 저해에 의한 항염증 효과를 측정한 결과 물 추출물에서는 E. officinalis(86.8%), T. orientalis(80.8%), C. semen(66.5%), M. azedarach(74.7%), S. pubescen (61.3%), S. chinensis(49.15%) 등이 높게 나타났다. Ethanol 추출물에서는 A. altissima와 S. chinensis 추출물이 90% 이상의 높은 항염증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들 중 물과 에탄올 추출물에서 모두 항염증 활성이 높게 측정된 S. chinensis가 선발되었다. 선별된 삼백초의 유효성분을 보다 효율적으로 추출할 방안을 확립하기 위하여 인체에 유해하지 않은 용매로 물과 ethanol을 선택하여 추출 최적조건을 살펴보았다. Phenolic 성분의 추출을 위한 최적조건은 50% ethanol을 사용하여 12시간 추출이 최적이었다. Phenolic 성분의 추출을 위해서는 ethanol이 물보다 더 효율적이었다. 최적조건에서 추출된 삼백초 추출물의 염증억제 활성은 $100{\sim}250{\mu}g/mL$ phenolic 농도로 첨가했을 때 70~80%의 염증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으나, $500{\mu}g/mL$ 이상의 농도로 첨가 시 오히려 염증 억제활성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삼백초를 초미세 분쇄 하였을 때 추출 수율과 염증억제 활성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초미세 분쇄 기술은 한약재로부터 생리활성물질 추출수율의 증가를 목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기술로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흑목이 버섯 열수추출 다당의 성분 및 구조적 특성 (Composition and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Polysaccharide from Hot Water Extraction of Auricularia auricula)

  • 김현민;허원;이신영
    • KSBB Journal
    • /
    • 제24권6호
    • /
    • pp.584-590
    • /
    • 2009
  • A hot-water extract from fruit body of Auricularia auricula was purified by ethanol precipitation and subsequent dialysis. The polysaccharide showed a typical IR spectrum similar to $\beta$-glucan and was composed of glucose and mannose in a molar ratio of 16.8:83.2 indicating that it is a glucomannan. A glucomannan-like polysaccharide was also identified from Tremella fuciformis. Both of the polysaccahrides showed the presence of acetyl groups and presented colorimetric responses for $\beta$-1,4-glucomannan indicating the acetylated $\beta$-glucomannan similar to the typical polysaccharide found in Aloes.

Effects of a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formula and its extraction on muscle fiber characteristics in finishing pigs, porcine cell proliferation and isoforms of myosin heavy chain gene expression in myocytes

  • Yu, Qin Ping;Feng, Ding Yuan;He, Xiao Jun;Wu, Fan;Xia, Min Hao;Dong, Tao;Liu, Yi Hua;Tan, Hui Ze;Zou, Shi Geng;Zheng, Tao;Ou, Xian Hua;Zuo, Jian Jun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0권11호
    • /
    • pp.1620-1632
    • /
    • 2017
  • Objective: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s of a traditional Chinese medicine formula (TCMF) on muscle fiber characteristics in finishing pigs and the effects of the formula's extract (distilled water, ethyl acetate and petroleum ether extraction) on porcine cell proliferation and isoforms of myosin heavy chain (MyHC) gene expression in myocytes. Methods: In a completely randomized design, ninety pigs were assigned to three diets with five replications per treatment and six pigs per pen. The diets included the basal diet (control group), TCMF1 (basal diet+2.5 g/kg TCMF) and TCMF2 (basal diet+5 g/kg TCMF). The psoas major muscle was obtained from pigs at the end of the experiment. Muscle fiber characteristics in the psoas major muscle were analyzed using myosin ATPase staining. Cell proliferation was measured using 3-(4,5-dimethyl-2-thiazolyl)-2,5-diphenyl-2H-tetrazolium bromide (MTT) dye and cytometry. Isoforms of MyHC gene expression were detected by real-time quantitative polymerase chain reaction. Results: The final body weight and carcass weight of finishing pigs were increased by TCMF1 (p<0.05), while the psoas major muscle cross-sectional area was increased by TCMF (p<0.05). The cross-sectional area and diameter of psoas major muscle fiber Ι, IIA, and IIB were increased by TCMF2 (p<0.05). The cross-sectional area and fiber diameter of psoas major muscle fiber IIA and IIB were increased by diet supplementation with TCMF1 (p<0.05). Psoas major muscle fiber IIA and IIB fiber density from the pigs fed the TCMF1 diet and the type IIB fiber density from the pigs fed the TCMF2 diet were lower compared to pigs fed the control diet (p<0.05). Pigs fed TCMF2 had a higher composition of type Ι fiber and a lower percentage of type IIB fiber in the psoas major muscle (p<0.05). The expression levels of MyHC Ι, MyHC IIa, and MyHC IIx mRNA increased and the amount of MyHC IIb mRNA decreased in the psoas major muscle from TCMF2, whereas MyHC Ι and MyHC IIx mRNA increased in the psoas major muscle from TCMF1 (p<0.05).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coactivator-1{\alpha}$ and CaN mRNA expression in the psoas major muscle were up-regulated by TCMF (p<0.05). Porcine skeletal muscle satellite cell proliferation was promoted by $4{\mu}g/mL$ and $20{\mu}g/mL$ TCMF water extraction (p<0.05). Both $1{\mu}g/mL$ and $5{\mu}g/mL$ of TCMF water extraction increased MyHC IIa, MyHC IIb, and MyHC IIx mRNA expression in porcine myocytes (p<0.05), while MyHC Ι mRNA expression in porcine myocytes was decreased by $5{\mu}g/mL$ TCMF water extraction (p<0.05). Porcine myocyte MyHC Ι and MyHC IIx mRNA expression were increased, and MyHC IIa and MyHC IIb mRNA expression were down-regulated by $5{\mu}g/mL$ TCMF ethyl acetate extraction (p<0.05). MyHC Ι and MyHC IIa mRNA expression in porcine myocytes were increased, and the MyHC IIb mRNA expression was decreased by $1{\mu}g/mL$ TCMF ethyl acetate extraction (p<0.05). Four isoforms of MyHC mRNA expression in porcine myocytes were reduced by $5{\mu}g/mL$ TCMF petroleum ether extraction (p<0.05). MyHC IIa mRNA expression in porcine myocytes increased and MyHC IIb mRNA expression decreased by $1{\mu}g/mL$ in a TCMF petroleum ether extraction (p<0.05).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CMF amplified the psoas major muscle cross-sectional area through changing muscle fiber characteristics in finishing pigs. This effect was confirmed as TCMF extraction promoted porcine cell proliferation and affected isoforms of MyHC gene expression in myocytes.

Determining the doses of probiotics for application in Scylla tranquebarica (Fabricius 1798) larvae to produce crablet

  • Gunarto, Gunarto;Yustian Rovi Alfiansah;Muliani Muliani;Bunga Rante Tampangalo;Herlinah Herlinah;Nurbaya Nurbaya;Rosmiati Rosmiati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27권3호
    • /
    • pp.180-194
    • /
    • 2024
  • Mass mortalities of mud crab Scylla spp. larvae due to pathogenic Vibrio spp. outbreaks have frequently occurred in hatcheries. To overcome this problem, probiotics containing Bacillus subtilis bacteria are applied to inhibit pathogenic ones. We tested different doses of probiotic-containing B. subtilis (108 CFU/g) on the Scylla tranquebarica larvae and investigated the microbiota population, including Vibrio. Water quality, larvae development, and crablet production were also monitored. The recently hatched larvae were grown in twelve conical fiber tanks filled with 200 L sterile seawater, with a salinity of 30 ppt at a stocking density of 80 ind/L. Four different doses of probiotics were applied in the larvae rearing, namely, A = 2.5 mg/L, B = 5 mg/L, C = 7.5 mg/L, and D = 0 mg/L, with three replicates. Next-generation sequencing analysis was used to obtain the abundance of microbes in the whole body of megalopa and the water media for larvae rearing after applying probiotics. Sixteen Raw Deoxyribonucleic Acid samples (eight from a whole body of megalopa extraction from four treatments of probiotics defined as A, B, C, D, and eight from water media extraction from four treatments of probiotic defined as E, F, G, H) were prepared. Then, they were sent to the Genetics Science Laboratory for NGS analysis. Ammonia, nitrite, total organic matter (TOM), larvae, and crablet production were monitored. Based on the Next-generation sequencing analysis data, the Vibrio spp. decreased significantly (p < 0.05) than control test (D) in megalopa-applied probiotics at the doses of 2.5 mg/L (A) and 7.5 mg/L (C) and in the water media for megalopa rearing treated with probiotics at the dosage of 5.0 mg/L (F). Ammonia in the zoea stage in B treatment and TOM in the zoea and megalopa stage in B and C treatments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p < 0.05). It impacts the higher number of zoea survival in treatments B and C. Finally, it results in a significantly high crablet production in treatments B and C. Therefore, the dosage of 5 mg/L to 7.5 mg/L improves crablet S. tranquebarica production significantly.

능이버섯의 항고혈압 활성과 항통풍 활성 (Antihypertensive Activity and Anti-gout Activity of Mushroom Sarcodon aspratus)

  • 강민구;;이종석;서건식;이종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39권1호
    • /
    • pp.53-56
    • /
    • 2011
  • 야생 능이버섯에 함유되어 있는 생리 기능성 물질들을 탐색, 분리하여 이들을 고부가가치의 건강식품 소재로 활용하고자 덕유산 일대에서 채집한 능이버섯의 물 추출물은 제조하여 몇 가지 생리 기능성을 측정하였다. 능이버섯 자실체의 물 추출물은 항고혈압성 엔지오텐신 전환효소(ACE) 저해 활성과 항통풍성 xanthine 산화효소(XOD) 저해활성이 각각 74.3%와 59.6%로 우수하였다. 그러나 tyrosinase 저해 활성과 항산화 활성, SOD 유사활성 등은 매우 낮거나 없었다. 능이버섯 자실체중의 ACE 저해활성은 자실체 분말의 물현탁액을 $30^{\circ}C$에서 24시간, XOD 저해물질은 $50^{\circ}C$에서 24시간 진탕 시켰을 때 가장 높았다. 이들 두 가지 생리활성 물질을 함유한 능이버섯 물 추출물은 앞으로 건강식품이나 대체 의약 소재 개발에 매우 유용하게 활용 할 것으로 사료된다.

느타리버섯 자실체 및 균사체 추출물의 항산화효과 (Antioxidative Effect of Fruit Body and Mycelial Extracts of Pleurotus ostreatus)

  • 정인창;박신;박경숙;하효철;김선희;권용일;이재성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464-469
    • /
    • 1996
  • 느타리버섯 자실체 및 액체배양한 균사체를 핵산, 에탄올, 물 순으로 순차하여 얻은 추출물에 대하여 천연항산화제로 이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용매별 추출수율은 자실체 및 액체배양 균사체 모두 물추출 분획의 추출 수율이 $35{\sim}48%$로 가장 높았다. 총 당의 함량은 ethanol추출 분획과 물추출 분획의 ethanol가용부에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phenol성 화합물의 함량은 자실체 및 균사체 모두 hexane 분획에서 높은 함량을 보였다. 용매별로 추출한 추출물을 대두유에 500-3000ppm 첨가하여 일정 시간마다 과산화물가를 측정한 결과, 자실체 및 균사체 모두에서 ethanol 분획이 물 및 hexane 분획에 비해 강한 항산화능을 보였으며 BHA 및 BHT를 처리한 비교구 및 무처리구에 비해서도 항산화성이 우수하였으며 열안정성도 확인되었다.

  • PDF

각종 버섯류로부터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저해제의 탐색 (Screening of Mushrooms Having Angiotensin I-Converting Enzyme Inhibitor)

  • 이대형;김재호;정종천;공원식;유영복;박정식;유창현;이종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48-154
    • /
    • 2003
  • 항고혈압 효능이 우수하며 부작용이 없는 고혈압 예방 제품을 개발하고자 농업과학기술원에서 분양 받은 52종의 버섯을 대상으로 일반성분, 추출 수율, 그리고 ACE 저해활성을 조사하여 활성이 우수한 버섯을 선정한 다음 ACE 저해물질의 추출 최적조건을 검토하였다. 시료 버섯은 $7.1{\sim}56.5%$의 조단백질과 $0.2{\sim}4.4%$의 조지방 및 $30.3{\sim}86.6%$의 탄수화물을 각각 함유하고 있었으며 비늘버섯 ASI 24027 자실체의 물 추출물 수율이 68%로 제일 높았다. 그러나 ACE 저해활성은 비늘 버섯 ASI 24012 균주의 자실체를 물 추출로부터 얻은 추출물($IC_{50}$: 0.45 mg)에서 가장 높았다. 그리고 이 버섯의 ACE 저해물질 최적추출조건은 자실체 분말을 물로 $30^{\circ}C$에서 1시간 추출했을때 가장 많이 용출 되었으며 이때 ACE 저해활성도도 67.6%($IC_{50}$: 0.20 mg)로 가장 높았다.

느타리버섯 균주별 항산화효능 및 폴리페놀함량 비교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anti-oxidant effects and polyphenol contents of the fruiting bodies in oyster mushrooms)

  • 조재한;박혜성;한재구;이강효;성기호;전창성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11-315
    • /
    • 2014
  • 느타리버섯은 한국사람들에게 인기있는 버섯이며 새송이버섯, 팽이버섯과 더불어 대부분 많이 재배되어지는 버섯이다. 느타리버섯의 항산화 효능과 폴리페놀 함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항산화 효능을 분석한 결과 열수추출에서는 ASI 2099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주정과 메탄올 추출물에서는 ASI 2122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폴리페놀 성분은 대부분 7~10 mg/g 이었으며, 추출용매별 함량차이는 크지 않았다.

비늘버섯류의 추출수율 및 영양 약리학적 특성 (Extraction yield and nutraceuticals of mushroom Pholiota species)

  • 조수목;박홍주;서건식;이종수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57-61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비늘버섯을 이용하여 비교적 가격이 저렴하고 부작용이 없는 우수한 건강 기능성 제품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17종의 비늘버섯 자실체 분말을 각종 유기용매로 추출한 후 이들의 수율을 조사하였고 여러 가지 영양학적, 생리기능적 성분 함량을 조사하였다. 17종의 비늘버섯 자실체들의 물과 메탄올 추출물을 제조하여 이들의 추출 수율을 측정한 결과 Pholiota adiposa ASI 24027의 물 추출물이 58.7%로 가장 높았다. 비늘버섯 자실체의 조단백질 함량은 대체로 0.2%-25.0% 이었고 이중 Pholiota adiposa ASI 24015가 가장 많은 단백질을 함유하고 있었다. 무기물 중에는 K를 많이 함유하고 있었고 철과 인은 Pholiota sp. ASI 24024의 자실체에서 각각 100g 건조 자실체량 19.6 mg, 859.1 mg 을 함유하고 있었다. 항암성분으로 알려진 ${\beta}$-glucan은 Pholiota adiposa ASI 24005에서 약 0.66%로 비교적 많이 함유하고 있었으나 비타민과 아미노산 및 지방산 등은 비늘버섯 시료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

  • PDF

영지버섯 균주별 자실체의 베타글루칸과 폴리페놀 함량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useful β-glucan and polyphenol in the fruiting bodies of Ganoderma spp.)

  • 조재한;이지영;이민정;오하나;강돈호;전창성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164-170
    • /
    • 2013
  • 영지버섯을 재배하여 자실체를 수확 한 후, 버섯류의 유용성분으로 알려진 베타글루칸과 폴리페놀에 대한 성분 함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영지버섯 대부분의 베타글루칸 함량은 15~20%정도 이었다. 상황버섯의 함량 17.5%보다 높게 나온 영지버섯 균주는 8균주로 ASI 7017, 7019, 7022, 7039, 7058, 7069, 7071, 7113, 7148이었으며, 그 중 ASI 7017은 19.2%로 가장 높았다. 또한 용매를 달리하여 추출해서 얻은 각각의 폴리페놀 함량은 많게는 10배 이상 차이가 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달리 말하자면 각각의 버섯에 맞는 용매를 써야 보다 효율적으로 유용성분이 추출된다는 것을 말해 주는 분석 결과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좀더 많은 버섯을 비교하여 추후 식용 빛 약용버섯류의 기능성 평가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