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rtual Education

검색결과 1,050건 처리시간 0.032초

웹을 기반으로 한 가상 교원 연수의 운영 전략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Operation Strategy of Web Based Virtual Teacher Training)

  • 정인기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4권1호
    • /
    • pp.98-108
    • /
    • 2000
  • 교원 연수에 있어서 웹을 기반으로 한 가상 연수가 앞으로 더욱 늘어날 전망이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가상 연수는 하드웨어적인 시스템의 측면에서만 평가가 이루어져 왔고, 긍정적인 면만을 연구해 온 감이 없지 않다. 이제는 이러한 시스템 측면을 발전시켜가면서 몇몇 기관에서 선도적으로 시행한 가상 연수 프로그램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 방안을 찾아볼 시점이다. 하지만 각 연수 기관에서 이러한 운영상의 문제점들을 자체적으로 분석하고 있을 뿐 비교 평가할 기회가 없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몇 개의 기관에서 시행한 웹 기반 가상 연수 운영에 대한 데이터를 입수하여 비교 분석하고,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 PDF

가상현실 교육에서 몰입의 생태: 근거이론적 접근을 중심으로 (The Nature of Flow in Virtual Reality Education: Based on A Grounded Theory Approach)

  • 최성호;원종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1호
    • /
    • pp.446-460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가상현실 교육 서비스에서 이용자의 몰입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에 대한 생태를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질적 연구방법의 하나인 근거이론을 적용해 가상현실 교육에서 이용자의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가상현실 교육에 관심이 있는 피실험자 11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실험 후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실험을 위해 가상현실 영어교육 서비스인 토크리시를 이용하였으며, 동일한 VR기기를 활용하는 등 통제된 환경을 구성하여 가능한 피시험자들이 동일한 경험을 할 수 있도록 구성하다. 인터뷰 내용은 모두 문서화 하여, 개방코딩, 축코딩, 선택코딩의 단계를 거쳐 패러다임 모형을 구성하였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가상현실 교육 서비스를 위한 시사점을 제시한다.

가상 야외지질답사 모듈 개발에 참여한 초등학생들의 학습 효과 탐색 (Exploring Learning Effec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Engaging in the Development of Geological Virtual Field Trips)

  • 최윤성;김종욱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71-191
    • /
    • 2022
  • 이 연구의 목적은 광물과 암석을 주제로 초등학생들이 가상 야외지질답사 모듈 개발에 직접 참여함으로써 관찰되는 학생들의 학습 효과를 귀납적으로 탐색하는 것이다. 수도권 소재 'H'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10명의 학생들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학생들은 가상 야외지질답사 모듈 개발을 위해 사전에 실제로 야외지질답사를 실행하고 가상 야외지질답사 모듈을 개발하였다. 이 과정에서 학생들이 작성한 서면 자료와 비디오 녹화 영상, 음성 자료, 그리고 모든 연구가 종료된 이후 진행된 면담 자료를 수집하였다. 가상 야외지질학습의 구성 요소 중 네 가지 영역(인지, 심리, 지리, 기술)을 중심으로 연구 참여자들의 학습 효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가상 야외지질학습의 네 가지 요소, 인지, 지리, 심리, 기술 영역에서 긍정적인 학습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 연구는 연구 참여자들이 가상 야외지질학습에 단순 참여자가 아니라 가상 야외지질답사 모듈 수업 개발자로서 참탐구의 측면에서 지질학 학습에 유의미한 결과가 있음을 밝혔다.

초등학생의 가상현실 콘텐츠 제작 교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lementary Students' Virtual Reality Content Production Education)

  • 남충모;김종우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33-40
    • /
    • 2018
  • 본 연구는 초등학교 수업에 가상현실을 도입하고 가상현실 콘텐츠를 제작하는 교육을 통해 가상현실 콘텐츠 제작을 수업을 진행한 반과 적용하지 않은 반의 수업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K. A. P. 설문조사지를 작성하였고, 설문 진행 후 가상현실 콘텐츠 제작 교육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가상현실 콘텐츠 저작도구로는 코스페이시스를 활용하였다. 블록리(blockly) 기반 프로그램으로 코딩을 할 수 있어 학생들이 기능을 익히기에 어렵지 않았다. 현장 분석 결과 실천 영역에서 성과가 나타났다. 이 수업 운영 경험을 바탕으로 가상현실을 활용한 수업을 초등학교 현장에 적용하고 연구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간호대학생의 가상현실 기반 해부학교육 프로그램의 사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the Usability of Virtual Reality based Anatomy Education Programs of Nursing Students)

  • 이종란;황인주
    • 한국농촌간호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49-57
    • /
    • 2023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usability of virtual reality-based anatomy education programs for nursing college students and to identify factors that affect their usability.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143 nursing college students in Gyeonggi-do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from May to June 2022. The data analysis was analyzed using real numbers, percentages, means and standard deviation, ANOVA, Scheff's 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the SPSS/WIN 23.0 program. Results: The subject's usability was 4.26 points (out of 5). The variable that has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usability of virtual reality-based anatomy education programs is perceived innovation (β=.370, p<.001), followed by perceived pleasure (β=.295, p=.001), perceived ease (β=.253, p<.001), smartphone usage time per day (β=.102, p=.031). These variables explained 70.6% of the usability of virtual reality-based anatomy education program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basic data for a virtual reality-based anatomy education program that will be developed and applied to nursing students in the future.

간호대학생의 가상 시뮬레이션 실습 경험 (Nursing students' experiences in virtual simulation practice)

  • 김윤정;김원정;민혜영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98-207
    • /
    • 202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eaning of nursing students' experiences in virtual simulation practice.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six nursing students who have experience in a virtual simulation. Data were collected from August to September 2019 through a focus group interview. Giorgi's phenomenological method was used for analysis. Results: The study results revealed 3 constituents and 6 sub-constituents that are essential for nursing student's experiences in a virtual simulation. The three constituents were: "Chaos in the virtual reality", "The process of adjusting to chaos", and "Becoming an independent nurse in a safe virtual reality".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made. Results suggest the development of virtual simulations in Korean, the use of simulations as a group activity first, and the use of simulation between lecture and practice or in the regular curriculum.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used as primary data for providing virtual simulation in nursing education.

몰입형 가상 환경 기반 음식물 섭취에 따른 신체 변화 교육 효과 분석 (The Effects of Education for Body Changes through Food Intake in Immersive Virtual Environments)

  • Shin, Kwang-Seong;Ryu, Ji Hyun;Cho, Chungyeon;Jo, Dongsik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5권12호
    • /
    • pp.1964-1967
    • /
    • 2021
  • Recently,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to learn from textbooks, immersive 3D environments such as virtual reality(VR) has been widely used for education. In this paper, in order to intuitively present education about content scenarios on changes in the human body according to food intake, we consist an immersive virtual reality environment to express the same life-size organs. The participants in our educational system showed higher results in all items compared to the existing textbook-based education such as immersion, understanding, and quality of education program. Also it was found the importance of interactivity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immersive class.

몰입적 환경교육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Development of an Immersive Virtual Reality Simulation for Environmental Education)

  • 박주희;부재희;박경신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6권4호
    • /
    • pp.541-547
    • /
    • 2022
  • 가상현실을 활용한 실감형 교육은 전통적 학습에 비하여 몰입과 상호작용을 통해 학생들의 지식 이해도를 높일 수 있다. 기존의 연구에서 가상현실 교육은 주로 경험에 중점을 두었고, 환경 교육을 위한 가상현실 콘텐츠는 많이 개발되지 않았다. 환경 문제는 전 세계적인 문제로 환경 교육은 미래를 위해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환경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환경 친화적인 행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설계된 몰입형 가상현실 기반의 환경교육 시뮬레이션을 개발했다. 이 시뮬레이션은 가상생태계 모델을 기반으로 하여 환경 요인간의 인과관계와 시공간적 연계와 지속적인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사용자는 가상에서 환경 요인에 관련된 인터랙션에 따른 결과를 경험하면서 환경 문제를 직관적으로 인식하고 해결 방법에 대한 동기부여를 받는다.

DC Injection Control for Grid-Connected Single-Phase Inverters Based on Virtual Capacitor

  • Wang, Wei;Wang, Ping;Bei, Taizhou;Cai, Mengmeng
    • Journal of Power Electronics
    • /
    • 제15권5호
    • /
    • pp.1338-1347
    • /
    • 2015
  • DC injection is a critical issue in transformerless grid-connected inverters. DC injection control based on virtual capacitor has the advantages of low cost, low loss, high accuracy and easy implementation. In this paper, the principle of DC injection control based on virtual capacitor was analyzed. In addition, the applicable conditions, working process, steady state error and advantages were also discussed in detail. The design of the control parameters based on virtual capacitor was proposed in a grid-connected inverter with LCL filter. The robustness of the control parameters was also discussed. Simulation and experimental results verify the validity of the analysis and demonstrate that this research has a certain value in engineering applications.

신규간호사의 임상실무 적응을 위한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교육 요구도 조사: 혼합연구 적용 (The educational needs of virtual reality simulation training for novice nurses' adaptation to clinical practice: A mixed methods study)

  • 이미경;엄정희;김진영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339-351
    • /
    • 2023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ducational needs of virtual reality simulations that can be applied to novice nurses during the waiting period before starting work in a hospital. Methods: A convergent mixed methods was used. The survey data were collected from 230 novice nurses, and a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6 new nurse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November 2022 to January 2023. Descriptive statistics, a frequency analysis, independent t-test, and an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24.0. Results: Appropriate topics for virtual reality simulation education were indicated to be medications and intravenous injections, which are high priority topics in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The novice nurses wanted group activity training three to four times a week for two weeks before beginning work in a hospital. They also wanted an immersive virtual reality system based on a real hospital environment. Conclusion: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is study provide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 virtual reality simulation education that can improve the adaptation of novice nurses to clinical practice. A strategy was suggested to utilize the waiting time before beginning work in a hospital as educational 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