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deo conferencing

검색결과 170건 처리시간 0.027초

Design of Metaverse for Two-Way Video Conferencing Platform Based on Virtual Reality

  • Yoon, Dongeon;Oh, Amsuk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20권3호
    • /
    • pp.189-194
    • /
    • 2022
  • As non-face-to-face activities have become commonplace, online video conferencing platforms have become popular collaboration tools. However, existing video conferencing platforms have a structure in which one side unilaterally exchanges information, potentially increase the fatigue of meeting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 designed a video conferencing platform utilizing virtual reality (VR), a metaverse technology, to enable various interactions. A virtual conferencing space and realistic VR video conferencing content authoring tool support system were designed using Meta's Oculus Quest 2 hardware, the Unity engine, and 3D Max software. With the Photon software development kit, voice recognition was designed to perform automatic text translation with the Watson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llowing the online video conferencing participants to communicate smoothly even if using different languages. It is expected that the proposed video conferencing platform will enable conference participants to interact and improve their work efficiency.

5G를 향한 영상회의 기술 및 서비스 동향 (Trends in the Telepresence Technologies and Services Beyond 5G)

  • 이훈기;한미경;장종현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32권5호
    • /
    • pp.20-29
    • /
    • 2017
  • In this paper, a video conferencing system, which has been attracting significant attention as an immersive telepresence service owing to the recent emergence of 5G networks, is described. We propose a service platform for Giga Media based video conferencing for 5G convergence services. The video conferencing service consists of a traditional structure that provides information exchange through the transmission of video and voice of remote participants using a Multipoint Control Unit (MCU), a browser-based video conferencing based on WebRTC, a multi-view point video conferencing, and holographic telepresence centered on mixed reality. The paper introduces the trends and detailed structures of various technologies used in the video conferencing system, and compares the video conferencing system technologies and video conferencing service characteristics for the integrated Giga Media platform.

과업지향정도 및 선호하는 화면크기가 비디오 피드백 기능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불안의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The Influence of Task Orientation and Preferred Self-View Size on Self-View Preference: Testing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Social Anxiety)

  • 백수진;한광희
    • 감성과학
    • /
    • 제25권3호
    • /
    • pp.3-14
    • /
    • 2022
  • 화상회의 시스템 사용자 증가 및 기술 발전으로 인해, 화상회의 사용맥락과 화상회의 인터페이스 레이아웃이 다양해졌다. 사회불안은 화상회의 소통상황에도 영향을 주는데, 대면소통과 구별되는 요소인 비디오 피드백과 밀접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디오 피드백은 상대방에게 보이는 본인의 모습을 화상회의 시스템 인터페이스에 표시해주는 기능이다. 비디오 피드백은 업무 성과를 저해하고 피로감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화상회의 시스템에서 기본 기능으로 설정되어 있고 사용자들에게 보편적으로 선호된다. 본 연구는 과업지향정도, 비디오 피드백 화면크기, 사회불안이 비디오 피드백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는 온라인 설문으로 진행되었고, 설문 참가자는 화상회의 중 과업지향정도, 사회불안수준, 선호하는 비디오 피드백 화면크기, 비디오 피드백 기능 선호도를 평가하는 문항에 응답하였다. 연구 결과, 비디오 피드백 화면크기는 과업지향정도와 비디오 피드백 선호도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과업지향정도가 높을수록 작은 비디오 피드백 화면크기를 선호하였고, 이는 비디오 피드백 선호도 감소로 이어졌다. 한편, 사회불안수준에 따른 비디오 피드백 화면크기의 매개효과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사용자와 화상회의 시스템의 상호작용에 대한 이해에 도움을 주어 화상회의 시스템 디자인에 활용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한다.

화상 회의 애플리케이션 GoToWebinar 및 GoToMeeting 아티팩트 분석 (Artifacts Analysis of GoToWebinar and GoToMeeting)

  • 강수진;김기윤;이양선
    • Journal of Platform Technology
    • /
    • 제11권1호
    • /
    • pp.11-22
    • /
    • 2023
  • 신종 바이러스 감염병의 세계적 유행으로 인해 다양한 화상회의 및 협업 애플리케이션이 등장하였다. 화상회의 애플리케이션은 실시간 화상회의 외에도 채팅과 파일 공유와 같은 기능들을 다양한 플랫폼으로 제공한다. 채팅, 파일 및 화면 공유 등의 기능으로 다양한 개인 정보가 저장되기에 이러한 화상 회의 애플리케이션은 디지털 포렌식 수사 관점에서 주요 분석 대상이다. 크로스 플랫폼을 지원하는 응용프로그램의 경우 플랫폼에 따라 저장되는 데이터의 형태가 상이하기도 하다. 따라서 화상회의 애플리케이션의 데이터를 포렌식 수사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플랫폼 별 저장되는 주요 아티팩트에 대한 사전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화상 회의 애플리케이션인 GoToWebinar 및 GoToMeeting를 사용하고 생성되는 아티팩트를 분석하여 디지털 포렌식 수사 관점에서 주요 주요한 데이터를 나열한다. 각 애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플랫폼 별로 저장되는 데이터를 식별하며, 사용자 행위를 추정할 수 있는 아티팩트를 정리한다. 그리고 화상 회의 내의 역할과 환경에 따라 획득할 수 있는 데이터를 분류한다.

  • PDF

글로벌 공학교육의 원격화상강의에 대한 학습자 만족도 분석 (Analysis on Learners' Satisfactions of Video Conferencing in Global Engineering Education)

  • 임철일;김혜경;김동호
    • 공학교육연구
    • /
    • 제15권4호
    • /
    • pp.66-75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글로벌 공학교육을 위한 원격화상강의에서 학습자 상호작용 활동을 중심으로 만족도를 분석함으로써, 향후 원격화상강의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하여 S대학교 공과대학에서 운영한 화상강의에 참여하는 학습자들에게 설문조사와 면담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학습자는 강의내용, 교수자와의 상호작용, 학습자들 간의 상호작용에 대해 어느 정도 상호작용하고 있는지에 관한 인식결과와 이에 관한 심층적인 학습자 의견결과가 분석되었다. 아울러, 학습자에게 실제적인 관심이슈를 강의내용에 반영해야 한다는 점, 수업단계에 따라 국외/국내 교수자와의 상호작용하는 방법을 설계해야 하는 점, 지역간 학습자들이 상호작용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해야 한다는 점이 주요 요구사항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효과적인 원격화상강의 설계 및 운영을 위한 교수전략 및 온라인지원환경을 설계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화상회의 플랫폼의 지각가치에 관한 연구: 휴리스틱-체계적 모델과 가치기반수용모델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erceived Value of Video Conferencing Platform: Focused on Heuristic-Systematic Model and Value-based Adoption Model)

  • 지엔항;김민숙
    • 아태비즈니스연구
    • /
    • 제12권2호
    • /
    • pp.205-222
    • /
    • 2021
  • Purpose - Due to the Covic-19 pandemic, the perceived value of video conferencing platforms has been increased drastically. However, there is little guidance on how service providers can improve video conferencing platform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users' perceived value of video conferencing services based on the heuristic-systematic model and the value-based adoption model. Design/Methodology/Approach - In this paper, we theoretically explore the relationship of the antecedents of perceived value(credibility, expertise, attractiveness, economic feasibility, security, and interactivity) and its outcomes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risk and perceived value). The outcomes of this research is a conceptualization of antecedents of perceived value supported by research hypothesis based on the existing literature. A total of 100 vali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to empirically test the research model. Findings -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credibility, economic feasibility, and interactivity positively influenced perceived usefulness. On the other hand, credibility, professionalism and interactivity negatively influenced perceived risk. Perceived usefulness positively affects perceived value and perceived risk has a negative effect on perceived value. The brand image as a moderating variable was found to decrease the effect of perceived risk on perceived value. Research Implications - The contribution of this study is significant for video conferencing providers as follows. First, a service provider can actively utilize influencers or referees with high credibility and expertise to maximize the perceived usefulness of users. Second, economic feasibility should be ensured in respect of users through various alliance discount strategies. Third, a video conferencing service company needs to build a positive brand image in order to increase users' perceived value.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Remote Diagnosis System for Nerve Conduction

  • Kim, Jong-Weon
    • Journal of Electrical Engineering and information Science
    • /
    • 제3권3호
    • /
    • pp.286-291
    • /
    • 1998
  • A remote measurement system for nerve conduction has been developed to aid patients with spinal cord injury by accident. Existing cooperation between rescuers and doctors can be supported through the introduction of multimedia desktop video conferencing. Such facilities provide several advantages over conventional video conferencing. In particular, patients may feel free because they can see a doctor through the video conferencing facilities. This paper describes the system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The author considers the network capability and image data handling, and introduces a method a transmit image data for this system.

  • PDF

대학에서의 DVC(desktop video conferencing) 강의사례 연구 (A Case Study of Desktop Video Conferencing Instruction at university)

  • 박락영;김미영;최완식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04-114
    • /
    • 2005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 instructor and students's responses and to explore the pros and cons and the possibility of the DVC(desktop video conferencing) instruction at a C university in Daejon. 6 males and 5 females took the course. 10 lived in Daejeon and 1, who accessed from other region, lived other province, Pusan. Students were surveyed and interviewed, instructor was interviewed and the online observation of the instruction was undertaken. Students' responses showed that the DVC instruction was very effective to generate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and interest and to deliver the learning contents. Instructor's variety roles different from conventional one were very important and instruction must be run to activate students' interactions.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을 적용한 실시간 화상강의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to Use Real-time Video Conferencing Using 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 이장석;양승현;송병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292-310
    • /
    • 2021
  • COVID 19의 영향이 교육계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비대면 수업이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된 상황에서 실시간 화상강의에 대한 학습자의 만족과 이용의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에 대해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화상강의 특성으로서 학습자-교수자 간 상호작용성, 사회적 실재감, 이용가능성, 자기효능감, 참여정도가 인지된 유용성과 이용 용이성, 학습 만족과 화상강의 이용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인지된 이용 용이성에는 학습자-교수자 상호작용성과 이용가능성, 자기효능감이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지된 유용성에는 이용가능성을 제외한 모든 변인이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인지된 유용성과 이용 용이성은 학습 만족과 화상강의 이용의도를 높이는 요인인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학습 만족 역시 화상강의 이용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실증적인 분석을 통해 향후 많은 교육 현장에서 활용하게 될 실시간 화상강의에 대해 여러 이론적, 실천적 시사점을 제공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영상회의를 위한 멀티미디어 입출력 설계 및 분석 (On the Design and Analysis of Multimedia I/O for Video Conference)

  • 정하재;이전우;한동원
    • 한국정보처리학회논문지
    • /
    • 제3권3호
    • /
    • pp.608-616
    • /
    • 1996
  • 본 논문에서는 영상회의를 위한 멀티미디어 하드웨어 구조를 입 출력 중심으로 제안 하고, 구조를 대기모델로 표현하여 시스템의 동작을 분석하였으며, 설계와구현 을 통해 분석결과를 고찰하였다. 영상회의시에 발생되는 멀티미디어 데이타의 병목 현상 과 비디오 데이타의 크기, 프레임 수, 화자의 수 및 압축율의 변화를 모의실험하여 가능한 영상회의 수준과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또 분석된 내용의 요구를 .근사적으로 반영하는 시스팀을 구현하고 시험하여 멀티미디어 시스팀 입축력 설계시에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기술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