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ntact Online Classes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5초

대학 비대면 온라인 수업에서의 학습자 만족 연구 (A Study on the Learner's Satisfaction of Untact Online Classes in College)

  • 서윤경;고명희;김수영;전병호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83-94
    • /
    • 2020
  • The threat of COVID-19 pandemic put many universities in Korea to develop and implement various types of untact online classes. Online education has been recognized as one of the effective educational methods because of its ubiquitous and flexible educational environments. However quick move to online education caused by the sudden attack of the COVID-19 led to many problems such as faculty's burden and stress from the planning and designing suitable for online classes, technology system problems for both students and faculty and students' complaints of the low quality of education.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learner, contents, and instructor factors on college student satisfaction with untact online classes during the first attack of COVID-19 pandemic.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605 undergraduate students of S women's university based in Seoul, who took the untact online classes in the spring semester 2020. The results of empirical analysis reveal that only contents factor are likely to predict learner satisfaction. These findings provide insights that the effective planning and designing classes are key to enhancing learner satisfaction with online educa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instructors need various contents developed and educational strategies for students.

비대면 온라인 수업에서의 플립러닝 적용 사례연구: 사회계열 교과목과 공학계열 교과목을 중심으로 (A Case Study on the Application of Flipped Learning in Untact Online Classes: Focusing on Social and Engineering Subjects)

  • 성미영;박용한;정세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310-323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대학의 사회계열 교과목과 공학계열 교과목을 중심으로 비대면 온라인 수업에서의 플립러닝 적용사례를 분석하였다. COVID-19라는 사상 초유의 상황으로 인해 교수자와 학습자가 면대면으로 수업을 진행할 수 없게 되면서 기존의 플립러닝 수업이 전면 비대면 온라인 수업에서 진행된 사례를 사회계열 교과목과 공학계열 교과목으로 구분하여 분석해본 결과, 전면 비대면 플립러닝을 적용하여 온라인 수업으로만 진행하더라도 기존 플립러닝 수업과 유사한 효과성이 나타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집중이수제 등 대학의 학사제도 유연화와 연계하거나 융복합 교과목에서 플립러닝을 적용하여 운영한다면 플립러닝의 효과를 더 높일 수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결과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 대학 수업이 나아가야 할 방향성 모색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예측된다.

언택트(Untact) 디지털 전환(DT) 시대의 대학수학교육 사례 (A Case Study on College Mathematics Education in Untact DT Era)

  • 이상구;함윤미;이재화;박경은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4권3호
    • /
    • pp.201-214
    • /
    • 2020
  • 2019년 12월 중국 우한(武漢)으로부터 발생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COVID-19)는 전 세계적으로 급속하게 퍼지며 대학수학교육 환경을 대면 방식에서 비대면(Untact, 비접촉) 방식으로 전환시키고 있다. 이로 인해 대부분의 수학 연구자와 교수자들은 2020년 봄부터 인터넷을 활용한 온라인 화상 회의와 온라인 교육 등 새로운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과정에서 발생한 난점과 이를 극복한 방법들을 소개하고, 비대면 환경에서 교육의 질을 보장하는 대학수학교육의 다양한 사례를 통하여 체득한 노하우(Know-How)를 공유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코로나 이후(After Corona, AC) 시대의 대학수학교육과 연구 환경의 변화 가능성에 대하여 논한다. 특히 갑작스런 전면 비대면 방식의 온라인 교육을 진행하면서 교육의 질을 보장하기 위하여 취한 다양한 테크놀로지 활용 및 학생과의 소통에 대하여 언급한다. 마지막으로 비대면 교육환경의 교수·학습에서 당면한 문제에 대한 해결책과 특히 학생의 학습 활동과 학습과정에 기반한 평가의 구체적인 안을 제시하고 언택트 교육의 사각지대에 대하여 논한다.

PBL기반 팀활동 수업에서 대면·비대면 학습에 따른 학습역량 분석 (Analysis of Learning Competence according to the Contact·Untact Learing in the Team-activity Class based on PBL)

  • 이재경
    • 공학교육연구
    • /
    • 제26권2호
    • /
    • pp.45-53
    • /
    • 2023
  • This study conducted and evaluated the PBL-based team activity classes in contact and untact learning. Appropriate subject (Engineering communication) was also selected and evaluation methods were improved. In the qualitative evaluation results, in contact learning, similar score ranges were formed for each task, and the variability of scores for each task was not large. In untact learning, the difference in scores for each task was rather large, and the variability of scores for each task was large, indicating a large difference between teams that performed well and teams that did not. In the quantitative evaluation, contact learning showed a little low grades, but untact learning showed relatively high grades, but there were limitations in showing the conclusion that the untact learning effect was very good. As a result of the survey, there were more positive responses to the degree of understanding of the class conducted online, the degree of help to improve competence, and the team activity. However, if untact learning continues, it was analyzed that it is necessary to prepare appropriate measures to enhance learning effects and efficiently conduct team activities.

A Study on Education Utilizing Metaverse for Effective Communication in a Convergence Subject

  • Jeon, Ju Hyun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3권4호
    • /
    • pp.129-134
    • /
    • 2021
  • Since the first semester of 2020, domestic and overseas universities mostly provided untact online classes and limitedly provided face-to-face classes due to COVID-19 in operating courses. The convergence subjects provided in undergraduate courses attach importance to contents-centered, design-based, hands-on education, and field experience. In the situation where online education was not revitalized, instructors in charge of convergence subjects had difficulty in developing online class materials, and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 classes was not high. Especially, a problem was raised that students taking the convergence subjects that included practice had difficulty in communicating with the instructors. We would investigate the present condition of distance learning in domestic universities, which came suddenly due to the global pandemic of infectious disease and make suggestions for effective distance learning in the coming era of Metaverse by emphasizing the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between instructors and learners through an analysis of distance learning of a convergence subject.

비대면 의사소통 교양 수업 사례 연구 - 성찰일지 및 피드백 활동을 중심으로 (A Case Study of Untact Communication liberal Arts Class - focusing on Reflection Journals and Feedback Activities)

  • 최윤희;김진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8호
    • /
    • pp.444-454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의사소통 교양 수업을 수강한 공학계열 학생들을 대상으로 비대면 온라인 수업에서 학업성찰일지 작성과 피드백 활동 경험을 분석하여 그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 이러한 학습 전략이 학생들의 학습동기를 촉진시키고 수업 참여와 몰입에 유용한지를 확인하는 데 있다. 수업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학습동기에 대한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고, 학생들의 성찰일지와 심층면담한 내용을 질적 연구 방법 중 하나인 주제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성찰일지와 피드백 활동이 개인의 학습 이해, 몰입, 태도 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고, 학습동기 및 학습태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학습 효과에 의미있게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를 통해 비대면 교육 환경의 변화에 따른 적절한 학습 전략으로 학생들의 적극적인 학습태도와 긍정적인 수업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던 점에서 의의가 있다. 교육환경의 변화에 따른 다양한 교수-학습 전략들이 다방면에서 모색되고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온라인 수업에서 주의 집중을 저해하는 요인과 해결방안 (Factors which Hinder Attention in Online Classes and Solutions)

  • 신수범
    • 창의정보문화연구
    • /
    • 제6권3호
    • /
    • pp.159-168
    • /
    • 2020
  • 교실수업과 같은 대면 수업과 달리 온라인 수업에서는 다양한 변인이 학습 효과에 영향을 미친다. 온라인 수업에서 교수자는 학습자의 다양한 변인을 사전에 인지해야 하며 만일 학습을 저해하는 변인들이 있다면 이를 제거함으로써 학습 주의 집중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어떠한 변인들이 주의 집중을 떨어뜨리는가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수업에서 발생 될 수 있는 주의 집중 저해 변인들을 선별하여 설문을 통해 요인 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 주의 집중 저해 요인은 크게 세 가지로 수업 내용의 이해 부족, 다양하지 못한 교수 방법, 지루함, 알고 있는 내용, 피드백과 의사소통 부족 등과 같은 수업 진행 요인, 늦잠이나 주변 소음 등과 같은 주변 환경 요인, 정보기기 조작의 어려움, 화면이나 소리가 나오지 않음, 인터넷 끊김 등과 같은 기기 조작 요인 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로부터 요인별 온라인 수업 주의 집중을 높이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언택트시대, 비대면 온라인 수업의 효율성 연구 -대학 수학 수업에서의 다양한 수업기법 활용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Efficiency of Online Classes -Focused on Various Teaching Methods in College-)

  • 홍예윤;임연욱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0호
    • /
    • pp.63-73
    • /
    • 2021
  • 코로나19 사태로 인하여 일반 대학에서 갑작스럽게 시행된 온라인 수업은 학력저하에 대한 많은 우려감이 팽배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는 오프라인으로 진행되었던 같은 과목(미적분학I)의 같은 내용의 수업을 100% 온라인수업으로 수행하면서 그에 걸맞은 다양한 교수학습방법을 통해 수업의 질을 유지하고자 했다. 그 결과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는 오프라인 수업 때와 유사하거나 오히려 우월한 성과를 보여주었고 학습자들의 인식 및 만족도에 있어서도 온라인수업의 장점들이 부각되었다. 그러나 이는 단순한 온라인수업의 성과라기보다는 기존의 오프라인 수업에 다양한 교수학습 자료와 테크놀로지 활용이 더하여진 교수자의 강의 운영에서 비롯된 결과로서 오프라인과 온라인이라는 매체의 차이보다는 교수학습방법의 완성도가 가장 큰 영향을 미쳤음을 파악했다. 본 연구는 코로나19 사태 이후로도 온라인수업의 잠재성과 비전을 보여주는 의미 있는 연구로서 향후 더욱 다양한 교육과정에서 검증 연구가 이어질 것을 기대한다.

코로나19 대응조치에 관한 공공도서관 사서인식 조사연구 (A Study on the Librarians' Perception of Public Library about the Response to the COVID-19)

  • 노영희;장로사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203-220
    • /
    • 2020
  • 코로나19 대유행이 장기화됨에 따라 비대면 사회로 전환되고 있으며, 이는 국내외 도서관계의 서비스 방법론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의 코로나19 대응조치에 관한 사서인식을 조사하였으며, 분석된 결과를 토대로 신종 감염병이 확산 및 장기화되고 있는 상황에서의 공공도서관의 대응방안을 제안하였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첫째, 유행성 질병에 대해 공동으로 대응하는 국가 중심의 도서관 대책 마련, 둘째, 정부 차원의 예산 지원을 통한 다양하고 체계적인 공공도서관 비대면 및 온라인서비스 강화, 셋째, 직원 및 이용자 측면에서의 철저한 방역 및 선제적 대응, 넷째, 정보불평등 계층의 디지털 문화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도서관서비스 확대를 제안하였다.

'메타버스' 교수법 적용, 문제점 및 활용방안 (Application of 'Metaverse' teaching method, problems and usage plan)

  • 조우홍;장영은;변길희;최대훈;김미경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22년도 제66차 하계학술대회논문집 30권2호
    • /
    • pp.361-363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메타버스 교수법 적용을 통해 문제점을 파악하고 활용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교수법을 효율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각각 전공이 다른 교수자가 참여하여 학습법을 공유하였다. 대부분 메타버스 활용으로 흥미로운 학습법이 이루어진 반면에 다양한 문제점도 나타났다. 활용방안으로 게임, 토론, 대화 등을 통해 사전에 충분히 숙달될 수 있도록 하고, 정규수업이 아닌 비정규 교과목에서 우선 적용, 아바타 꾸미기 활용으로 보다 즐겁게 수업 참여 유도, 가상현실속에서 예의범절 지키기 등 학습 환경 이해, 학생들의 가상공간을 통해 자신들의 언어로 수업을 이끌어 흥미 유발, 젭 스페이스에서 나만의 강의실 만들기, 친구와 대화 및 상호작용 시행, 이론 교과목 수업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 모의토론 및 발표 자유롭게 유도, 자신만의 케릭터 꾸미기, 진로코칭 및 상담 적용, 수업 종료후 학생만의 추가 활동 유도 등 활용방안이 제시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