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niversity learning outcome

검색결과 277건 처리시간 0.022초

빅데이터 기반 2형 당뇨 예측 알고리즘 개발 (Development of Type 2 Prediction Prediction Based on Big Data)

  • 심현;김현욱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8권5호
    • /
    • pp.999-1008
    • /
    • 2023
  • 당뇨병과 같은 만성 질환의 조기 예측은 중요한 이슈이며, 그중에서도 당뇨 예측의 정확도 향상은 매우 중요하다. 당뇨 예측을 위한 다양한 기계 학습 및 딥 러닝 기반 방법론을 도입하고 있으나, 이러한 기술들은 다른 방법론보다 더 우수한 성능을 위해 대량의 데이터를 필요로 하며, 복잡한 데이터 모델 때문에 학습 비용이 높다. 본 연구에서는 pima 데이터셋과 k-fold 교차 검증을 사용한 DNN이 당뇨 진단 모델의 효율성을 감소시킨다는 주장을 검증하고자 한다. 의사 결정 트리, SVM, 랜덤 포레스트, 로지스틱 회귀, KNN 및 다양한 앙상블 기법과 같은 기계 학습 분류 방법을 사용하여 어떤 알고리즘이 최상의 예측 결과를 내는지 결정하였다. 모든 분류 모델에 대한 훈련 및 테스트 후 제안된 시스템은 ADASYN 방법과 함께 XGBoost 분류기에서 최상의 결과를 제공하였으며, 정확도는 81%, F1 계수는 0.81, AUC는 0.84였다. 또한 도메인 적응 방법이 제안된 시스템의 다양성을 보여주기 위해 구현되었다. LIME 및 SHAP 프레임워크를 사용한 설명 가능한 AI 접근 방식이 모델이 최종 결과를 어떻게 예측하는지 이해하기 위해 구현되었다.

Squeak Etoys 활용 알고리즘 학습이 중학생의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lgorithm Learning with Squeak Etoys on Middle School Students' Problem Solving Ability)

  • 정미연;이은경;이영준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70-191
    • /
    • 2008
  • 알고리즘 학습이 학습자의 창의적 문제해결력, 논리적사고력과 같은 고차원적인 인지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되지만, 알고리즘 학습을 처음 접하는 어린 학습자들의 경우 인지적 부담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그래밍을 통한 알고리즘 학습에서 학습자의 인지적 부담을 감소시켜주고 알고리즘 학습에 대한 흥미와 동기 유발을 위한 새로운 교수 설계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의 알고리즘 학습을 위한 프로그래밍 도구로 비주얼 기반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인 Squeak Etoys를 선정하고 이를 활용한 알고리즘 학습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설계한 학습 프로그램을 실제 중학교 학습자들에게 적용한 결과, Squeak Etoys 활용 알고리즘 학습이 프로그래밍을 처음 접하는 초보 학습자들의 문제해결성향과 자기효능감, 논리적사고력 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음을 확인하였다. 특히 논리적사고력의 경우, 실험집단과 통제집단모두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이는 알고리즘을 설계하고 표현하는 과정에 대한 학습경험 자체가 논리적사고력 신장에 효과적임을 의미한다. 따라서 초 중등교육에서의 알고리즘 교육은 의미 있는 학습내용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Squeak Etoys 활용 알고리즘 학습을 진행한 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논리적사고력 향상의 정도가 유의미하게 높은 것은 Squeak Etoys와 같은 비주얼 기반 프로그래밍 학습 환경이 알고리즘 학습에 대한 외생적 인지부하를 감소시켜주고 문제해결성향 및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줌으로써 논리적사고력과 같은 고등정신능력 향상에 도움을 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향후 새로운 교육과정 시행될 경우, 알고리즘 학습을 위한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의 선정 및 교수 학습 설계에 유용한 지침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온라인 수업의 교육의 질, 학습 정서가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 H 전문대학 학생들을 중심으로 - (The Influence of Online Classes Educational Quality and Learning Emotions on Learning Outcome - Focusing on H Technical College Students -)

  • 김보영;황혜경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8호
    • /
    • pp.467-476
    • /
    • 2020
  • 본 연구는 전문대학 비대면 온라인 수업에 대한 교육의 질, 학습정서가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이들 간의 관계를 밝혀보는 다각적인 분석을 통해 온라인 수업의 질 향상을 위한 기반연구로서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20년도 3월 1일부터 2020년도 8월31일까지 수도권 소재 H 전문대학 학생 1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Statistic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처리 하였으며 온라인 수업에 대한 인식, 수업의 질, 학습정서와 관련된 요인들이 학습성과에 주는 영향력과 영향관계를 밝히기 위해 t검증, 상관분석,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온라인 수업에 대해 성별, 학년별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인식 차이가 있었다. 둘째, 온라인 수업에 대한 교육의 질, 학습정서, 학습성과는 정적상관을 보이고 있었다. 셋째, 학습성과 중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교육내용과 긍정적 정서로 나타났으며 학습성과 중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교육내용, 학습환경으로 타나났다. 결론적으로 전문대학 비대면 온라인 수업에 대한 교육의 질, 학습 정서가 학습성과가 서로 영향을 미치고 있고, 전문대학생들의 학년, 성별에 따라 온라인 수업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기에 전문대학 수업의 질적 수월성을 확보하기 위해 향후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 부분은 전문대학생들이 자신이 취업하고자 하는 직업 현장의 문제를 창의적으로 해결하고 탐색할 수 있도록 이끄는 학습 내용개발과 학년별, 단계별 접근이 허용되는 학습방법 개발, 학습자들이 안정적으로 수업할 수 있도록 이끄는 수업환경조성이 선행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액션러닝을 활용한 노인간호학실습 수업 운영의 효과 (The Effects of a gerontological nursing clinical practice course using action learning on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 권상민;권말숙;박지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421-427
    • /
    • 2016
  • 본 연구는 노인간호학실습 교육에 액션러닝의 팀 학습 방법을 활용한 교육과정을 운영하고 간호대학생의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능력 및 팀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2015년 3월 9일부터 2015년 6월 19일까지 Y대학 간호학과의 노인간호학 실습 교과목을 수강신청한 간호학과 3학년생 전체를 편의표집 대상으로 하여 실험군은 A, B병원으로 실습을 나가는 학생들 중에서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참여에 동의한 학생 40명, 대조군은 동일 간호대학 3학년 학생들 가운데 실험군과 겹치지 않는 병원(C, D, E병원)에 실습을 낙가는 학생 40명을 선정하여 액션러닝을 2주간 적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1.0 program을 이용하여 하여 일반적 특성과 실험군과 대조군의 사전 동질성 검증은 ${\chi}^2$-test, t-test, 실험처치 효과에 대한 검증은 independent t-test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액션러닝을 적용한 결과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문제해결능력, 의사소통능력 점수는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나, 팀 효능감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액션러닝은 간호학생들의 문제해결능력 및 의사소통능력의 향상을 가져올 수 있고 학습성과 기반 교육과정에서 매우 유용한 교수학습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라 본다.

Comparative Analysis of Machine Learning Models for Crop's yield Prediction

  • Babar, Zaheer Ud Din;UlAmin, Riaz;Sarwar, Muhammad Nabeel;Jabeen, Sidra;Abdullah, Muhammad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2권5호
    • /
    • pp.330-334
    • /
    • 2022
  • In light of the decreasing crop production and shortage of food across the world, one of the crucial criteria of agriculture nowadays is selecting the right crop for the right piece of land at the right time. First problem is that How Farmers can predict the right crop for cultivation because famers have no knowledge about prediction of crop. Second problem is that which algorithm is best that provide the maximum accuracy for crop prediction. Therefore, in this research Author proposed a method that would help to select the most suitable crop(s) for a specific land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affecting parameters (Temperature, Humidity, Soil Moisture) using machine learning. In this work, the author implemented Random Forest Classifier, Support Vector Machine, k-Nearest Neighbor, and Decision Tree for crop selection. The author trained these algorithms with the training dataset and later these algorithms were tested with the test dataset. The author compared the performances of all the tested methods to arrive at the best outcome. In this way best algorithm from the mention above is selected for crop prediction.

국내 AI 교육 프로그램 연구동향 분석: 주제범위 문헌고찰 방법론을 적용하여 (Domestic Research Trend of AI Education Program: A Scoping Review)

  • 한정윤;허선영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5권6호
    • /
    • pp.879-890
    • /
    • 2021
  • 미래 사회에는 AI와 인간이 공존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는 가운데, 소양 교육의 성격으로 AI 교육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국내에서 이루어진 AI 교육 프로그램 연구동향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연구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주제범위 문헌고찰 방법을 적용하여, 2017년부터 2020년까지 국내에서 이루어진 AI 교육 프로그램 문헌 29개를 발행연도, 교육대상, 학습내용, 학습결과, 실습환경의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국내 AI 교육 프로그램 연구는 2020년에 급증하였으며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교육 프로그램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AI 원리에 대한 교육내용을 주로 다루고 있으며, 인지와 정의적 측면의 학습결과를 측정한 연구의 비율이 높고, 블록코딩을 비롯한 다양한 실습환경이 비교적 골고루 사용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추후 연구의 방향성을 논의하고 제안하였다.

중소기업 학습조직 담당자의 교육 요구조사 (Education Needs Assessment of Managers for Learning Organization in Small and Mum Enterprises)

  • 임세영;염명국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1-19
    • /
    • 2012
  • 본 연구는 중소기업 학습조직 담당자의 역할과 구체적 과업별 중요도와 수행수준에 대한 학습조직화 지원 사업에 참여한 중소기업의 학습조직 담당자들의 인식수준을 조사하여 교육수요를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학습조직담당자의 역할을 혁신자, 운영자, 전파자, 촉진자 등 4개로 구분하고 구체적 과업을 20개로 정리하여 5점척도에 응답하게 하는 설문지를 개발하여 200여개의 중소기업에 배포한 결과, 123매의 응답이 회수되어 이를 기초로 교육요구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나타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조직화 담당자의 역할 중요도(요구수준)에 대한 인식은 현행수행수준(3.73) 보다 높게(4.36) 나타났고, 역할 중요도의 순서는 혁신자, 운영자, 전파자, 촉진자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조직 담당자의 과업별 수행수준에 대한 인식정도를 살펴본 결과 중요도(요구수준)는 전반적으로 중급(4.1) 이상의 높은 수준이 요구된다고 인식하고 있는 반면, 현재 보유수준은 다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현재의 보유수준과 요구수준의 차이를 기초로 담당자에게 함양 또는 보강되어야 할 직무능력을 분석한 결과 학습조직 활성화를 위한 촉진활동, 학습조 리더 육성, KMS운영 및 성과창출 역량이 가장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는 학습조 도입에 따른 조직의 변화관리 역량의 함양과 보강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건설 사고사례 데이터 기반 건설업 사망사고 요인분석 (A Data-Driven Causal Analysis on Fatal Accidents in Construction Industry)

  • 최지윤;김시현;이송이;김경훈;이수동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63-71
    • /
    • 2023
  • The construction industry stands out for its higher incidence of accidents in comparison to other sectors. A causal analysis of the accidents is necessary for effective prevention. In this study, we propose a data-driven causal analysis to find significant factors of fatal construction accidents. We collected 14,318 cases of structured and text data of construction accidents from the Construction Safety Management Integrated Information (CSI). For the variables in the collected dataset, we first analyze their patterns and correlations with fatal construction accidents by statistical analysis. In addition, machine learning algorithms are employed to develop a classification model for fatal accidents. The integration of SHAP (SHapley Additive exPlanations) allows for the identification of root causes driving fatal incidents. As a result, the outcome reveals the significant factors and keywords wielding notable influence over fatal accidents within construction contexts.

교수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이 대학생의 감성적 실재감, 라포 및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Instructor's Non-verbal Communication on College Student's Emotional Presence, Rapport and Learning Satisfaction)

  • 송윤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0호
    • /
    • pp.259-267
    • /
    • 2020
  • 수업은 교수자와 학습자 간의 커뮤니케이션을 기반으로 이루어진다. 수업에서 교수자의 언어적 커뮤니케이션과 더불어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학습과정과 학습성과에 영향을 준다는 점에 관심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근거하여 교수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과 연계된 학습자의 학습과정 변인으로 감성적 실재감과 라포, 학습성과 변인으로 학습만족도를 정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수업에서 교수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과 대학생의 감성적 실재감, 라포 및 학습만족도 간의 관계를 구조적으로 규명하는 데 있다. 경기지역 A대학교 및 대전지역 K대학교의 재학생 378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구조방정식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교수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은 대학생의 감성적 실재감과 라포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감성적 실재감은 라포와 학습만족도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라포는 학습만족도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교수자는 수업 중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의 역할을 인식하고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결과는 대학 수업에서 교수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활용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임상 시나리오 중심 핵심 간호기술 강화 프로그램의 효과 (Empowerment on Clinical Nursing Skills Core Program)

  • 김혜숙;박해령;박은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2호
    • /
    • pp.589-599
    • /
    • 2014
  • 본 연구는 간호학과 학생들의 핵심 간호기술의 향상과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임상 시나리오 중심의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간호학과 학생들의 비판적 사고성향, 문제해결과정 및 임상수행능력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4년제 간호학과 4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편의 표출법(Convenience Sampling)을 하였으며, 실험군과 대조군의 동질성 검증은x2-test와 t-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임상 시나리오중심 핵심실기역량 강화 프로그램의 차이는 independent t-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비판적 사고(t=4.102, p<.001), 문제해결능력(t=5.082, p<.001)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임상수행능력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간호학과 학생들의 자기주도성의 차이로 사료된다. 본 연구결과 핵심 간호기술 강화를 위한 임상 시나리오 중심의 교육프로그램은 간호학과 학생들의 핵심 간호기술 역량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