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Influence of Instructor's Non-verbal Communication on College Student's Emotional Presence, Rapport and Learning Satisfaction

교수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이 대학생의 감성적 실재감, 라포 및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송윤희 (한국침례신학대학교 유아교육과 조교수)
  • Received : 2020.06.09
  • Accepted : 2020.09.22
  • Published : 2020.10.28

Abstract

Teaching and learning is based on communication between instructors and learners. In addition to instructor's verbal communication in the classrooms, non-verbal communic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There is growing concerned about instructor's non-verbal communication affecting the learning process and learning outcomes. Based on the literature research student's emotional presence and rapport were used variables of learning process, and learning satisfaction was used as a variable of learning outcome to see the relationship of instructor's non-verbal communication. Data was collected from 378 students at A university in Gyeonggi-do and K university in Daejeon. The data was analyz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s modeling. As a result of the study, instructor's non-verbal communication had a positive impact on emotional presence and rapport. Emotional presence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rapport and learning satisfaction positively, and rapport had a positive effect on learning satisfaction. Instructors should be able to recognize the role of non-verbal communication in the classes as well as be able to use it appropriately. This study could be used as basic data onto the use of non-verbal communication in university classrooms.

수업은 교수자와 학습자 간의 커뮤니케이션을 기반으로 이루어진다. 수업에서 교수자의 언어적 커뮤니케이션과 더불어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학습과정과 학습성과에 영향을 준다는 점에 관심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근거하여 교수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과 연계된 학습자의 학습과정 변인으로 감성적 실재감과 라포, 학습성과 변인으로 학습만족도를 정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 수업에서 교수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과 대학생의 감성적 실재감, 라포 및 학습만족도 간의 관계를 구조적으로 규명하는 데 있다. 경기지역 A대학교 및 대전지역 K대학교의 재학생 378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구조방정식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교수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은 대학생의 감성적 실재감과 라포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감성적 실재감은 라포와 학습만족도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라포는 학습만족도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교수자는 수업 중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의 역할을 인식하고 적절하게 활용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결과는 대학 수업에서 교수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활용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R. L. Birdwhistell, Kinetics in Context,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1970.
  2. A. Mehrabian, Nonverbal Communication, Antherton, 1972.
  3. P. W. Miller, Non-verbal Communication (3rd ed), National Education Association, 1988.
  4. B. Pease and A. Pease, The Definitive Book of Body Language, New York, NY: Bantam Books, 2006.
  5. 이경탁, "교수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사용이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전략마케팅학회지, 제18권, 제4호, pp.125-140, 2010.
  6. 이호열, 박재우, "공무원 연수 체육프로그램지도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과 참여자의 스포츠 몰입 및 지속적 참여행동의 관계," 한국체육학회지, 제51권, 제4호, pp.223-235, 2012.
  7. 이승아, 무용교사의 언어적.비언어적 지도행동이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4.
  8. 장성호, 이제영, 이재영, "대학교수의 비언어적 요소가 수업성취도에 미친 영향의 유형에 관한 연구: Q방법론 적용을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학 연구, 제12권, 제3호, pp.90-117, 2014.
  9. G. M. Goldhaber,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Brown Company Publishers, 1983.
  10. A. Kendon(ed.), Nonverbal Communication, Interaction, and Gesture. Selections from Semiotica Series, Vol.41, Walter de Gruyter, 1981.
  11. D. S. Sundaram and C. Webster, "The role of nonverbal communication in service encounters," Journal of Services Marketing, Vol.14, No.5, pp.378-391, 2000. https://doi.org/10.1108/08876040010341008
  12. C. P. Zeki, "The importance of non-verbal communication in classroom management," Procedia 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Vol.1, pp.1443-1449, 2009. https://doi.org/10.1016/j.sbspro.2009.01.254
  13. 이경탁, "교수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사용이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마케팅논집, 제18권, 제4호, pp.125-140, 2010.
  14. 신진화, 김공, "교수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따른 학생들의 전반적인 태도 및 인식 예측 분석," 한국체육과학회지, 제24권, 제4호, pp.657-672, 2015.
  15. B. G. Witmer and M. J. Singer, "Measuring Presence in Virtual Environments: A Presence Questionnaire," Presence, Vol.7, No.3, pp.225-240, 1998. https://doi.org/10.1162/105474698565686
  16. M. J. Wang and M. Kang, "Cybergogy for engaged learning: A framework for creating learner engagement through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n M. S. Kinde (Ed.), Engaged Learning with Emerging Technology, pp.225-253, Springer Publishing, 2006.
  17. P. Campbell and M. Cleveland-Innes, "Educational presence in the community inquiry model: The student's viewpoint," 21st Annual Conference of Distance Teaching and Learning, 2005.
  18. 강명희, 협력학습을 위한 Cybergogy 모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2005.
  19. M. H. Kang, S. H. Kim, H. S. Choi, and S. H. Park, "Validating an Emotional Presence Scale to Measure Online Learners' Engagement," In G. Richards (Ed.), Proceedings of World Conference on E-Learning in corporate, Government, Healthcare, and Higher Education, pp.6079-6082, Chesapeake, AACE, 2007.
  20. 서창원, "감성정보로서 비언어 커뮤니케이션이 갖는 의의에 관한 연구," 기초조형학연구, 제10권, 제6호, pp.203-211, 2009.
  21. 장현종, "프랜차이즈 커피전문점직원의 비언어적커뮤니케이션이 고객의 감정, 만족,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관광연구저널, 제28권, 제9호, pp.217-231, 2014.
  22. 조원호, 김영환, 최대혁, 윤용진, "에어로빅 지도자이미지와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이 참여자의 감정반응 및 운동지속의사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지, 제24권, 제1호, pp.321-339, 2015.
  23. 최윤희, 비언어커뮤니케이션, 커뮤니케이션북스, 1999.
  24. U. Hess, The communication of emotion. In A. Kaszniak (Ed.), Emotions, qualia, and consciousness (pp. 397-409), Singapore: World Scientific Publishing. 2001.
  25. D. D. Gremler and K. P. Gwinner, "Customer-employee rapport in service relationships," Journal of Service Research, Vol.3, No.1, pp.82-104, 2000. https://doi.org/10.1177/109467050031006
  26. W. T. Faranda and I. Clarke, "Student observations of outstanding teaching: Implications for marketing educators," Journal of Marketing Education, Vol.26, No.3, pp.271-281, 2004. https://doi.org/10.1177/0273475304268782
  27. N. A. Granitz, S. K. Koernig, and K. R. Harich, "Now it's personal: Antecedents and outcomes of rapport between business faculty and their students," Journal of Marketing Education, Vol.31, No.1, pp.52-65, 2009. https://doi.org/10.1177/0273475308326408
  28. L. C. Huff, J. Cooper, and W. Jones, "The development and consequences of trust in student project groups," Journal of Marketing Education, Vol.24, pp.24-34, 2002. https://doi.org/10.1177/0273475302241004
  29. J. H. Wilson, R. G. Ryan, and J. L. Pugh, "Professor-student rapport scale predicts student outcomes," Teaching of Psychology, Vol.37, No.4, p.246, 2010. https://doi.org/10.1080/00986283.2010.510976
  30. N. G. Webb and L. O. Barrett, "Student views of instructor-student rapport in the college classroom," Journal of the Scholarship of Teaching and Learning, Vol.14, No.2, pp.15-28, 2014. https://doi.org/10.14434/josotl.v14i2.4259
  31. 주형철, 조원호, 김원경, 김수현, "에어로빅 지도자의 언어적,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과 갈등, 유대감 및 운동지속의사의 구조적 관계," 코칭능력개발지, 제16권, 제2호, pp.25-36, 2014.
  32. 지성애, 정재은, "유아의 정서지능과 인지능력, 또래상호작용, 유아-교사관계 간의 관계 분석," 유아교육학논집, 제15권, 제5호, pp.335-358, 2011.
  33. 송윤희, 지성구, "대학 수업에서 교수자의 유머러스함, 래포, 몰입 및 만족도와의 관계," 교육과학연구, 제43집, 제4호, pp.245-269, 2012.
  34. J. H. Wilson, R. G. Ryan, and J. L. Pugh, "Professor-Student Rapport Scale Predicts Student Outcomes," Teaching of Psychology, Vol.37, No.4, pp.246-251, 2010. https://doi.org/10.1080/00986283.2010.510976
  35. J. M. Keller, Motivational design of instruction, In C. M. Reigeluth (Ed.), Instructional-design theories and models: An overview of their current status,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83.
  36. D. Kirkpatrick, Evaluating Training Programs: The Four Levels, Berrett-Koehler, 1998.
  37. 주영주, 김소나, 박수영, 김은경, "사이버교육에서 학습자의 만족도, 학업 성취도 및 학습전이 간의 관계 규명," 교육정보미디어연구, 제15권, 제1호, pp.23-43, 2009.
  38. M. L. Machado, R. Brites, A. Magalhaes, and M. Sa, "Satisfaction with higher education: Critical data for student development," European Journal of Education, Vol.46, No.3, pp.415-432, 2011. https://doi.org/10.1111/j.1465-3435.2011.01489.x
  39. 박유찬, "고등학교 체육교사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과 교사-학생 상호작용이 체육수업 태도 및 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교육학회지, 제24권, 제2호, pp.171-184, 2019.
  40. 정샘, 정태겸, 박성언, "여자 중학교 체육교사의 언어적.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과 수업태도 및 수업만족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회지, 제24권, 제6호, pp.197-208, 2015.
  41. 한영일, 박도헌, "체육관련학과 교수의 언어적 .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따른 수업 효과 분석," 한국체육과학회지, 제24권, 제6호, pp.373-388, 2015.
  42. 김지심, 강명희, "기업 이러닝에서 학습자가 인식한 교수실재감과 학습실재감, 학습효과의 구조적 관계 규명," 아시아교육연구, 제11권, 제2호, pp.29-56, 2010.
  43. 이정민, 오성은, 정현민, "페이스북을 활용한 대학수업에서 학습실재감과 각 실재감 하위요인의 학습만족도, 학습지속의지 예측," 제26권, 제3호, pp.489-510, 2014. https://doi.org/10.17927/TKJEMS.2014.26.3.489
  44. 정찬수, 조태수, "해양교육 프로그램 관리자의 래포와 서비스 만족, 구전, 충성도의 관계 연구," 한국사회체육학회지, 제74권, pp.91-106, 2018.
  45. 홍성윤, 신승호, "검도지도자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과 라포 및 수련만족도 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체육과학회지, 제29권, 제1호, pp.303-316, 2020.
  46. M. Kang, J. Kim, and M. Park, "Investigating presence as a predictor of learning outcomes in e-Learning environments," Proceeding of World Conference on Educational Multimedia, Hypermedia and Telecommunications 2008, pp.4175-4180, 2008.
  47. N. Shin, "Transactional presence as a critical predictor of success in distance learning," Distance Education, Vol.24, No.1, pp.69-86, 2003. https://doi.org/10.1080/01587910303048
  48. 김계수,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한나래아카데미, 2010.
  49. 유영진, "서비스 제공자의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이 브랜드 이미지, 고객만족,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12호, pp.319-331, 2018. https://doi.org/10.5392/jkca.2018.18.12.319
  50. 목선아, 백준기, "비언어 커뮤니케이션 관점에서 바라본 인터랙티브 미디어아트에 대한 접근 및 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2호, pp.585-594,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12.5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