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심문숙(1996). 문제해결력에 대한 자기 평가와 우울 증상과의 관계.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 |
Fujioka T.(2004). Practices of Information Education with Squeak toward the Secure Improvement of 'Academic Ability'. Proceedings of the Seco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reating, Connecting and Collaborating through Computing, 130-137.
|
3 |
Hundhausen, C. D. & Brown, J. L.(2006). Designing visualizing, and discussing algorithms within a CS 1 studio experience: An empirical study. Computer & Education, Unpublished.
|
4 |
Halit Vural 외(2006). Using Squeak for Teaching High School Students 'How Computers Think'. 한국컴퓨터교육학회학술발표논문집, 159-164.
|
5 |
Perkins, D. N., Schwartz, S. & Simmons, R.(1988). Instructional strategies for the problems of novice programmers. In Mayer, R. (Ed.), Teaching and learning computer programming: Multiple research perspectives. Hillsdale, New Jersey: Lawrence Erlbaum Associates.
|
6 |
이경화(2002). 초등학생을 위한 로고 프로그래밍 지도 방안. 한국정보교육학회하계학술발표논문집, 7(2), 1-8.
|
7 |
류향미(1994). LOGO 프로그래밍 학습이 논리적 사고 기능 향상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8 |
Programming. National Educational Computing Conference, Georgia World Congress Center, Atlanta, Georgia, USA.
|
9 |
오세인, 박정호, 이태욱(2007). squeak 언어를 적용한 실업계 고등학교 프로그래밍 수업이 논리적 사고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컴퓨터교육학회학술발표논문집, 99-103.
|
10 |
Konomi S.(2003). Initial Experiences of ALAN-K: An Advanced LeArning in Kyoto. Proceedings of the First Conference on Creating, Connecting and Collaborating through Computing, 96-103.
|
11 |
Tucker, A., Deek, F., Jones, J., McCowan, D., Stephenson, C. and Verno, A. (2003). A model curriculum for K-12 computer science: Report of the ACM K-12 Education Task Force Computer Science Curriculum Committee. NY: association for Computing Machinery.
|
12 |
Fujioka T.(2006). What Does Squeak Provide Students with_A Comparative Study of Squeak eToy and Excel VBA as Tools for Problem-Solving Learning in High School. Proceedings of the Four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reating, Connecting and Collaborating through Computing, 42-49.
|
13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7). 중학교 교과재량활동I(한문, 정보, 환경) 교육과정 해설 연구 개발. 연구보고 CRC 2007-24호.
|
14 |
김은주(2007). 초보자 대상 컴퓨터 프로그래밍 교재 분석. 경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15 |
Marcy, P.(2000). Psychology of Learning for Instruction, 양용칠 역(2002), 수업설계를 위한 학습심리학. 서울: 교육과학사.
|
16 |
교육인적자원부(2007).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제2007-79호.
|
17 |
양승주(2006). EPL을 이용한 문제해결 과정에서의 객체지향 개념학습.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18 |
채유진(2005). 컴퓨팅 교육을 위한 교육용 프로그래밍언어 두리틀․스퀵의 비교분석.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19 |
East, P., & Hutton, M. (2007). Point/Counter-Point: On Using Graphical Languages to Teach
|
20 |
양일동 외(2006).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로서 스퀵과 비주얼 베이직의 비교 실험. 한국컴퓨터교육학회학술발표논문집, 55-60.
|
21 |
최연희(2001). 아동의 귀인유형과 학습된 무기력, 자기효능감과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2 |
이유순(1995). 논리적 사고력 및 문제해결능력 신장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래밍 교육-베이직, 로고 프로그래밍 비교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