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Third-Person Effect

검색결과 158건 처리시간 0.027초

독특성 추구성향과 호기심이 아트 콜라보레이션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감정에 미치는 영향: 성별에 따른 조절효과 (The Effect of Curiosity and Need for Uniqueness on Emotional Responses to Art Collaborated Products including Moderating Effect of Gender)

  • 주선희;구동모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14권2호
    • /
    • pp.97-125
    • /
    • 2012
  • 연구목적 - 최근 기업에서 마케팅이나 광고를 할 때 아트를 활용하여 기존의 명화나 아티스트들과 협업한 새로운 작품을 제품에 접목하거나, 마케팅에 활용하는 경우가 늘어나는 추세이다. 아트 콜라보레이션 제품을 새로운 자극으로 생각하고, 자극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독특성 추구성향과 호기심이 많은 소비자일수록 아트 콜라보레이션 제품에 대한 호감도가 증가할 것으로 본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아트마케팅에 대해 전반적으로 살펴보고, 개인특성인 호기심과 독특성 추구성향이 아트 콜라보레이션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감정에 미치는 영향과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보았다. 그리고 성별에 따라 개인특성과 소비자의 감정 사이에 미치는 영향은 차이가 있을 것이라 예측하고 성별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 호기심은 긍정적 감정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환기와 부정적 감정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특성 추구성향 중 창의적 선택은 긍정적 감정과 환기에 정의 영향을 미치며, 부정적 감정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특성 추구성향 중 비대중적 선택은 긍정적 감정과 부정적 감정에는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환기에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독특성 추구성향 중 유사성 회피는 소비자의 감정에 어떠한 영향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성별에 따른 차이를 살펴본 결과, 창의적 선택과 부정적 감정 사이와 비대중적 선택과 부정적 감정 사이에서만 남녀 간의 차이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사점 - 소비자의 호기심을 유발시킬 수 있는 새로운 디자인이나 전략을 시도하면 효과적일 것을 알 수 있으며, 독특성 욕구 중 자신의 정체성을 표현하고자 하는 욕구가 높은 사람이 아트 제품에 대하여 감정의 영향을 많이 받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지속적으로 예술가들과 콜라보레이션 활동을 통해 소비자의 감성을 자극하는 제품을 생산해야 할 것이다. 성별에 따른 큰 차이가 없으므로 남녀 구분없이 모두의 관심을 끌 수 있는 마케팅을 해도 무관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PDF

임파워먼트(Empowerment)가 호텔주방조직 구성원의 직무만족과 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Effects of Empowerment on Job Satisfaction, Commitment, Culinary Staff in the Hotel)

  • 김기영;염진철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136-151
    • /
    • 2003
  • The summarized analysis result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regarding the difference of preceding variable and dependent variable, statistically considerable difference did not appear between self determination and personal relations in educational background and between groups of self determination in hotel type, and statistically considerable difference appeared among other groups. Second, regression analysis result between empowerment and job satisfaction turned out that statistically considerable influence is exerted in the order of personal relations ability, influence power, role performance ability and self-decision nature. Third, regression analysis result between empowerment and job devotion turned out that statistically considerable influence is exerted in the order of personal relations ability, role performance ability and influence power. Fourth, regression analysis result between empowerment and organization devotion turned out that statistically considerable result is exerted in the order of influence power and personal relations ability. Fifth, it turned out that statistically relative high correlation existed among correlation of empowerment and result variable such as job satisfaction, job devotion and organization devotion. The above-mentioned matters considered, this research proposes following points. This research examines the effect of empowerment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culinary staff in the hotel. the effect of the variable of empowerment on result variable shows that role performance ability, influence power and personal relations ability are important variables. Therefore, to improve the role performance ability of members of kitchen, it is essential for each individual to improve their ability and to have confidence at the time of business performance. So, this research implies that consistent and systematic training is necessary for increasing the ability and confidence. In order to improve influence power, it is necessary for members of an organization to have strong faith that their jobs determine the success of the company, and to increase the sense of self-control by letting them have the right of self determination, so that all members may have strong desire to transact business. This research implies that in order to improve personal relations ability, it is necessary for members of an organization to discover the best method of decision-making and solve problems through members' developing mutual action, and for managers to take personal characteristics into account so that members may have belief and confidence in their job and realize the value of their job. In conclusion, the person in charge of personnel affairs and the manager in charge of kitchen need to realize the importance of empowerment and especially have an much interest in all parts including self determination, influence power and role performance ability and personal relations ability etc.

  • PDF

인지적 정서조절 기제로서 자기거리두기: 개념, 측정과 효과 소개 (Self-distancing as a Cognitive Tool for Emotion Regulation: Its Concept, Measurement, and Effect)

  • 조명현
    • 감성과학
    • /
    • 제23권3호
    • /
    • pp.103-120
    • /
    • 2020
  • 본 논문에서는 인지적 정서조절의 방법으로 활용되는 자기거리두기의 개념과 측정, 효과에 대해 소개하였다. 자기거리두기(self-distancing)는 자신에게 몰입하는 상태의 반대 개념으로, 자신의 경험을 다룰 때 한 발짝 물러나서 이를 다소 관조적으로 바라보는 행위를 일컫는다. 자신의 경험을 다룰 때 마음속에서 자신과 얼마나 거리를 두는지에 따라 인지적 정서적으로 지각되는 정도가 다르고 이는 사건을 이해하는 정도는 물론 이로 인한 정서의 양상에까지 영향을 준다. 그 간의 많은 연구들에 따르면, 자기거리두기를 많이 하는 것이 개인의 정서에 도움이 된다는 결과들이 지배적인데,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결과들을 정리하여 자기거리두기가 무엇을 의미하고 어떤 효과가 있는지를 정리해 보았다. 먼저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자기거리두기 개념의 이해를 돕기 위해 관찰자 관점, 자기반성, 이성적 태도 등의 개념을 통해 자기거리두기가 어떤 특징이 있고 어떤 방향에서 바라보고 접근하게 되는지를 제시하였고, 이와 함께 자기거리두기를 어떻게 측정할 수 있는지 또한 짚어보았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자기거리두기로부터 얻을 수 있는 효과를 정서적, 인지적, 생리적, 행동적, 발달적 측면에서 세분화하여 소개하였다. 한편, 이 개념으로부터 기대되는 긍정적인 효과들이 반복적으로 검증됨에도 불구하고 일관되지 않은 결과들도 함께 발견되고 있어 이를 함께 언급하였다. 아울러 자기거리두기가 앞으로 연구되는 과정에서 다루어져야 하는 부분들에 대한 고찰이 함께 이루어졌다. 마지막으로 이연구가 가진 학술적·실용적 의미들을 짚어보았다.

영구임대아파트 입주자의 우울 영향요인에 관한 융합연구 : K 광역시를 중심으로 (A Convergence Study on the Depression Factors of Permanent Rental Apartment Residents : Focusing on K-Metropolitan City)

  • 이형하;박종선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319-329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영구임대아파트 입주자의 부정적인 정신건강상의 문제인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연결고리를 파악하고, 지역사회의 차원에서 우울감 감소를 위한 정책적·실천적 지원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K광역시 영구임대아파트 입주자 1,920세대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분석 결과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조사 대상자의 절반이 넘는 51.1%가 우울 증상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인구사회학적 변인 중 가구주 성별, 연령, 일인가구, 사회보장급여 수급이 우울에 정적 영향을 미치며, 연령제곱과 경제활동 참여는 우울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지역사회공동체 변인 중에는 이웃에 대한 생각과 이웃참여의사가 우울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건강상태 변인 중 신체적 건강 어려움과 정신적 건강 어려움이 우울에 정적 영향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영구임대아파트 입주자의 우울감 감소를 위한 개입과 후속연구에 대한 방안들을 논의하였다.

아동기 외상과 마음이론이 스트레스 지각에 미치는 영향 (The Pathway Linking Childhood Trauma and Stress Perception: Mediating Role of Theory of Mind)

  • 장은영
    • 감성과학
    • /
    • 제21권3호
    • /
    • pp.17-28
    • /
    • 2018
  • 아동기 외상은 발달 과정에서 심리적 그리고 생물학적 문제를 초래하고, 이 문제들이 사회인지 발달과 공변하여 이후 스트레스 대처에 장애물로 지속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가정하였다. 이에 아동기 외상, 구체적으로 방임, 신체학대 및 정서학대의 경험이 성인이 된 시점에서 지각하는 스트레스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그 과정에서 마음이론이 매개역할을 하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대학생 155명을 대상으로 아동기 외상 및 지난 일주일 간 지각한 스트레스 수준을 측정하는 자기보고식 척도를 실시하였다. 사회인지 능력의 하나인 마음이론을 측정하는 질문을 실시하고 필요한 경우 면담자가 힌트를 제공하는 구조화된 방식으로 측정하였다. 최종 15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공변량구조분석을 통하여 마음이론의 완전매개 효과를 가정한 모형(모형 1)과 부분매개 효과를 가정한 모형(모형 2)의 간명성과 부합도를 비교하였다. 완전 매개효과 모형을 보면, 마음이론이 스트레스 지각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가 유의하였고, 아동기 방임이 마음이론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가 유의하였다. 아동기 정서학대가 마음이론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는 경향성만 나타내었고, 아동기 신체학대가 마음이론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는 유의하지 않았다, 부분 매개 효과 모형을 보면, 아동기에 경험한 방임은 마음이론에 영향을 미치고, 이는 다시 스트레스 지각에 영향을 미쳤다. 아동기에 경험한 정서학대는 성인기의 스트레스 지각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상관분석 및 완전, 부분 매개효과 모형에서 모두 아동기의 세 가지 유형의 외상 경험은 유의한 상호상관관계를 보였다. 모형의 간명성과 부합도를 비교한 결과에서는 최종적으로 부분 매개효과 모형이 채택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미등기 주택임대차의 대항력 관련 제도개선을 통한 임차인보호 강화 (Consolidation of Protection for Lessees by Improvement of Opposing Power System of the Unregistered Housing Leases)

  • 노한장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8호
    • /
    • pp.466-475
    • /
    • 2014
  • 주택임대차보호법상 주택의 임대차는 그 등기가 없는 경우에도 임차인이 주택의 인도와 주민등록을 마친 때에는 그 "다음 날" 부터 제3자에 대한 대항력이 발생한다. 그러나 주택임대차보호법의 이와 같은 입법태도는 대항요건을 갖춘 임차인보다 같은 날 등기를 갖춘 양수인이나 저당권자 등 후순위 물권자를 우선시키는 문제를 가져오게 된다. 이러한 결과는 주택임차인의 대항력 보호는 물론 부동산 경매 공매절차에 있어서 보증금의 우선변제권 및 최우선변제권과 관련해서도 임차인에게 불측의 손해를 안겨줌으로써 임차인보호에 여러 가지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고 주택임대차보호법의 본래 입법취지대로 국민 주거생활의 안정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주택임대차 대항력과 관련된 제도가 다음과 같이 개선되어야 한다. 첫째, 주택임대차의 대항요건 및 소액보증금의 최우선변제 요건에 확정일자를 추가하여 대항요건의 구비시기를 명확히 하여야 한다. 둘째, 주택임대차의 대항력 발생시기를 '대항요건을 갖춘 다음 날'에서 '대항요건을 갖춘 때'로 앞당겨 임차인이 불측의 손해를 입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셋째, 주택임대차 보증금의 최우선변제 요건에 확정일자를 추가하고, 우선변제권 및 최우선변제권의 효력발생시기를 '대항요건을 갖춘 다음 날'에서 '대항요건을 갖춘 때'로 조정하여 대항요건과의 일관성을 유지하고 경매 공매절차에서 임차인의 보증금 회수를 보호하여야 한다.

청소년의 소비자지식, 돈에 대한 태도 및 소비가치가 합리적 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onsumer Knowledge, Money Attitude and Consumption Values on Rational Consumption Behavior in Adolescent)

  • 서은숙;장윤옥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6권5호
    • /
    • pp.241-257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w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nsumer knowledge of adolescents, money attitudes and consumption values on rational consumption behavior and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these variables on rational consumption behavior.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24 students who were in the first grade and second grade of high school in Daegu.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were employed for the data analysi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knowledge of money management, the purchase knowledge and the consumerism knowledge effected on the money attitude, which regarded money as an instrument of future safety. Among these, it was found that the money management knowledge had the highest affect on this money attitude. The result suggests that the consumer knowledge affects desirable money attitude which regarded money as an instrument of future safety, and then consumer education influences positively money attitude. Second, the money attitude which regarded money as an instrument of future safety affected consumption values most, and the money attitude which regarded money as a means for approval of another person affected the ostentation, the conformity, the discrimination and the aesthetic enjoyment of consumption values. Third, the present study showed that the money attitude which regards money as an instrument of future safety and the economical consumption values were the important factor which affecting each subdimension of the rational consumption behavior. The result suggests the adolescents, who managed money well, saved it for the future, and saved the resources as much as possible when consuming, behaved rational and planned way through all process all process all consumption behaviors. Fourth, the consumer knowledge did not affect the rational consumption behavior directly, but indirectly through the money attitude and the consumption values. Therefore, the consumer knowledge, the money attitude and the consumption values were the important factor for the rational consumption behavior, and it revealed money attitude and consumption values played role as mediate variable. This study results suggest the consumer knowledge that adolescent have learned in school was theoretical and abstract, so it does not affect directly the rational consumption behavior. However these consumer consumption values affect the consumption behavior.

음주.흡연습관이 피부건강 화장습관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rinking and Smoking on Skin Health and Make-up)

  • 이선희;최가;나영순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263-269
    • /
    • 2004
  •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providing the basic data for an informative and educational program designed to give a guideline how to keep and care the skin healthy and proper. Female freshmen, enrolled in colleges in Jeonbuk provincial area, were surveyed about their status of health and way of skin care and make-up. The results of research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268 students(65.4%) were 19 years old or younger. Among the respondents, 219 persons(54.4%) lived in small or medium cities and 271(66.1%) showed less than 20 of body mass index($kg/m^{2}$). Secon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dwelling place, drinking habit(p<0.05), and subjective health status(p<0.05) with health, skin care and make-up habit. Third, drinking, subjective health status appeared to be significant variables affecting facial skin(p<0.05) and health status(p<0.01), respectively. Forth, smoking and regular meal seemed to affect the length of make-up(p<.05) and smoking esd strongly connected with the extent of make-up. The way of thinking about cosmetics were affected by the habits of drinking(p<0.05) and smoking(p<0.01), respectively. Drinking habit was the significant variable of health affecting on the belief in the effect of cosmetics. Fifth, skin health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drinking and smoking habits and positively with subjective health status, BMI($kg/m^{2}$) and frequency of make-up. Sixth, healthier state of facial skin appeared to be happened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p<0.01) in rural areas than in urban areas and with a person of higher than 20 of BMI($kg/m^{2}$) than of less than 20 from the regression analysis. It has been estimated that there were meaningful correlations between the status of health and make-up among female freshmen. Accordingly, the concept of health reinforcement can be adopted to skin care and skin maintenance, so various and comprehensive approaching methods were required to improve and reinforce the skin management and cosmetic culture.

  • PDF

초ㆍ중등 영재학생의 연구윤리 의식 조사 (Survey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Gifted Students' Perceptions on Research Ethics)

  • 이진아;유미현
    • 영재교육연구
    • /
    • 제23권4호
    • /
    • pp.593-614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초 중등 영재학생들의 연구윤리 의식을 분석함으로써 연구윤리교육에의 시사점을 얻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초 중등 영재학생 180명과 초 중등 일반학생 180명이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자는 자신의 연구에 자부심과 책임감을 가져야 한다'와 같은 항목에서는 영재학생, 일반학생 모두 의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대로 '집단으로 하는 탐구활동에서 탐구에 참여를 하지 않은 사람은 연구자에 포함시키지 않는 것이 옳다고 생각한다' 항목의 경우 영재학생, 일반학생 모두에서 가장 낮은 의식을 나타내었다. 전체적으로 영재학생은 일반 학생보다 연구윤리 의식이 높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p<.05). 둘째, 영재학생의 교육 분야별 윤리의식을 비교한 결과 과학영재, 수학영재, 정보영재에 따라 '연구자의 기본자세' 항목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셋째, 초등 영재학생과 중등 영재학생 간에는 '생각과 표현의 윤리' 항목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넷째, 연구윤리교육 경험이 있는 경우와 연구 경험 횟수가 많은 경우 연구윤리 의식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 기술, 생명 연구 윤리' 항목의 경우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연구경험 횟수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p<.05).

노인요당 양성자의 질병관리에 대한 교육 및 추후 관리 양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Health Education and Self-Care Status on the Aged Diabetics)

  • 이선자;권연희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99-116
    • /
    • 1988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Health Education on the aged. One of the Study objectives was to improve knowledge. attitude and self-care practice about diabetes of the aged who have responded positive in the urine sugar test. The other study objective was to find out factors influencing knowledge. attitude and self-care practice about diabetes. and the relationship among the three variables. The subjects, consisting of 45 positive responders in the urine sugar test, were selected from the elderly who attend elderly citizen center in southern part of Seoul Then they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al and a control group. The study design was set to compare the pre and post test data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 with the measures of results from Health Education services including nursing care intervention programs on the aged diabetics. The first data collection was carried out in August. 1986 through questionaires and urine sugar testing. The second data collection was done in September, 1987 through the same method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The experimental group has 9 females and 14 males and the control group has 12 females and 10 males. As for the educational level, more than half of the subjects in both group had completed at least 6 years of education.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urine sugar levels between the two groups. 2. The effect of Health Education on the extent of change in knowledge, attitude and self-care practice about diabetes was found to be significant. The first hypothesis that knowledge, attitude and self-care practice about diabetes in the aged will be unchanged by Health Education. was rejected by increased the three variables and decreased urine suger level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second hypothesis that knowledge, attitude and self-care practice about diabetes wouldn't be concerned with each other, was rejected. That is. the three variables and urine sugar level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but diabetic knowledge to urine sugar level had an in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The third hypothesis that the amount of learning Health Education will have no relationships with knowledge. attitude and self-care practice about diabetes. was rejected. That is, the more number of times an elderly person participated in Health Education. they increased their diabetic knowledge. attitude and self-care practice and decreased their urine sugar level. 3. Except for Health Education, an other factor influencing diabetic knowledge was educational level. And an other factor influencing the diabetic attitude was experience of the diagnosis of diabetes. 4. Except for Health Education. the other factors influencing self-care practice were experience of the diagnasis of diabetes, sex and experience of the hospitalization for diabetes. But factors influencing urine sugar level weren't found. Although the results seem to be plausible, this study is not without its problems. In paticular, the sample used is limited in its scope and size. So, more empirical work needs to be done for other diseases as well as diabetes before any general conclusions are to be mad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