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urvey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Gifted Students' Perceptions on Research Ethics

초ㆍ중등 영재학생의 연구윤리 의식 조사

  • Received : 2013.08.08
  • Accepted : 2013.08.27
  • Published : 2013.08.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search ethics elementary and secondary gifted students enrolled in science-gifted education center of university and to get the implications of research ethics education. 180 elementary and secondary gifted students and 180 general students were participated.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item, such as 'The researchers must have self-esteem and responsibility in their study', both the gifted students and the general students showed the highest perception. On the contrary, the item 'I think that it is right to exclude the person who didn't participate in research' both the gifted students and the general students showed the lowest perception. And gifted students' perception on research ethics was higher than the general students' on the whole.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p<.05). Second, the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research ethics in 'basic attitude of the researcher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mathematically gifted students' and IT gifted students' (p<.05). Third,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elementary gifted students and secondary gifted students in 'ethics of thought and expression' (p<.05). Fourth, experience in research ethics education and the number of research experience was significantly effect on perception of research ethic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gifted students and general students in 'science, technology, biomedical research ethics' items(p<.05).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초 중등 영재학생들의 연구윤리 의식을 분석함으로써 연구윤리교육에의 시사점을 얻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초 중등 영재학생 180명과 초 중등 일반학생 180명이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자는 자신의 연구에 자부심과 책임감을 가져야 한다'와 같은 항목에서는 영재학생, 일반학생 모두 의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대로 '집단으로 하는 탐구활동에서 탐구에 참여를 하지 않은 사람은 연구자에 포함시키지 않는 것이 옳다고 생각한다' 항목의 경우 영재학생, 일반학생 모두에서 가장 낮은 의식을 나타내었다. 전체적으로 영재학생은 일반 학생보다 연구윤리 의식이 높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p<.05). 둘째, 영재학생의 교육 분야별 윤리의식을 비교한 결과 과학영재, 수학영재, 정보영재에 따라 '연구자의 기본자세' 항목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셋째, 초등 영재학생과 중등 영재학생 간에는 '생각과 표현의 윤리' 항목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넷째, 연구윤리교육 경험이 있는 경우와 연구 경험 횟수가 많은 경우 연구윤리 의식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 기술, 생명 연구 윤리' 항목의 경우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연구경험 횟수에 따른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p<.05).

Keywords

References

  1. 김문조, 김종길 (2010). 과학 선진국의 연구윤리 가이드라인과 한국사회에서의 시사점-미국 . 영국 . 독일 . 덴마크 사례들 중심으로-. 담론 201, 13(2), 5-43.
  2. 김성덕 (2012). 초등학교 교사를 위한 과학 연구 윤리 가이드라인 개발.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3. 김언주, 이군현, 이기문, 하종덕 (1998). 과학영재의 도덕성 발달에 관한 연구. 대전: 한국과학재단.
  4. 김정환, 이병희 (2005). 한국판 초등용 DIT 구안 및 타당화-초등학교 학년 중심으로-. 교육평가연구, 18(1), 47-65.
  5. 박경빈, 이미순, 전미란 (2010). 미래사회 영재의 창의?인성 교육을 위한 예비 연구-현장의 영재교사의 인식 중심으로. 영재교육연구, 20(3), 681-701.
  6. 서강식 (2007). 피아제(Piaget)와 콜버그(Kohlberg)의 도덕교육 이론. 서울: 인간사랑.
  7. 서은주 (2008). 생명과학 연구자들의 연구윤리 의식에 관한 조사. 석사학위논문. 강릉대학교.
  8. 유미현, 박은이, 홍훈기 (2008). 과학 영재와 일반 학생의 도덕판단력 비교 및 중.고등학교 과학 영재의 도덕판단력 발달 경향. 국제과학영재학회지, 2(1), 1-11.
  9. 유미현, 전미란, 홍훈기 (2007). 과학 영재 학생들이 존경하는 과학자의 조건과 황우석 박사 사건에 대한 과학 영재들의 인식. 영재교육연구, 17(1), 99-122.
  10. 유한구 (2007). 초중등 연구윤리교육 프로그램 개발. 서울: 한국학술진흥재단.
  11. 윤은정, 박윤배 (2013).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예비 사사과정 학생들의 학습윤리 실태 조사. 영재교육연구. 23(2). 275-287. https://doi.org/10.9722/JGTE.2013.23.2.275
  12. 이병희 (2003). 한국판 초등용 DIT 개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13. 이인재 (2008). 과학기술과 윤리. 서울: 형설출판사.
  14. 이재성 (2012). 연구.학습윤리 규범 연구개발. 철학연구, 제123집, 309-346.
  15. 이향연, 박선자, 유정숙, 이신영, 장지영 (2009). 중학교 과학교과에서의 과학기술 윤리교육 현황. 생명윤리정책연구, 3(2), 233-257.
  16. 이현정 (2010). 초등과학영재와 일반아동의 도덕 판단력 발달 비교. 석사학위논문. 경인교육대학교.
  17. 최용성 (2007). 연구윤리교육의 필요성과 방향성에 관한 연구. 윤리교육연구. 제13집, 261-290.
  18. 한국연구재단 (2011). 연구윤리의 이해와 실천. 서울: 한국연구재단.
  19. D'Angelo-Long, M. (2004). Teach your children well: The high school research experience. In V. Bowman (Ed.), The Plagiarism plague: A resource guide and CD-ROM tutorial foreducators and librarians (pp. 71-78). N.Y.: Neal Schuman.
  20. Derryberry, W. P., Wilson, T., & Snyder, H. (2005). Moral Judgement Developmental Differences Between Gifted Youth and College Students. The Journal of Secondary Gifted Education, 17(1). 6-19. https://doi.org/10.4219/jsge-2005-392
  21. Gregory, I. (2003). Ethics in Research. N.Y.: Continuum.
  22. Jensen, L. A., Arnett, J. J., Feldman, S. S., & Cauffman, E. (2002). It's wrong, but everybody does it: Academic dishonesty among high school and college students.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27(2), 209-228. https://doi.org/10.1006/ceps.2001.1088
  23. Kohlberg, L. (1984). The Psychology of moral development: The nature and validity of moral stages. San Francisco: Harper & Row publishers.
  24. Resnik, D. B. (1998). The Ethics of Science an Introduction. London: Routledge.
  25. Rest, R. (1986). Moral development: Advance in research and theory. N.Y.: Praeger Publishers.
  26. 연구윤리정보센터(CRE) 홈페이지. http://www.cre.or.kr/ (검색일: 2013. 5.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