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peer relationship

검색결과 583건 처리시간 0.027초

초기 청소년의 공격성과 또래관계의 질 (Aggression and Quality of Peer Relationships in Early Adolescents)

  • 유안진;한유진;김진경
    • 아동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79-90
    • /
    • 2002
  • This study investigated age and sex differences in aggression by quality of peer relationships in 331 adolescents, 11 or 14 years of age in 6 public schools in Seoul. They completed 2 self-reported questionnaires. All subjects were divided into 3 groups by level of aggression. Highly aggressive adolescents had significant vulnerability in peer relationships as contrasted with mid- and low- aggressive groups. They reported more egocentricity, conflict, rejection, and less emotional support from peers. Fourteen-year-old reported more intimacy, more emotional support, and less physical aggression than 11-year-olds. Boys showed much more egocentricity and perceived more rejection than girls. Boys displayed more physical aggression to persons and girls showed more angry expressions. The findings suggest that various intervention programs should be provided for peer relationships of high aggressive adolescents.

  • PDF

어머니의 상위정서철학과 아동의 대인 간 문제해결능력 및 또래 유능성 간의 관계 (The Relations Between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Child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and Peer Competence)

  • 최난이;남은영
    • 아동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57-67
    • /
    • 2016
  • Objective: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 between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child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and peer competence among children aged 4-5 and their mothers and teachers. Methods: A total of 54 children from 24 kindergartens were assessed on their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and peer competence. Their mothers reported on meta-emotion philosophy. Their teachers were assessed on child peer competence. Result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child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and child peer competence showed positive correlation patterns. Second, child interpersonal problem solving and peer competence was found to be influenced by maternal child-directed meta-emotion philosophy but not by maternal self-directed meta-emotion philosophy. Conclusion: Findings highlight the importance of maternal meta-emotion philosophy and that their emotion socialization play a significant role in identifying the mechanisms leading to child social cognitive ability and social adjustment. Furthermore, these results could lead to important basic studies in developing parent/teacher education programs.

부모 이혼이 청소년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f adolescent peer relationship associated with parents divorce)

  • 김은주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33-38
    • /
    • 2018
  • 부모의 이혼이 청소년의 또래 관계 발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목적을 두었으며, 이혼한 부모를 가진 청소년들의 사회적 상호 작용을 분석한 기존문헌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청소년들의 가족 구조에 기초한 또래 관계의 다양성을 뒷받침하는 연구가 되었으며 핵가족의 청소년들과 비교해 보면, 이혼한 부모를 가진 의붓 가족의 청소년들이 경험하는 특정한 형태의 상호 작용을 가지고 있었다. 즉 부모들의 이혼은 그들의 아이들이 사춘기 때 겪는 어려움과 관련이 있는데, 예를 들어 또래들 사이에서 고립형태의 모습을 보이거나 낮은 자존감, 소통기술의 부재 등을 나타내었다. 이혼가정의 청소년 또래집단의 일반적인 심리적, 인지적 발달은 종종 연구되나 향후 미래 연구는 그들의 학교에서의 또래 상호 작용과 사회적인 상호 작용을 연구해야 할 것이다.

초등학생의 교사애착, 또래애착, 자기격려, 진로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간의 구조적 관계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eacher Attachment, Peer Attachment, Self-encouragement, Career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 장용희;한정현;이재신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0호
    • /
    • pp.515-523
    • /
    • 2014
  •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교사애착, 또래애착, 자기격려, 진로자기효능감 그리고 진로성숙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충북 청주에 소재한 초등학교 6학년 학생 2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서 교사애착, 또래애착, 자기격려, 진로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 검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가지고 확인적 요인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최종 모델의 적합도 지수는 CFI=.957, TLI=.951, RMSEA=.049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주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애착과 또래애착은 자기격려, 진로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에 모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한 결과 자기격려와 진로자기효능감은 교사애착과 또래애착의 진로성숙도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사회복지기관 종사자의 감정노동과 직무소진의 관계 및 사회적 지원의 조절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job burnout, and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support in Social Welfare Agency)

  • 황송자;안관영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59-70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job burnout,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peer and superior support in social welfare agency. In order to verify and achieve the purposes mentioned above, questionnaire data were gathered and analysed from 349 employees of social welfare agency in western Kangwon-do province. Empirical survey's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deep action(DA) appeared to be negatively related with depersonalization and reduced accomplishment. Second, surface action(SA) appeared to be positively related with all job burnout factors(emotional exhaustion, depersonalization and reduced accomplishment). Third, peer support moderated negatively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DA, SA) and emotional exhaustion. Fourth, superior support moderated negatively the relationship between deep action(DA) and emotional exhaustion.

청소년의 개인요인, 가족요인 및 또래요인이 내면화·외현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Individual, Family, and Peer Factors on the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 Behavior of Adolescents)

  • 김연화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2권4호
    • /
    • pp.371-382
    • /
    • 2014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among individual factors, family factors, peer relationships and the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behaviors of adolescents. The data were obtained from a sample of 417 7th and 8th grade students. These data were collected with questionnaires and analyzed by using a t-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 ver. 18.0.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n adolescent's self-control, their father's rejective rearing, peer pressure, and the peer relationship between boys and girls. The results showed that boys had higher self-esteem and father's rejective rearing than girls. On the other hand, girls had higher peer pressure and more intimate peer relationships than boy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7th grade students had higher self-esteem and mother's warmth rearing than the 8th graders. Furthermore, the 8th grade students showed higher shame, mother's rejective rearing, marital conflict, internalizing behavior, and externalizing behavior than the 7th graders. The internalizing behavior in boys was influenced by shame, marital conflict, and peer pressure. In the case of girls, the internalizing behavior was affected by shame, mother's warmth rearing, and peer pressure. The externalizing behavior in boys was influenced by self-control and shame. In the case of girls, the externalizing behavior was affected by self-control, shame, marital conflict, and peer pressure. Adolescents who exhibited higher levels of shame than others and higher peer pressure showed internalizing problem behaviors. Adolescents who had less self-control and more shame, experienced more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중학생의 정서·행동문제가 등교거부성에 미치는 영향 : 부모관계, 교우관계, 교사관계를 매개변인으로 (The Influence Emotional and Behavioral Problems of Middle School Students have on the School Refusal Tendency: Focusing on the Meditator Variables - Relationships with Parents, Peer Groups and Teachers)

  • 이경호;송미옥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1-14
    • /
    • 2017
  • 본 연구는 G시의 남, 여 중학교에 재학중인 1, 2, 3학년 546명을 대상으로 정서 행동문제, 부모관계, 교우관계, 교사관계가 등교거부성에 미치는 영향과 그 경로를 파악하기 위하여 Pearson 적률상관분석과 LISREL 프로그램을 이용한 경로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나타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정서 행동문제 중 외현화문제와 교사관계변인 중 사회적지지 요인, 교우관계변인 중 신뢰감요인과 부모관계변인 중 부정적지지요인, 교사관계변인 중 사회적지지요인과 부모관계변인 중 부정적지지 요인을 제외한 모든 관계에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서 행동문제는 등교거부성과 부모관계에 매개효과 없이 각각 매우 높은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우관계와 교사관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고 간접적인 부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우관계는 등교거부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간접적인 부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사관계는 등교거부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부모관계는 등교거부성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교우관계와 교사관계를 매개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대학생의 리더십, 의사 소통 능력, 동료 돌봄 행위 간의 관계 (Relationship among Leadership, Communication Ability, and Peer Group Caring Interaction of Nursing College Students)

  • 오윤정;이은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4호
    • /
    • pp.127-132
    • /
    • 2022
  • 본 연구는 간호대 학생의 리더십, 의사 소통 능력, 동료 돌봄 행위 정도 및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G광역시 소재 간호대 학생 192명으로 자료수집은 2021년 11월 10일부터 202년 11월 30일까지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8.0 Program을 이용하여 평균과 표준편차, 백분율, ANOVA, t-test, Pearson's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 학생의 리더쉽과 의사 소통 능력(r=.634, p<.001), 의사 소통 능력과 동료 돌봄 행위(r=.390, p<.001), 리더쉽과 동료 돌봄 행위(r=.285, p<.001) 간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향후 간호대 학생들의 리더쉽과 의사 소통 능력, 동료 돌봄 행위를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적 환경제공과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검증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또래동조성이 초등학교 고학년의 SNS 또래괴롭힘에 미치는 영향: 도덕적 이탈의 조절효과 분석 (Peer Conformity and SNS Peer-Bullying among Upper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Moderating Role of Moral Disengagement)

  • 김부경;한윤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9호
    • /
    • pp.339-348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또래괴롭힘을 서로 알고 지내는 친구사이에서 SNS를 통하여 발생하는 괴롭힘으로 정의하고 온라인 또래괴롭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또래동조성이 높은 초기 청소년기에 해당하는 초등학교 5학년과 6학년 학생 375명을 대상으로 또래동조가 온라인 또래괴롭힘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도덕적 이탈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조절회귀분석 결과 반사회적 또래동조성이 높아질수록 온라인 또래괴롭힘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반사회적 또래동조성과 온라인 또래괴롭힘의 관계에 있어 도덕적 이탈이 조절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또래괴롭힘에 대한 또래동조의 악효과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인성교육을 통한 도덕적 이탈의 감소를 제안한다. 이를 통하여 초기 청소년의 반사회적 또래동조성을 감소시켜 효과적인 온라인 또래괴롭힘을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및 또래 유능성 (Mother's Emotional Expressivity, Young Children's Self-regulation and Peer Competency)

  • 이양순;정영숙;이기영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41-63
    • /
    • 2006
  • 어머니의 정서환경은 유아에게 지속적이고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과 또래유능성과 밀접한 상관이 있을 것으로 가정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어머니의 정서표현성,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또래유능성간의 상호관계를 밝히고, 사회 인구학적 배경에 따른 차이를 알아봄으로써 유아의 발달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어머니의 바람직한 정서환경을 구성하는데 필요한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충주시의 유아교육기관 만4~6세 유아 361명과 그의 어머니 361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또래 유능성을 질문지법으로 측정하였으며, 통계처리를 위해 SPSS/WIN 10.0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어머니의 정서표현성은 어머니의 학력과 가계 수입에 따라,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은 성별, 연령에 따라, 또래유능성은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어머니의 정서표현성과 유아의 자기조절능력 간에는 정적 상관이 나타났는데, 어머니가 긍정적인 정서표현, 약한-부정 정서표현을 많이 할수록 자기조절능력의 하위변인인 자기결정과 행동억제는 높은 점수를 보였고, 강한-부정 정서표현을 많이 할수록 정서성이 높게 나타났다. 어머니의 긍정적인 정서표현성과 약한-부정 정서표현이 많을수록 유아의 또래유능성이 높게 나타났다. 유아의 자기조절 등 이러한 결과는 유아의 발달에 도움을 주는 어머니의 정서환경에 긍정적인 정서표현과 함께 약한-부정 정서표현의 영향을 밝혔으므로, 긍정적인 정서표현과 함께 부정적 정서표현이 바람직한 형태로 부모의 정서교육에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