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job training course

검색결과 132건 처리시간 0.027초

Case Studies and Derivation of Course Profile in accordance with NCS-based Video Graphics Job

  • Park, Hea-Sook;Lee, Soon-Mi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1권2호
    • /
    • pp.89-96
    • /
    • 2016
  • This study analyzed with the case analysis of a series of processes from job analysis survey. And results analysis, and academic achievement in order to transform the curriculum of existing courses into the curriculum of NCS-based courses. Also this study analysed of the existing curriculum. Also analyzed the trend of workforce trends and needs of the broadcasting content industry. Through a needs analysis for the industry and alumni and students, video graphics, video editing and video directing were selected. In this paper, it dealt mainly with respect to the video graphics in a dual job. Modeling capability into the unit through a job analysis, animation, effects and lighting were chosen accordingly based introduction of 3D Graphics. Application of 3D Graphics were derived two courses and selected profiles and performance criteria. This training according to the NCS curriculum for students was evaluated based on the student's job was to investigate the learning ability. Academic achievement were the result satisfaction.

학교 재난안전 교육연수과정 실태분석 및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 학교시설에 대한 재난안전관리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Analysis and Improvement Direction of Disaster Safety Education Training Course in School - Focused on Disaster Safety Management for School Facilities -)

  • 이병호;박윤주;이재림
    • 교육녹색환경연구
    • /
    • 제17권2호
    • /
    • pp.11-21
    • /
    • 2018
  • 이 연구는 학교 재난안전관리 교육연수과정의 운영실태 분석과 교직원의 수요조사를 통해 바람직한 재난안전 교육과정을 제시하는데 있으며,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학교 재난안전 교육연수과정의 문제점으로 법 제도의 미비와 학교 재난안전 직무와 연계되지 못한 교육과정이었으며 둘째, 전문적 지식을 습득할 수 있도록 법 제도의 개선과 교육연수과정이 다양화 되어야 한다. 셋째, 교육행정직은 시설물 안전 및 유지관리와 재난대응 교육과정으로, 교육(지원)청 기술직은 학교시설 사업승인 절차 및 방법과 건물의 내진보강, 구조안전, 석면 해체 제거 등의 교육과정으로, 교육전문직은 학교 재난안전관리 책임자로서 재난대응을 위한 역할, 재난발생시 조치사항 등의 교육과정으로 편성하고, 교사는 학생의 안전지도 중심으로 편성함으로써 교직원의 직렬별 수요에 맞는 교육연수과정으로 개선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넷째, 바람직한 교수학습 방법으로는 강의 및 체험학습 방식이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 확인되었고, 주요 순위는 지진재해, 화재, 가스, 태풍, 통학로, 전기안전으로 나타났다.

경력단절여성의 복지정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Welfare Policy of Career Interrupted Women)

  • 이경화
    • 미래기술융합논문지
    • /
    • 제1권2호
    • /
    • pp.57-62
    • /
    • 2022
  • 경력단절 여성들이 노동시장으로 재진입하는 것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유망직업을 발굴하여 선정하는 것 뿐만이 아니라, 선정된 유망직종에 대한 객관적이고 정확한 직업정보를 제공하여 경력단절 여성들이합리적인 직업선택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정부지원과정이 일반과정에 비해 수강료의 부담이 없고, 교육 내용의 충실도가 높기 때문에 교육생 모집과정에서 경쟁을 통하여 취업의지가 높은 교육생을 선발할 수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정부지원과정이 상대적으로 양질의 프로그램과 강사진을 확보하여 교육생의 집중도와 만족도, 취업에 대한 의지를 높인다는 점, 직무소양 및 취업대비 교육의 의무화, 취업상담을 통한 직업설계 지원 및 지속적인 사후지원 체제도 작용한다. 이에 따라 경력단절 여성을 위한 유망직종의 선정 및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설계과정에서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개발과 지원이 이루어진다면 경력단절 여성들의 노동시장 재진입도 좀 더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4년제 대학 과정평가형 자격과정 운영방안: 코리아텍 사례를 중심으로 (An Operating Scheme for the Course-based Qualification System at the Four-Year University Level: Focused on the KOREATECH Case)

  • 오창헌;강승찬;민동균;엄기용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39-47
    • /
    • 2016
  • 국가차원의 스펙초월 능력중심 사회 구현을 위한 다양한 NCS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연계 정책들이 시행되고 채용방식이 NCS 기반의 직무중심으로 변화하고 있지만 정작 인재 양성을 담당하고 있는 대학, 특히 4년제 대학의 경우 이에 대한 대책이나 고민이 부족한 실정이다. 여전히 4년제 대학은 NCS 제도에 대해 관심과 이해가 부족하며, NCS 적용에 대해 미온적이다. 또한 시행 중인 2년제 대학에서도 성공적인 운영 사례 부족과 함께 실효성 미흡 등으로 4년제 대학 교과과정에 NCS를 적용하기 위한 연구 및 적용 예가 매우 드물다. 따라서 국가적으로 관심을 갖고 추진하고 있는 NCS 체계의 4년제 대학 학사제도 도입 및 특히 국가기술 자격과 연계한 학사제도 개편 및 운영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4년제 대학에 NCS 기반 과정평가형 자격과정(기사수준) 이수를 위한 교과과정 개편 및 운영방안에 대해 검토한다.

21세기를 향한 해기고등교육 (Higher Maritime Education for the Developed Society in the 21st Century)

  • 이상집
    • 한국항해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31-36
    • /
    • 1993
  • In this paper , the basic strategic method to induce the entrants and to raise the morale of students for the maritime college has been discussed, and it is pointed out that the values of higher maritime education in the developed society have a tendency to be highly evaluated from the point of not only maintaining the national shipping but also controlling the quality of the shipping industries and marine environment. Consequently, the new maritime educational program has to be developed so that the student may make a decision to choose hir course for the future job on the base of traditional maritime training.

  • PDF

치위생과 학생들의 전공교육 및 직업관에 대한 의식 조사 연구 (A Study on Dental Hygiene Students' Consciousness about Course Education and their Occupation)

  • 정재연;최정이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31-145
    • /
    • 2000
  • For the purpose of strengthening Dental Hygiene students' confidence and motivation in the Dental Hygiene Department and helping construct proper professionalism, survey on Dental Hygiene students' consciousness of attitude to and satisfaction of the course, career plan and occupation mind set was carried out. 530 three year students in 8 Dental Hygiene academies in Seoul and Kyonggi province were questioned. The results of the survery are as follows:. 1. Dental Hygiene students' motives consisted primarily of employment and a desire for professionalism 25% of them entered the course after one failure in the entrance examination and 17% had family members engaging in the dentistry field 84%, the largest portion, were from an academic high school. 24% had some knowledge of Dental Hygiene, which they had acquired from seniors, friends, and teachers. 2. Patient care and treatment assistance related matters were not considered important in the course. The weak points of the course turned out to be education in computers and foreign languages, but the weakest was the ability of patient care during clinical training. 53% had experiences had thought of changing their major while in the course because it didn't match their aptitude and interest. 3. As for a career after graduation, 49% worried about it Most students wanted to work at a dental hospital or general hospital, The most favored duty was coordination or reception or oral disease preventive work. They wanted to work untill they had a stable living. 68% answered they would get a job at an oral clinic and 70% said they would continue studying for self-realization. 4. Satisfaction with the major was high in students whose aptitude and interest matched the course, who had background knowledge of the major, and who. didn't think of changing the major but would continue studying resulting in statistically slight difference(p<0.001). As to satisfaction with the faculties, it was high in the students whose aptitude and interest matched the major and who didn't think about a career after graduation showing a slight difference(p<05, p<0l). As for satisfaction with clinical training, students whose aptitude and interest matched the major and who didn't consider changing the major answered positively showing a statistically slight difference(p<.001, p<.01). As to satisfaction with the course, it was high in the students who entered with aptitude and interest, who had preliminary knowledge, who didn't consider changing the major, and who didn't think about a career after graduation showing a statistically slight difference(p<.001, p<.05). 5. Occupation mind-set was positive for students who entered with interest and aptitude, who had preliminary knowledge, and who had not considered changing the major showing a statistically slight difference(P<.001). The higher the satisfaction with the major, faculty and clinical training was, the more positive the occupation mind-set was(p<.001).

  • PDF

무역학전공 관련 NCS의 이해와 활용에 관한 연구 (Understanding and Utilization of NCS on International Trade Major in University Education)

  • 김재성;박세훈
    • 무역상무연구
    • /
    • 제69권
    • /
    • pp.721-740
    • /
    • 2016
  • Recently Korea has stepped into a stage of sluggish development, and the unemployment of young people has become a major issue. Especially in 1998 IMF economic shock was influential in formulating government policy and social economic structure on employment. Restructuring now becomes everyday words and further restructuring is already under way. Owing to the growing economic crisis and resultant unemployment and initial appointment shall be considered conditional. Young job seekers are grappling with mastering their native language and unnecessary experiences. These unnecessary experiences are needless waste of time and money. Educational system in university may be affected by environmental changes in population of students and business crisis. Sometimes the departments made a very low rate of employment may be abolished or merged in university. The government will demand us in the work of reform by doing NCS. The government is now ask to teach, train and employ students on the basis of NCS especially in high-school, job training center, and college and university. NCS has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NCS may reduce waste of time and money to make unnecessary experiences, provide standard course to prepare educational system. It will be a big help to adapt properly and make better employment system. The most negative element of the program is application to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by the same standard with technology and engineering department in the university. Standardization of each educational course will not react quickly to rapidly changing situations in the future.

  • PDF

지적분야 과정평가모형 구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Course evaluation model in the Cadastral Field)

  • 서용수;최승영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46권2호
    • /
    • pp.297-312
    • /
    • 2016
  • 현 정부는 미래 국가 경쟁을 이끌어 나갈 인재를 양성하고 학벌이 아닌 능력중심의 자격제도 개편을 통하여 자격과 산업현장을 일치시키려는 노력을 하고 있으며, 그 일환으로 과정평가형 자격제도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과정평가형 자격제도는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 기반하여 일정 요건을 충족하는 교육 훈련과정을 이수하고 내,외부 평가를 거쳐 합격기준에 해당하는 경우, 국가기술자격을 부여하는 제도로 직업교육과 자격을 본격적으로 연계하기 위한 시도라고 할 수 있다. 지적분야의 NCS 및 학습모듈은 이미 특성화고등학교 및 전문대학에서 교육 훈련에 활용되고 있으나, 지적분야와 관련하여서는 아직까지 과정평가형 자격제도가 도입되지 않아 현행 국가기술자격검정을 통하여 자격을 취득할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과정평가형 자격제도를 면밀히 분석하고, 지적분야 과정평가형 자격제도 도입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과정평가형 자격제도 도입을 위한 NCS 평가모형을 제시하였다.

사회 환경교육 지도자의 자격 제도 개발 (Development of the Certification System for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Educators)

  • 송영은
    • 한국환경교육학회지:환경교육
    • /
    • 제19권2호
    • /
    • pp.48-68
    • /
    • 2006
  • This study is designed to develop a certification system for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educators as part of efforts to nurture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educators, increase public trust in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educators and secure structure and sustainability of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The job of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educators-distant from technical expertise functions that are dealt with by existing certification system - belongs to education and service industry, And the certification system I try to develop is different from existing exclusive certification system based on written tests. It is rather an authentication system based on capability development. So its components are somewhat different from those of existing certification system. However, I also tried to ensure that the system should include components which were supposed to be part of basic certification system. The certification system for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educators in the study is focused on developing a framework for basic certification system. Therefore, I believe that follow up studies may be needed to address execution, i.e., specific evaluation criteria to select organizations in charge of certification system and education course/program respectively, criteria to select instructors who will lead training course/program and decision on whether experiences as eco-guide or nature experience guide should be recognized as experiences for non-formal environmental education educator etc.

  • PDF

부동산중개인의 직무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욕구에 관한 탐색적 연구 -충청남도 천안지역을 중심으로- (An Exploratory study on the demand for training programs to improve Real Estate Agents job performance -Focused on Cheonan, Chungnam-)

  • 이재범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9호
    • /
    • pp.3856-3868
    • /
    • 2011
  • 최근까지 부동산 부분에 대한 전반적인 연구경향은 부동산시장 및 시장분석에 관한 논문이 중심을 이루었고, 부동산중개인의 직무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개발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충남지역(천안)을 중심으로 부동산 비즈니스 현장에서 경영활동 중인 부동산중개인을 대상으로 직무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니즈를 파악하기 위하여 실증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동산중개인의 직무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내용에 대한 설문에서는 응답자의 대다수가 부동산 권리관계분석 및 법적지식, 부동산경영 회계, 부동산마케팅, 부동산 정책의 이해 등이 절실하게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변화의 움직임은 진화하는 고객들의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최적의 대안이 교육훈련과정으로부터 발생됨을 인식하기 때문이라 하겠다. 둘째, 부동산마케팅 전략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대부분이 고객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새로운 형태의 마케팅전략이 필요함을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현상은 정보기술(Information Technology)등 패러다임 변화에 따라 인터넷 광고 등과 같은 새로운 형태의 마케팅 전략이 경영현장에서 요구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산학연계를 통한 부동산관련 교육프로그램 필요성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 응답자 가운데 92%가 대학의 평생교육원에서 진행하고 있는 부동산 교육프로그램의 운영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지역에 소재한 대학의 자원(resources)을 이용한 부동산중개인의 재학습 과정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외에도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교육프로그램을 위해서는 대학 평생교육원의 인적 자원(human resources)을 활용한 부동산중개인의 직무능력 향상을 위한 '부동산 계약학과' 형태의 교육훈련시스템 운영을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동산중개인의 직무능력 향상을 위해 정규과정에서 수강하고 싶은 교육내용의 순위를 조사한 결과, 부동산경영(44.2%)과 부동산마케팅(42.3%)부분이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응답결과는 부동산경영과 부동산마케팅 마인드를 통해 고객들의 니즈를 파악하려는 의지를 보여주는 것이라 하겠다. 경영지식의 습득을 위해서는 정규과정 형태의 교육프로그램 운영보다는 비정규과정 형태의 교육훈련 프로그램을 더욱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본 연구는 부동산중개인의 특성을 고려, 천안지역에서 부동산중개업을 운영하고 있는 대상만을 중심으로 표본을 추출하였다. 따라서 모집단을 보다 광범위하여 다양한 지역을 중심으로 조사할 필요가 있다. 천안지역 이외에도 부동산 비즈니스 활동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지역(평촌, 일산, 분당)과 부동산학을 전공하는 학부생과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부동산중개인의 직무능력 향상을 위한 니즈를 실증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하여 부동산중개인들이 고객만족과 직무능력 향상을 위하여 필요로 하는 요인들을 측정함으로서 맞춤형 교육프로그램개발을 위한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통하여 측정된 직무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개발 변수들은 대학의 부동산학 커리큘럼에 접목됨과 동시에 부동산학의 발전을 위한 실사구시적 정보(information)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