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he Elderly Welfare Services

검색결과 387건 처리시간 0.024초

사물인터넷 환경에서 코로나 19 이후 노인복지관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소진의 매개효과 (The Effects of Job Stress on Job Satisfaction of Workers in the Elderly Welfare Center after COVID-19 in the internet of things environment: Mediating Effects of Burnout)

  • 이진열;윤기혁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7권1호
    • /
    • pp.63-69
    • /
    • 2021
  • 본 연구는 코로나 19 이후 노인복지관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소진의 매개효과를 실증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사회복지서비스 질 향상과 함께 노인복지관 종사자의 직무만족을 높일 수 있는 기초자료 제공을 본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 결과 첫째, 직무스트레스는 직무만족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진은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노인복지관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해 업무량을 조절과 사물인터넷 기술의 활용이다. 둘째, 노인복지관 종사자의 소진을 줄이기 위해 심리·정서적 지원 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한다.

노인의료복지시설 종사자들의 근무환경과 관리자 신뢰, 서비스 질과의 구조적 관계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Working Environment, Manager's Trust, and Service Quality of Workers in Elderly Medical Welfare Facilities)

  • 김미숙;정행준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2호
    • /
    • pp.163-172
    • /
    • 2021
  • 이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료복지시설 종사자들의 근무환경과 관리자 신뢰, 그리고 서비스 질과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연구 모델을 설정하고 이를 규명하는데 있다. 그 결과 첫째, 노인의료복지시설 종사자들의 근무환경과 서비스 질 간에 유의한 인과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의료복지시설 종사자들의 근무환경과 관리자 신뢰는 유의한 인과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노인의료복지시설의 목표 달성과 서비스 질 향상을 위해서는 구성원들의 근무환경 조성과 신뢰관계 형성이 선행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노인의료복지시설 종사자들의 역량 함양과 질 높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관리자들은 구성원들의 개인 특성을 이해하고, 역할에 따른 임무를 부여하기 위하여 정확한 업무 분장과 인사관리가 필요 할 것이다.

노인 삶의 만족도 변화: 전국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조사 3개년도(1994, 2004, 2008년) 결과비교 (Change in Life Satisfaction of Korean Elderly: Comparisons of 1994, 2004, 2008 National Survey Results on the Elderly Life Conditions and Welfare Need)

  • 정순둘;이선희
    • 한국노년학
    • /
    • 제31권4호
    • /
    • pp.1229-1246
    • /
    • 2011
  • 본 연구는 고령화 사회 진입시기를 전후로 노인 삶의 만족도 변화 및 영향요인을 분석함으로써 이들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사회복지적 함의를 찾고자 하는 목적에서 이루어졌다. 연구의 분석을 위해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및 계명대학교산학협력단에서 실시한 전국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조사 3개년도 자료(1994, 2004, 2008년)를 이용하였다. 분석대상은 각 연도별 65세 이상 노인으로 1994년 1,371명, 2004년 3,278명, 2008년 3,009명이다. 자료분석은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이루어졌으며, 다양한 요인들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첫째, 삶의 만족도는 평균보다 높았으나 고령화 사회 진입 이후 최근으로 올수록 점차 감소하였다. 둘째,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주관적 경제 및 건강상태와 같은 공통요인과 배우자 유무, 취업유무, 노후인식 등의 가변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다양한 노인가구 형태에 따른 서비스 제공, 사회활동 참여 기회 확대 등의 제도적 기반 마련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자살예방을 위한 통합적 접근의 필요성 (The Need of Integrated Approach for Suicide Prevention)

  • 박은철
    • 보건행정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3
    • /
    • 2019
  • Suicide is a major problem in Korean health care and a serious social problem. In Korea, 12,463 people (24.3 per 100,000) lost their lives due to suicide in 2017. Although the government has established three National Comprehensive Plan of Suicide Prevention (2004, 2009, 2016), and National Action Plan of Suicide Prevention (2018), the suicide rate is still high. The suicide rate of the elderly is especially high. This is due to the economic vulnerability of the elderly in Korea.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suicide in Korea, mental health care approach and social welfare approach should be integrated. The intervention of preventing suicide of suicide attempters should include social welfare services as well as mental health program and should be based on community. There are many health problems, including prevention of suicide, which can not be solved only by the efforts of health care. Many health problems are social problems and the integrated approach is needed to solve them. In order to solve many health care problems and improve health, integrated approach of health, social science, and humanities is needed.

중고령자의 가구유형이 전자정부 서비스 이용에 미치는 영향 : 디지털 역량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Mediating Effect of Digital Capacity between the Family Structure and Use of E-government Services of Middle and Older Aged Adults)

  • 김미혜;남윤재;선승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5호
    • /
    • pp.69-79
    • /
    • 2021
  • 정부의 공공서비스가 디지털화되면서 디지털 취약계층인 중고령자의 전자정부 서비스 이용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중고령자의 가구유형과 전자정부 서비스 이용의 관계에서 디지털 역량의 매개효과 검증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한국정보화진흥원의 2018년 디지털 정보격차 실태조사 자료를 사용하여 55세 이상 중고령자 1,660명을 대상으로 Baron과 Kenny(1986)의 매개모형 검증절차에 따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중고령자의 가구유형은 전자정부 서비스 이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고령자의 가구유형이 전자정부 서비스 이용에 미치는 영향은 중고령자의 디지털 역량에 의해 부분적으로 매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2·3세대 가구 중고령자가 1세대 가구 중고령자에 비해 전자정부 서비스 이용 정도가 높았으며, 2·3세대 가구 중고령자일수록 디지털 역량이 높아져 전자정부 서비스 이용 정도도 높아졌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중고령자의 전자정부 서비스 이용 증진을 위한 가구유형별 지원 방안과 중고령자의 디지털 역량을 향상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고령자를 위한 공공도서관 지역정보서비스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mmunity Information Services for Elderly People in Public Libraries)

  • 김다은;차미경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7권2호
    • /
    • pp.213-233
    • /
    • 2016
  • 고령화 사회가 진행됨에 따라 공공도서관의 고령 이용자도 증가하고 있어 이들을 위한 서비스의 개발이 요구된다. 고령자에게 필요한 정보는 건강, 의료, 복지 등 지역과 밀접한 일상생활 관련한 정보가 많으며, 이는 공공도서관에서 제공하는 지역정보서비스의 주요 영역이기도 하다. 본 연구에서는 고령자에게 필요한 지역정보의 유형 및 내용, 제공 방법 등을 문헌연구, 해외사례조사 및 국내 현황조사를 통하여 정리하고 공공도서관의 지역정보서비스를 통한 고령자 서비스 강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한옥을 적용한 유니트형 시설의 도입과 인테리어 적용요소 분석 (Implementation of Unit-care Welfare Facility applying a Traditional Korean House and Analysis of Interior Application Elements)

  • 남윤철
    • 한국디지털건축인테리어학회논문집
    • /
    • 제12권3호
    • /
    • pp.91-100
    • /
    • 2012
  • This paper not only reviews recent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welfare facilities, but also proposes main components such as building materials and furniture applying a traditional Korean house. This paper aims to utilize interior design and construction materials of unit-care welfare facility applying the traditional Korean hous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rate of the private bedroom as elderly welfare facilities is 63.1%; on the contrary, the rate of the 4-person bedroom is 63.2%. The expansion of the private bedroom is an urgent need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residences. 2. According to elderly services needs and revitalization for the traditional Korean house, it is required to implementation the unit-c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and interior design for the traditional Korean house. 3. The interior design for the traditional Korean house is applied to elderly living space such as a bedroom and a living room; it is not applied to care space and management space such as a nurse station and an office occupied by employees. 4. There is no problem to construct space applying the traditional Korean house using interior products currently being sold in the domestic market. 5. Standardized mass production is essential to popularize the traditional Korean house style interior.

고령화 사회를 위한 노인복지회관 사례 연구 (Case Study for the Elderly Welfare Center for the Aging Society)

  • 이가하;김승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7호
    • /
    • pp.177-183
    • /
    • 2018
  • 이 연구는 2017년부터 고령사회에 진입한 우리나라의 국내 노인복지시설, 특히 경로당이 어떠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지 알아보고 차후 발전 방향을 제시하였다. 발전 방향 제시를 위해서 독일, 스웨덴, 일본, 3곳의 사례를 조사하였고 12명의 고령층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심층인터뷰와 사례조사에 따르면 첫째, 많은 프로그램으로 사람들이 많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것, 둘째, 경로당이 결코 나이가 많은 노인들만 이용하는 곳이 아니라는 분위기로 만들어야 한다는 것, 셋째, 노인들이 스스로 사회에 참여하고 자립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현재 경로당은 지역별로 다른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있어 어떤 방식으로 프로그램이 진행되는지 알지 못했다는 점이 이 연구의 한계점이다. 향후 연구에서는 국내의 경로당 사례를 조사하여 국내의 특성에 맞고 지역 차이 없이 공통으로 진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의 구체적인 제안이 필요하다.

통합돌봄센터 계획을 위한 고령인구의 종합사회복지관 이용실태 연구 - 경기도 남부 4개 사회복지관을 대상으로 (A Study on the Use of General Social Welfare Facilities for the Planning of Integrated Care Center - Focused on four social welfare facilities in Southern Gyeonggi-do)

  • 한은비;장진샹;권순정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26권2호
    • /
    • pp.71-79
    • /
    • 202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basic data for desirable location and functions of the integrated care center. Methods: Survey, Questionaire and statistical analysis are the main research method of this study. In order to collect data related to utilization pattern and favorite functions of the senior people, researchers have visited 4 social welfare facilities located in Southern Gyeonggi Province. 403 questionaires have been gathered from 4 facilities and they have been analyzed by using Excel Program of MS. Results: First, compared to other services, healthcare services have been preferred by many older people in Social welfare Facilities. This means that integrated care centers providing healthcare services for older people rather than services for children or disabilities is desirable. Second, Integrated Care Centers had better be established within the walk distance of elderly people. If it is not easy, the introduction of shuttle bus for older people is desirable. Especially, in case of large Care Center. Implications: This study shows that small facility with community care rather than big facility is desirable for small community in the point of friendliness, convenience, economy, etc.. However it is necessary to combine welfare service and healthcare service even in small centers.

일본의 노인주거정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ousing Support Policy for the Elderly in Japan)

  • 이서영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1권4호
    • /
    • pp.41-50
    • /
    • 2010
  • In recent study, we are referencing the necessity by examining the environment for housing policies for elderly Koreans. In reality, Japan, who is ahead of our country, has already experienced and is currently in progress for the aging society. They have developed a profound housing policy under all circumstances with the change of aging society. There forth, we are in progress of examining the series of helpful characteristics being presented by Japan, and how they have expanded and improved their housing support services. Our country must clearly ensure a resolution for investigating a new direction in housing policy and housing support services by learning through the development process of Japan's housing support services for the aging society. For instance, Japan have provided housing policy in both housing and welfare for senior citizens. Recently, the reason they are well adjusted for housing and welfare linked with special care and supportive living services and being skillfully focused on the maintenance policy is because they have great implications on how to successively organize housing policies for the aged society. Recent studies show preferred living arrangement and housing policy of the elderly for stabilization in the aging society. First, must be aware of the leading factors for housing in later life, organize dwelling patterns for diverse characteristics and give consideration for future life plans. Second, must continuously maintain an accessible environment in all community levels without changing the required services in their livelihood by adjusting to diverse changes for the aged. In addition, must organize flexibility in choice following these housing-support services for the elderly's desire and self reliance which raises profound questions on cultural poli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