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Housing Support Policy for the Elderly in Japan

일본의 노인주거정책에 관한 연구

  • 이서영 (서울사이버대학교 노인복지학과)
  • Received : 2010.04.19
  • Accepted : 2010.08.04
  • Published : 2010.08.25

Abstract

In recent study, we are referencing the necessity by examining the environment for housing policies for elderly Koreans. In reality, Japan, who is ahead of our country, has already experienced and is currently in progress for the aging society. They have developed a profound housing policy under all circumstances with the change of aging society. There forth, we are in progress of examining the series of helpful characteristics being presented by Japan, and how they have expanded and improved their housing support services. Our country must clearly ensure a resolution for investigating a new direction in housing policy and housing support services by learning through the development process of Japan's housing support services for the aging society. For instance, Japan have provided housing policy in both housing and welfare for senior citizens. Recently, the reason they are well adjusted for housing and welfare linked with special care and supportive living services and being skillfully focused on the maintenance policy is because they have great implications on how to successively organize housing policies for the aged society. Recent studies show preferred living arrangement and housing policy of the elderly for stabilization in the aging society. First, must be aware of the leading factors for housing in later life, organize dwelling patterns for diverse characteristics and give consideration for future life plans. Second, must continuously maintain an accessible environment in all community levels without changing the required services in their livelihood by adjusting to diverse changes for the aged. In addition, must organize flexibility in choice following these housing-support services for the elderly's desire and self reliance which raises profound questions on cultural policy.

Keywords

References

  1. 강병근 (1999). 고령화 사회에 대응한 노인주거유형.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5(10), 3-14.
  2. 김은혜 (2006). 고령화 사회의 노인주거지원 정책 모색을 위한 연구-영국의 예를 중심으로. 2006년 한국사회복지학회 학술대회자료집(pp. 363-368). 한국사회복지학회.
  3. 김정순 (2005), 노인주거관련법제의 개선(한국법제연구원 연구보고서 No. 2005-15). 한국법제연구원.
  4. 김태일 (1992). 일본의 고령자 주택 및 복지시설의 동향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8(1), 13-20.
  5. 김태일 (2000). 인구구조의 변동에 따른 고령자 주택형태의 변화와 수요예측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20(3), 37-50.
  6. 김명숙.강순주 (1992). 노인주거계획에 관한 이론적 접근. 대한건축학회논문집, 8(6), 15-27.
  7. 문창호 (2004). 최근 일본 노인주거시설의 건축적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0(6), 119-126.
  8. 박신영 (2006). 고령사회의 노인주거복지과제. 한국학술정보.
  9. 박신영.지은영.최은희.한수진 (2006). 고령자의 주거선호 다양성과 정책적 함의. 노인복지연구, 34, 81-104.
  10. 박희진.전창미 (2004). 노인의 특성에 따른 환경친화적 노인 주거단지 계획요소. 노인복지연구, 26, 215-235.
  11. 상형종 (1998). 수요 및 공급 측면에서 본 유료노인복지시설의 접근방향. 건축, 42(2), 42-46.
  12. 서기영.이진혁.류지애 (2001). 유료노인복지시설의 계획특 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7(5), 71-79.
  13. 성명옥 (1994). 한국 노인 서비스주거의 방향모색에 관한연구. 한국노년학, 14, 46-58.
  14. 신영숙 (1998). 중년층이 선호하는 미래 노인주거 환경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36(2). 105-120.
  15. 이서영 (2009). 일본 개호보험제도의 동향. 보건복지포럼, 156, 90-99.
  16. 이연숙.신화경.이선미.백혜선 (1991). 한국의 주거문화모델로서 삼대가족아파트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11(1), 17-35.
  17. 이윤형 (2007). 노인주거복지의 고찰에 따른 대응과제. 사회복지개발연구, 13(4), 257-284.
  18. 이현정 (2007). 일본의 고령자 주거지원정책 및 고령자 주택 특성 분석.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3(12), 11-18.
  19. 임승구.최효승 (1999). 우리나라 노년 주택정책 및 제도에 관한 연구.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1(2), 53-62.
  20. 양우현.박근형 (1996). 노인을 위한 도시 공동주택의 계획방향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2(1), 13-20.
  21. 윤주현.강미나.송하승 (2004), 인구고령화와 노인주거; 고령화사회에 대응한 노인주거정책의 현황과 정책과제(국토연구원 연구보고서 No. 2004-05). 국토연구원.
  22. 장영희 (2007), 고령화시대 노인주거복지 정책방안(서울시정개발연구원 연구보고서 No. 2007-R-31). 서울시정개발원구원.
  23. 장윤배.봉인식.유병선.한지원 (2005). 유료노인복지주택의 제도개선방안 (경기개발연구원 연구보고서 No. 2005-23). 경기개발연구원.
  24. 정무웅.정기남 (1996). 노인주거관련연구경향 및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2(11), 51-61.
  25. 조재순.신경주.곽인숙.최정신 (1995). 미국의 노인주거 관련 연구 경향.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1(10), 13-18.
  26. 최성재 (2003). 한국의 노인주거보장 정책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건축, 47(6), 16-20.
  27. 초의수 (1998). 노인주거현실과 노인주택정책. 박광준 외(편), 주택보장과 주택정책(129-158), 세종출판사.
  28. 足立啓.林悅子.安岡眞由 (2007). 全國悉皆調査による從來 型特別養護老人ホ一ムのユニットケアの實体について. 日本建築學會技術報告集, 13(25), 243-246.
  29. 伊藤周平 (2005). 介護保險と社會保障改革. 山吹書店.
  30. 小笠原裕.次福島一雄.小國英夫 (2002). 社會福祉施設. 有斐閣.
  31. 川崎直宏 (1997). シルバ一ハウジングプロジェクトの槪要と課題, 高齡者住宅財団. .
  32. 介護福祉士養成講座 (2006).老人福祉論(第4版). 中央法規.
  33. 高齡者居住法硏究會 (2001). 高齡者居住法の解說, 大成出版.
  34. 高齡者介護硏究會 (2003). 2015年の高齡者介護一高齡者の尊嚴を支えるケアの確率にむけて. 厚生勞慟省老健局.
  35. 兒玉桂子 (2008). 超高齡社會の福祉居住環境. 中央法規.
  36. 兒玉桂子 (2009). 高齡期における住まいの檢證一安心できる居住の確保にむけて. 社會福祉硏究, 106, 41-50.
  37. シルバ一サ一ビス振興會 (2005). 生活視点の高齡者施設. 中央法規.
  38. 全國社會福祉協議會 (2005). 2006年介護保險制度改訂のポイント一こう変わる介護保險PLUS. 全國社會福祉協議會.
  39. 園田眞理子 (1993). 世界の高齡者住宅. 日本建築センタ一.
  40. 嶺學 (2008). 高齡者の住まいとケア一自立した生活, その支援と住環境. お茶の水書房.
  41. 內閣部 (2009). 高齡社會白書(平成21年度版).內閣部
  42. 長谷憲明 (2009). 新しい介護保驗の仕組み. 瀨谷出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