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st Collection

검색결과 1,632건 처리시간 0.036초

자산전용성과 협업환경하에서의 정보공유가 공급사슬에 미치는 영향 : 통합적 SCM 성과형성 모델 (The Effect of Asset Specificity, Information Sharing, and a Collaborative Environment on Supply Chain Management (SCM): An Integrated SCM Performance Formation Model)

  • 김태룡;송장근
    • 유통과학연구
    • /
    • 제11권4호
    • /
    • pp.51-60
    • /
    • 2013
  • Purpose -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sset specificity, the level of information sharing, the importance of information sharing, and an integrated collaborative environment on supply chain performance.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Data collection was implemented as follows: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250 companies that have business ties with Halla Climate Control Corporation. The empirical study to test our hypothesis was based on statistical analysis (using SPSS 18.0 and AMOS 18.0). The hypothesis of this paper is that the asset specificity variable has positive effects on the following variables: Level of information sharing, the importance of information sharing, and integrated collaborative environment. Moreover the variables, the level of information sharing, and the importance of information sharing are strongly influenced by the variable integrated collaborative environment, and these when combined, have an effect on the dependent variable, supply chain performance. We tested our hypothesized model utilizing path analysis with latent variables. Results - According to the results of our analysis, hypothesis H1, which tests whether there is a relationship between asset specificity and the integrated collaborative environment, is supported at the 0.01 level. Hypotheses H2 and H3 were also confirmed, and asset specificity had positive effects (+) on the level of information sharing variable. The importance of the information sharing variabl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the 0.01 level. Hypotheses H4 and H5 posited that the integrated collaborative environment variable would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level of information sharing; the importance of information sharing variable was strongly supported statistically, with a significant p-value below. Moreover, the level of information sharing (H6), and the importance of information sharing (H7) variables also had a statistically relevant influence on supply chain performance. As a result, existence of a collaborative system between companies would influence supply chain performance by strengthening real-time information access and information sharing. Thus, it is important to construct a collaborative environment where information sharing among companies and cooperation is possible. Conclusions - First, with rapid changes in the business environment, it becomes necessary for enterprises to acquire the right information in order to properly implement SCM. For successful SCM, firms should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collaboration with supply chain partners and an internally built collaboration system, which in turn will better promote a partnership commitment with suppliers as well as collaborative integration with buyers. A collaborative system, as we suggest in this paper, facilitates the maintenance of a long-term relationship of trust, and can help reinforce information sharing. Second, it is necessary to increase information sharing over time via a collaborative system so that employees of the suppliers become aware of the system. The more proactive and positive attitudes are towards such a collaborative system by the managerial group, the higher the level of information sharing will be among the users. Successful SCM performance is achieved by information sharing through a collaborative environment rather than by investing only in setting up an information system.

  • PDF

성인의 건강, 우울, 기억, 자기효능과 메타기억과의 상관관계 연구 (Relationships between Health, Depression, Memory Self-Efficacy and Metamemory in Adults)

  • 김정화;강현숙
    • 재활간호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61-71
    • /
    • 1998
  • Defining prediction variables related to metamemory for the adults in aging process has worthwhile meaning from the perspective that the produced results can be helpful to reducing the difficulty of memorizing efforts and it can also enhance quality of life of aged.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sis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health status, depression, memory self-efficacy and meta memory for the subjects of middle age and old age adults. This study was designed by adopting descriptive correlational analysis method for the 468 middle and old age adults who are living in Seoul. Samples were selected by convenience sampling. Data collection was done over 1 month period in june 1998.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health status measuring scale including depression measuring scale, memory self efficacy measuring scale and metamemory measuring scale which were verified for reliability. Data collected were analized by using SPSS for frequency, Peason correlation, t-test and ANOVA according to the variables character and the study purposes.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health status, depression, memory self-efficacy and metamemory. Relational analyses between perceived health status, depression, memory self-efficacy and metamemory supported the hypotheses of 1st, 2nd and 3rd(p < .01).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aged perceived great health status then their memory self-efficacy, and metamemory showed the high scores. In the case of depression when its level became decreased metamemory was inclined to increased. Thus, it is identified that strong relationship exists between these variables. 2. Perceived health status, depression, memory self-efficacy by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Scores of perceived health status were high in the group of man compared to the group of women, and also highly educated group showed great perceived health status. Group of persons having occupation showed high score of perceived health status and low depression score. The score of memory self-efficacy and metamemory showed higher in the middle aged than the old aged. The high scores of memory self-efficacy and metamemory were found in the group of highly educated people and who have continuing education. The high scores of memory self-efficacy were found in the group of persons having their job and high metamemory scores found in the group of persons having religion. In summary, the greater perceived health status and memory self-efficacy, the more metamemory scores were likely increased and the more depression level was decreased, the more metamemory was likely increased. Also it was found that general characteristics like educational level, continuing education and religion influenced the metamemory of the aged. Therefore, prevention the aged from getting depression and activation of health promotion are needed to delay time of memory loss.

  • PDF

문헌범주화에서 학습문헌수 최적화에 관한 연구 (Optimization of Number of Training Documents in Text Categorization)

  • 심경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77-294
    • /
    • 2006
  • 본 연구는 실재 시스템 환경에서 문헌 분류를 위해 범주화 기법을 적용할 경우, 범주화 성능이 어느 정도이며, 적정한 문헌범주화 성능의 달성을 위하여 분류기 학습에 필요한 범주당 가장 이상적인 학습문헌집합의 규모는 무엇인가를 파악하기 위하여 kNN 분류기를 사용하여 실험하였다. 실험문헌집단으로15만 여건의 실제 서비스되는 데이터베이스에서 2,556건 이상의 문헌을 가진 8개 범주를 선정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범주당 학습문헌수 20개(Tr-20)에서 2,000개(Tr-2000)까지 단계별로 증가시키며 8개 학습문헌집합 규모를 갖도록 하위문헌집단을 구성한 후, 학습문헌집합 규모에 따른 하위문헌집단 간 범주화 성능을 비교하였다. 8개 하위문헌집단의 거시평균 성능은 $F_1$ 값 30%로 선행연구에서 발견된 kNN 분류기의 일반적인 성능에 미치지 못하는 낮은 성능을 보였다. 실험을 수행한 8개 대상문헌집단 중 학습문헌수가 100개인 Tr-100 문헌집단이 $F_1$값 31%로 비용대 효과면에서 분류기 학습에 필요한 최적정의 실험문헌집합수로 판단되었다. 또한, 실험문헌집단에 부여된 주제범주 정확도를 수작업 재분류를 통하여 확인한 후, 이들의 범주별 범주화 성능과 관련성을 기반으로 위 결론의 신빙성을 높였다.

색채 환경 기반의 인체 반응 정보 측정 시스템 (A Measurement System for Color Environment-based Human Body Reaction)

  • 김지언;정창원;주수종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59-65
    • /
    • 2016
  • 색채 환경에 따라 인지반응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가 다양한 산업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특히, 의학 분야에서 색채 환경기반 생체신호를 수집하여 환자 상태의 파악과 치료 그리고 뇌활동의 규명에 관련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 연구들은 색채조명 또는 LED를 이용한 색채 환경을 구축하여 다양한 실험을 진행하고 있으나 다른 광원에 노출 되어 심리적인 영향을 주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시스템은 HMD(Head-Mounted-Display)를 이용하여 피험자에게 완벽한 색채 환경조건을 제공하고자 한다. 그리고 인체반응정도 측정을 위해 기억력-주의력 테스트하는 동안 BMS(Bio-Medical-System)으로 생체정보를 수집하여 색채별 인체반응정도 측정뿐만 아니라 심리적인 변화에 대한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한 시스템을 통하여 수집하는 생체정보는 심전도(ECG), 호흡(Respiration), 산소포화도(SpO2), 임피던스(Bio-Impedance), 혈압(Blood-Pressure) 이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이와함께, 인체의 인지반응을 측정하기위해 기억력-주의력 테스트는 앱으로 구현하여 색채 조건별 인지반응 정보를 측정하고 결과를 확인 할 수 있다. 제안한 시스템을 통하여 수집된 인체반응정보를 활용하여 생리학적 정보의 정량화하는 연구를 진행할 수 있으며, 색채 환경과 생리학적 정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의학적 진단 및 치료에 응용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향후 연구로 구축한 시스템을 통해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 및 시각화 기능을 추가하고, 치매 질환의 예측 및 치료를 위한 시스템으로 확장하여 재활프로그램으로서의 유효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친환경적 녹조 제거용 특수선박 건조 (Construction of Environmental Friendly Special-Purpose Ship for the Removal of Blue-green Algae)

  • 신재기;이혜숙;정선아;황순진
    • 생태와환경
    • /
    • 제42권3호
    • /
    • pp.404-406
    • /
    • 2009
  • 본 연구노트는 우리나라의 원천기술로서 개발된 녹조제거용 특수선박을 소개하고자 하였다. 녹조제거용 특수선박은 +자형으로서 크게 선박 본체와 탈부착 가능한 보조체로 구성되어 있다. 선박의 특징은 초경량 및 저홀수이다. 주요 세부장치는 흡입장치, 집수장치, 여과장치 및 수집장치의 4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에서 여과장치는 스크린 필터(망목크기 30${\mu}m$)를 사용하였고 압축에어 분사작용에 의해 물과 녹조를 순수 분리 및 제거할 수 있다. 농축된 녹조입자의 함수율은 85%이었다. 최종적으로 녹조와 분리된 물은 하천과 저수지의 공공수역으로 배출된다. Chlorophyll-$\alpha$ 농도로 비교한 제거효율은 약 57% (유입수 83.2 ${\mu}g\;L^{-1}$, 배출수 35.8 ${\mu}g\;L^{-1}$)이었고, 향후 녹조제거장치의 효율성 제고와 기술적 향상을 위해 다양한 조건(조류 생물량, 유량 등)에서 효과분석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다발성 녹조발생 우심지역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저수지 하류수역으로 확산을 방지하는 녹조현상의 사전예방체제 구축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제주도 토양방선균의 수집과 항균물질 생산균의 선별 (Collection of Soil Actinomycetes from Cheju Island and Screening for their Antibacterial Activities)

  • 정완석;김창진;고영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2권2호
    • /
    • pp.99-104
    • /
    • 1999
  • 제주도내 25개 지점의 토양시료로부터 총 703 주의 방선균을 분리하였다. 네 종류의 배지 중 soil extract를 함유한 arginine glycerol salts agar가 다양한 방선균을 분리하는데 가장 적합하였으며, 목장초지 토양이 다른 지역의 토양에 비해서 방선균의 다양성과 밀도면에서 가장 좋은 분리원이었다 순수분리된 526개의 균주를 대상으로 Escherichia coli, Staphylococcus aureus 및 Pseudomonas solanacearum을 검정균으로 하여, 항균성 물질 생산여부를 검정한 결과, 생산균주의 발생빈도는 분리 및 배양에 사용한 배지의 종류에 따라서 $0{\sim}32.8%$로 많은 차이를 보였다. 세 종류의 검정균에 대하여 동시에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10개 균주 중에서 pH 안정성과 열 안정성이 비교적 높은 물질을 생산하는 BL106Ba균주를 선택하여 등정한 결과, Streptomyces속에 속하며 S. albosporeus와 가장 유사한 것으로 추정되었다. B1106Ba의 배양액을 양이온 교환수지(AG MP-50)통과와 3차의 분자량 분획(Sephadex G-10)으로 정제하여 얻은 백색의 결정은 그람 음성균 및 양성균에 대해서는 강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나, 효모에 대해서는 약한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 결정 물질을 TLC와 HPLC로 분석한 결과 네 종류의 서로 다른 항균성 화합물이 혼합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화협옹주 출토 화장품(갈색 고체) 성분 분석 및 재현연구 (Component Analysis and Reproduction of a Brown Solid Cosmetic Excavated from Tomb of Princess Hwahyeop)

  • 이채훈;류송이;이한형;김효윤;김성미;정용재
    • 보존과학회지
    • /
    • 제36권5호
    • /
    • pp.430-439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화협옹주 회곽함에서 출토된 화장품 중 갈색 고체 잔여물이 나타난 화장품을 중점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이 화장품은 1752년 부장된 회곽함 안의 청화백자합에서 출토되었다. 국립고궁박물관에서는 유물분석과 문헌조사를 진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출토화장품의 원재료와 제조법을 추정하여 크림 형태의 화장품재현을 시도하였다. 이후 출토품과 유사한 열화 양상을 확인하기 위하여 고온, 자외선, 이산화탄소 조건에서 열화를 시행하였다. 이에 따른 변화와 화장품으로써의 효과를 확인하고자 과학적 분석과 기능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유지류가 높은 비율로 혼합된 재현품에서는 고온열화가 진행됨에 따라 색차값이 약 32 차이가 나타났고, O-H 결합과 C=C 결합에서 화학적 변화가 발생하여 유지류 산화가 발생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자외선 열화를 통해서는 pH 값이 노출 시간에 따라 산성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재현품의 기능성 평가로 진행한 차폐율은 현대 화장품의 차폐 기준치보다 낮게 나타났다.

무인 항공사진측량에 의한 농경지 필지 경계설정 정확도 (Accuracy of Parcel Boundary Demarcation in Agricultural Area Using UAV-Photogrammetry)

  • 성상민;이재원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53-62
    • /
    • 2016
  • 최근 초경량 무인비행장치(UAS: Unmanned Aerial System)에 저가의 소형 항법장치와 카메라 등의 센서를 탑재하여 지상의 공간정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취득하는 무인항공사진측량(UAV Photogrammetry)이 크게 주목받고 있다. 특히, 무인 항공사진측량은 저가의 일반 카메라로 취득된 다량의 고해상 영상을 컴퓨터 비전기술을 접목한 영상처리 소프트웨어로 정사영상과 DEM 등을 신속히 생성할 수 있어 기존의 항공사진측량을 서서히 대체하고 있다. 따라서 무인항공사진측량의 활용분야는 정밀한 위치정보를 요구하는 대축척 지형도제작과 지적측량 등에까지 확장 적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정익 무인항공기로 지상표본거리(GSD: Ground Sample Distance) 4cm로 촬영된 영상을 이용하여 농경지 필지의 경계설정 정확도 실험 결과를 소개하였다. 연구결과, 지적현황측량 성과와 비교하여 무인항공 정사영상으로부터 추출된 필지경계점의 정확도는 8cm미만으로 축척 1:500 지적측량을 위한 연결교차의 허용범위를 만족하였다. 그리고 면적오차는 비교 기준면적인 1,969m2에 비하여 약 0.2%(3.3m2) 미만의 무시가능한 미소 오차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무인항공사진측량은 농경지의 필지경계 설정을 위하여 충분히 적용 가능한 전도유망한 기술임을 입증하였다.

말기 암환자의 총체적 고통 (Total Pain of Patient with Terminal Cancer)

  • 이원희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3권1호
    • /
    • pp.60-73
    • /
    • 2000
  • 목적 : 연구의 목적은 말기 암환자의 총체적 고통의 내용과 총체적 고통의 관련요인을 파악하는 것이다. 방법 : 본 연구는 후향적 서술적 연구로 연구의 표본은 1단계에서는 1997년에 일개 대학에서 운영하는 호스피스 사업소에 등록된 환자전수를 대상으로 하였고 2단계에서는 4명의 호스피스 간호사에 의해 선정된 가장 고통이 심한 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 방법은 Twycross model의 분류 틀을 사용하여 호스피스 환자의 의무기록지를 분석하고 5명의 환자들을 담당하였던 호스피스 간호사와의 심층면담을 통해 의무기록지의 내용을 보충하였다. 또한 호스피스 정규 Team meeting시 사례연구를 통하여 고통의 내용과 관련요인을 확인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를 이용하여 서술적 통계를 사용하였고 간호사와의 심층 면담은 내용을 분석하였다. 결과 : 말기 암환자들이 주로 경험하는 주요문제들은 통증과 변비, 가족대응, 영적 고뇌(우울, 불안 등) 등으로 통증조절뿐만 아니라 가족의 대응 및 지지, 심리적 영적 지지와 함께 다른 증상조절에 필요한 적절한 간호중재가 요구됨을 나타내고 있다. Twycross model이 문화적인 차이가 있는 한국에도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죽음이라는 사실을 당면한 환자에게 유용한 총체적 고통 model로 사료된다. 결론 : 본 연구의 결과 Twycross model이 한국적 상황에서의 총체적 고통을 설명하는데 유용하였으나 새로운 요인들이 첨가되었으므로 한국의 말기 암환자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다.

  • PDF

일부 농촌 지역 노인 만성질환자 가족의 부담감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Family Caregiver's Burden for the Elderly with Chronic disease in a Rural Area)

  • 장인순
    • 가정∙방문간호학회지
    • /
    • 제2권
    • /
    • pp.19-34
    • /
    • 199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is level on family caregiver's burden for the elderly with chronic disease in a rural area and to choose priority care group, thereby facilitating the development of interventions to reduce the caregiver's burden.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by questionaire from June 10 to October 8, 1994. The instruments for data collection were Caregiver Burden Inventory by Novak(1989) and Zarit et al(1982), severity of dementia by Hughes Scales(1982), ADL by Lawton(1971), patients' family caregiving activity by pre-survey and reference review(Lee, 1993 ; Jang, 1990 ; Yoo, 1982). The subjects were 213 family caregiver of elderly with chronic disease in a rural area. The data was analysed by the use of t-test, ANOVA,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otal burden was evaluated below average, the mean of family burden was 46.98. By the diagnostic classification, Hypertension was 27.37, DM 32.46, CVA 62.96, Dementia 61.24. 2. Significant variables which were correlated to the family caregiver's burden were the patient's disease diagnosis (F=33.82, p<0.001), severity of dementia(F=30.52, p<0.001), the status of disease management(F=11.53, p<0.001), ADL(F=10.54, p<0.001), PADL(F=7.50, p<0.001), income(F=7.17, p<0.001), caregiver's health status(F=24.53, p<0.001), a view of patient's prognosis (F=22.17, p<0.001), relationship with the patient(F=33.82, p<0.001), the number of hours per day spent on caregiving(F=77.52, p<0.001), level of intimacy of caregiver and patients(F=8.75, p<0.001), level of helping(F=4.90, p<0.01), the frequency of caregiving activity(F=3.80, p<0.01), the number of admission(F=5.54, p<0.01), the length of caregiving(F=4.43, p<0.01), other chronic patient in family(t=2.81, p<0.01), caregiver's job(F=3.11, p<0.01), the duration of illness(F=2.98, p<0.05), caregiver's religion(F=2.93, p<0.05), medical security(F=3.89, p<0.05), caregiving's helper(t=2.42, p<0.05). 3. PADL was the most important predictor to family caregiver burden(R2=0.6611). In addition to this, IADL, caregiver's health status, the length of caregiving. level of intimacy of caregiver and patients, patient's age, the patient's disease diagnosis and patient's job accounted for 76% of family caregiver burden. 4. The criteria of priority care group were as follows ; the mean of family caregiver burden was above 58, above of moderate ADL, the number of hours per day spent on caregiving above of 8 hours, above of moderate dementia. By the diagnostic classification, number of priority care group, Hypertension was 4 (8.0%), DM 4(8.0%), CVA 34(64.1%), Dementia 45(75.0%).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