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lescopic overdenture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23초

이중관 구조 하악 임플랜트 피개의치의 응력 분포에 관한 유한요소법적 분석 (Finite Element Analysis of Stress Distribution on Telescopic System for Mandibular Implant Supported Overdenture)

  • 오정란;우이형;이성복;백진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359-371
    • /
    • 2008
  •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하악의 동일한 부위에 4개의 임플랜트를 식립하여 임플랜트 피개의치를 설계하는 경우, 바 구조와 이중관 구조 간의 응력분포에 대해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재료 및 방법: 하악골, 하악골에 식립한 4개의 임플랜트, 일차고정의 바 연결 상부구조, 이차고정의 이중관 상부구조를 삼차원 유한요소 모델링하였고, 상부 구조물에 최대 교두 감합위를 재현하는 수직하중과 측방운동시 작업측의 군기능을 재현하는 경사하중을 가하고, 최대 응력과 응력분포를 하악골, 임플랜트 지대주, 임플랜트 상부 구조물에서 분석하였다. 결과: 1. 악골에서의 최대 응력값은 경사하중을 제외하고 수직하중과 작업측 경사하중에서 이중관 구조가 바 구조에 비해 다소 적은 응력값을 보였다. 이중관 구조가 바 구조에 비해 비교적 악골 전체에 고르게 응력이 분포되었다. 2. 지대주에서는 모든 하중 조건에서 이중관 구조가 바 구조에 비해 낮은 응력값을 보였다. 응력 분포 양상은 두 구조에서 모두 비슷한 양상을 나타내었으며, 최후방 지대주의 원심면에 응력이 집중되었다. 3. 상부구조물에서는 모든 하중 조건에서 이중관 구조가 바 구조에 비해 높은 응력값을 나타냈다. 그러나, 바 구조에서는 바의 각 중심부와 지대주와의 연결부위, 지대주의 치경부에 응력이 집중된 반면, 이중관 구조에서는 상부 구조물 전체에 비교적 고른 응력 분포를 보였다. 결론: 본 연구 결과 이중관 구조가 바 구조보다 악골과 지대주에서는 더 낮은 응력을, 상부 구조물에서는 더 큰 응력을 나타냈다. 상부 구조물에 비교적 크게 전달되는 응력을 견딜 수 있는 상부구조물의 설계와 재료 선택만 이루진다면, 응력분포 면에서 이차고정을 하는 이중관 구조가 일차 고정하는 바 구조에 비해 유리하리라 생각된다.

Gold Electroforming System을 이용한 하악 임플란트 지지 텔레스코프 피개의치 (Mandibular Implant-Supported Telescopic Overdenture using Gold Electroforming System : A Case Report)

  • 최지하;김승균;유병일;안승근;박주미;송광엽;박찬운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4권2호
    • /
    • pp.193-201
    • /
    • 2008
  • 하악 완전 무치악 환자의 보철수복에 있어 임플란트 식립 후 피개의치의 제작은 첫 번째 치료 옵션으로 고려되어질 수 있다. 임플란트 지지 텔레스코프 피개의치를 제작하는 경우 인공치 및 유지 장치의 배열을 위한 악간 공간이 필요하다. 임플란트 상부 보철물의 passive한 fit은 보철물의 기계적 실패를 막는 중요한 요소이다. Gold electroforming system을 이용하여 제작한 telescopic attachment는 우수한 마진 적합도 및 passive한 fit을 보이며 얇은 코핑 두께로 인하여 좁은 악간 공간에서도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증례에서는 4개의 임플란트 식립 후 Gold electroforming system을 이용하여 telescopic overdenture를 제작하여 기능 및 심미적으로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Use of polyaryletherketone (PAEK) based polymer for implant-supported telescopic overdenture: A case report

  • Park, Chan;Jun, Dae-Jeon;Park, Sang-Won;Lim, Hyun-Pil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9권1호
    • /
    • pp.74-76
    • /
    • 2017
  • Although many prosthetic materials exist for fabrication of implant-supported telescopic overdentures, available materials have not been thoroughly evaluated from a functional standpoint. This case report describes the use of polyaryletherketone (PAEK) based polymer for an implant-supported telescopic overdenture, a seldom used material in dentistry. This material is lighter than traditional materials, can accommodate changes in retentive forces, and is an easily retrievable by CAD/CAM fabrication. This case highlights the possibility of using new polymer materials for implant-supported telescopic overdentures.

심한 치조골 소실이 있는 상악 무치악 환자에서 Pekkton telescopic attachment를 이용한 임플란트 피개의치 증례 (A case of maxilla implant overdenture using Pekkton telescopic attachment with severe alveolar bone resorption)

  • 박하은;이원섭;이철원;이수영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7권2호
    • /
    • pp.189-194
    • /
    • 2019
  • 심한 치조골 흡수를 동반한 편악 무치악 환자의 보철 수복시 대합치열의 상태를 고려하여 올바른 교합평면을 설정하고, 교합력이 균일하게 분산될 수 있는 치료가 제공되어야 한다. 임플란트 유지 피개의치는 소수의 임플란트로 치조골 흡수가 심한 완전 무치악 환자에게 총의치보다 우수한 유지와 안정성을 주는 치료이다. 최근 치과 영역에서 소개된 신소재 polyaryletherketone (PAEK) 기반의 폴리머(Pekkton ivory, Cendres + $M{\acute{e}}taux$ SA, Biel / Bienne, Switzerland)를 사용한 telescopic 어태치먼트는 전형적인 telescopic 코핑의 이점을 가지며, 내마모성이 뛰어나며, 기존의 임플란트 피개의치에 비해 가볍고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 본 증례에서는 상악 완전 무치악 환자에 임플란트를 5개 식립하여, Pekkton으로 내 외관이 제작된 텔레스코픽 어태치먼트를 활용한 임플란트 유지 피개의치를 제작하고, 하악은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로 수복하였다. 심미적 및 기능적으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한 환자에서 실패한 임플란트 부착장치들의 원인과 이중관 임플란트 피개 의치의 적용 (Causes of failed implant attachments and application of double crown implant overdenture in one patient)

  • 권재욱;조진현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6권4호
    • /
    • pp.368-374
    • /
    • 2018
  • 본 증례의 환자는 약 10여년 전 2개의 임플란트를 이용하여 Gold Hader bar 하악 임플란트 피개 의치로 수복하였고, 3년 6개월의 사용으로 인한 bar의 심한 마모로 유지력을 상실하였다. 이를 Locator 부착장치를 이용하여 하악 피개 의치를 수리하였으나, Locator 사용 6년 6개월 후 male 부위가 완전히 닳은 상태로 내원하게 되었다. 다음으로는 하이브리드 이중관(Hybrid telescopic double crown with friction pin)을 사용하여 임플란트 피개 의치를 새로 제작하였고, 이를 2년동안 관찰한 결과 우수한 예후를 보여주고 있다. 여기에서 한 환자에서 2가지(Gold Hader bar, Locator)방법으로 수복한 임플란트 피개 의치에서 각 부착장치의 실패원인에 대해서 알아보고, 이중관 피개 의치의 장단점과 성공을 위한 조건에 대해서 보고하고자 한다.

하악 견치 잔존시 의치 설계에 따른 치아 지지조직 및 잔존치조제의 광탄성 응력분석 (A PHOTOELASTIC STRESS ANALYSIS ON TOOTH SUPPORTING STRUCTURE AND RESIDUAL RIDGE ACCORDING TO DENTURE DESIGN FOR REMAINING MANDIBULAR CANINES)

  • 김일평;고준원;진태호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486-503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tress patterns developed in abutment and residual ridge according to removable denture design in case of remaining mandibular canines. The removable denture designs in this study were as foolows : 1. Removable partial denture with non-splinted abutment 2. Removable partial denture with splinted abutment 3. Overdenture with telescopic crown 4. Overdenture with O-Ring attachment 5. Overdenture with combination bar attachment Photoelastic stress analysis was used to record the isochromatic fringe patterns and to calculate principal stress components at measuring poin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In case of removable partial denture with non-splinted abutment, stress of root area at the loaded side was the largest.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ress of root area were observed between loaded side and unloaded side. 2.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ress of residual ridge at the loaded side were observed between removable partial denture with splinted abutment and removable partial denture with non-splinted abutment. 3. In case of combination bar attachment retained overdenture, stress of root area was the largest and in case of telescopic crown retained overdenture, stress of root area was the lowest. 4. In case of attachment retained overdenture, stress of residual ridge was lower but stress of root area was larger than in case of removable partial denture.

  • PDF

CAD-CAM Konus type 부착장치를 이용한 하악 임플란트 피개의치 보철수복 증례 (Mandibular implant-supported overdenture using CAD-CAM Konus type attachment: A case report)

  • 박종희;김인주;김경아;송광엽;서재민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259-266
    • /
    • 2016
  • 하악 완전 무치악 환자의 보철수복에 있어 임플란트 식립 후 피개의치 제작은 첫 번째 치료 옵션으로 고려된다. 코너스 타입 부착장치를 이용한 피개의치는 견고한 지지를 제공하고 cross arch stabilization을 이루도록 하여 교합압을 균일하게 분산시키며, 의치에 의한 이차 고정으로 장기간의 안정성을 제공한다. 최근 소개된 팔라듐-은(Pd-Ag) 합금(Innovium)은 팔라듐, 은, 금 등의 귀금속 함량이 72% 이상인 CAD-CAM 시스템 전용 귀금속 합금으로 코너스 타입 부착장치를 제작하는데 적합한 물성을 가지고 있다. 본 증례에서는 완전 무치악 환자에서 상악에는 통상적인 총의치, 하악에는 임플란트를 4개 식립한 후에 코너스 타입 부착장치 피개의치 수복을 하였다. CAD-CAM 시스템을 이용하여 팔라듐-은 합금(Innovium)으로 제작된 코너스 타입 부착장치를 장착하였으며 이를 통해 의치의 유지와 안정을 향상시켰으며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상악의 소수 잔존치와 실패한 하악의 임플란트 오버덴처의 재수복 임상증례: 프릭션핀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텔레스코픽 이중관법 (Hybrid telescopic double crown denture on maxillary few remaining teeth and 2 mandibular implants in case of failed implant overdenture)

  • 하석준;조진현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246-252
    • /
    • 2016
  • 이중관 가철성 국소의치는 지대치 간의 이차고정(secondary splinting), 응력의 수직 방향, 지대치 지렛점(fulcrum)의 내 외관 margin 부위 위치로 인한 지렛대 길이(the length of lever arm)의 감소로 소수 잔존치이거나 지대치의 상태가 좋지 않은 경우에도 성공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중관(double crown)을 이용한 의치는 치아가 얼마 남지 않은 부분 무치악 환자 뿐만 아니라, 소수의 임플란트를 식립한 임플란트 오버덴처에 있어서 성공적인 치료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본 증례에서는 상악은 소수 치아가 잔존했고, 하악은 치조골 흡수 및 수축이 심하고 임플란트가 실패한 상태였다. 상악의 소수 잔존치는 치주적으로 불량하였고, 하악에는 2개의 임플란트만을 다시 식립하였다. 이러한 불리한 조건에서 이중관 가철성 국소의치를 이용한 치료를 계획하였다. 1년여 정도의 관찰 기간 동안 기능적, 심미적으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이중관 가철성 국소의치의 효용성을 증명하였기에 본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실패한 이중관 국소의치에서 하이브리드 텔레스코픽 이중관 국소의치를 이용한 임상증례 (A clinical report of hybrid telescopic double crown denture with friction pin in a failed double crown denture case)

  • 박종훈;조진현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9권2호
    • /
    • pp.201-209
    • /
    • 2021
  • 가철성 국소의치 치료 시 유지력을 얻는 방법에 따라 많은 연구와 임상적인 적용이 이루어 지고 있다. 그중 한 종류인 이중관 의치는 독일과 스웨덴과 같은 유럽의 나라에서 널리 사용되어지고 있다. 텔레스코픽 이중관 국소의치는 구강 위생관리의 편의성, 지대치로 교합력의 수직적인 전달, 그리고 지대치들 간의 2차적인 고정과 같은 장점들이 있어 클라스프 유지형 가철성 국소의치에 비해 임상적으로 더 나은 결과를 보여줄 수 있다. 본 증례에서 처음에 환자는 자연치를 이용하여 상악에 프릭션핀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텔레스코픽 이중관 의치를 제작하였습니다. 7년 뒤 환자의 불량한 구강위생관리 습관과 정기검진의 부재로 지대치들에 치주염이 발생하였고 5개중 4개의 자연치 지대치를 발치하게 되었다. 남은 1개의 자연치 지대치의 내관을 그대로 사용하면서 3개의 추가적인 임플란트를 식립하였다. 대합치인 하악이 고정성 보철임에도 불구하고 전략적인 임플란트 식립으로 인해 환자는 새롭게 제작된 상악 치아-임플란트 연합 이중관 의치에 적응하였고 만족하였다.

Clinical outcome of double crown-retained implant overdentures with zirconia primary crowns

  • Rinke, Sven;Buergers, Ralf;Ziebolz, Dirk;Roediger, Matthias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7권4호
    • /
    • pp.329-337
    • /
    • 2015
  • PURPOSE. This retrospective study aims at the evaluation of implant-supported overdentures (IODs) supported by ceramo-galvanic double crowns (CGDCs: zirconia primary crowns + galvano-formed secondary crown). MATERIALS AND METHODS. In a private practice, 14 patients were restored with 18 IODs (mandible: 11, maxilla: 7) retained by CGDCs on 4 - 8 implants and annually evaluated for technical and/or biological failures/complications. RESULTS. One of the 86 inserted implants failed during the healing period (cumulative survival rate (CSR) implants: 98.8%). During the prosthetic functional period (mean: $5.9{\pm}2.2years$), 1 implant demonstrated an abutment fracture (CSR-abutments: 98.2%), and one case of peri-implantitis was detected. All IODs remained in function (CSR-denture: 100%). A total of 15 technical complications required interventions to maintain function (technical complication rate: 0.178 treatments/patients/year). CONCLUSION. Considering the small sample size, the use of CGDCs for the attachment of IODs is possible without an increased risk of technical complications. However, for a final evaluation, results from a larger cohort are requi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