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chnology & Home Economics

검색결과 653건 처리시간 0.028초

암묵적 태도검사(Implicit Association Test, IAT)를 이용한 남녀 중학생의 가정교과에 대한 성편향성 태도 연구 (A Study of the Gender-Biased Attitudes of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toward Home Economics as a Subject: Implementing the Implicit Association Test)

  • 김은정;이윤정;김지선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7권4호
    • /
    • pp.459-472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Implicit Association Test to measure students' gender-biased attitude toward Home Economics, a required subject in middle-school and to examine the effects of gender, gender-biased attitude toward Home Economics, and gender egalitarianism on the perception of the subject. A total of 508 male and female middle-school students were surveyed using Qualtric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students had a gender-biased attitude of perceiving Home Economics as feminine as a whole, and this tendency was more evident among female than male students. To the contrary, their attitudes toward Home Economics as a subject was generally favorable when asked explicitly using self-administered questions. Among the high school elective classes, students preferred 'fashion' most, followed by 'dietary life',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and 'family life culture'. Female students, students with patriarchal attitude, and students who has gender-biased attitude toward Home Economics were more likely to perceive Home Economics as an alienated and less important subject. The generally positive explicit attitude toward Home Economics may be the results the social desirability effect due to the education. However, the home economists should develop a plan to overcome the gender-biased implicit attitude in order for the value of Home Economics as a subject to be fully addressed.

자유학기제 도입에 따른 기술.가정 교과통합 진로교육 운용 방안 - 가정 교과 영역을 중심으로 - (Career Education in Technology.Home Economics Education and Application Plan in Free Learning Semester - Focus on Home Economics education Unit -)

  • 김은정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05-121
    • /
    • 2013
  • 본 연구는 자유학기제 시행에 따라 실과(기술 가정)에서 진로교육의 활성화 방안으로서 가정교과통합에 따른 진로교육의 타당성과 방향을 탐색하고 이를 활성화하기 위한 진로교육 방향 및 모형을 제시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자유학기제의 의미와 동향, 교과통합 진로교육의 동향과 실과(기술 가정)에서 교육과정 분석 및 가정과교육에서의 진로교육 연구의 동향을 탐색하였다. 이를 통해 발견하게 된 것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유학기제의 의미의 모호성에도 불구하고 생애 전반에 걸친 진로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요구가 증가함으로 진로교육은 확대되어 갈 것이라는 것이다. 둘째, 교과를 배제한 진로교육은 실효성에 문제가 있으므로, 교과를 중심으로 한 진로교육인 교과통합 진로교육의 중요성이 더 중요해질 것이라는 것이다. 셋째, 핵심 성취기준에 따라 실과(기술 가정)에서의 교과통합 진로교육에서의 핵심성취기준을 추출하는 것이 중요함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자유학기제에서의 가정교과의 진로교육 방향 및 모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자유학기제의 개념의 모호성에 따른 실천의 모호성의 문제를 제기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교수 학습 과정 모형을 학교 현장에 적용하지 못하여 그 실효성을 확인하지 못했다는 점이다. 그러나 본 연구는 자유학기제의 실행에 앞서 교과 내에서의 진로교육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을 것이다.

  • PDF

양성평등적 관점에 기초한 실과(기술.가정)교과서의 사진 및 삽화 계량 분석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Photos and Illustrations in the Practical Arts (Technology.Home Economics)Textbook Based on A Gender Equity Perspective)

  • 최영선;윤인경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85-100
    • /
    • 2008
  • 본 연구는 양성평등교육에 대한 사회적 요구와 학교교육과정에서의 요구에 따른 현행 제7차 교육과정 실과(기술$\cdot$가정) 교과서에 제시된 내용을 양성 평등적 관점에서 분석한 것이다. 연구 목적은 실과 (기술$\cdot$가정)교과서에 제시된 사진 및 삽화에 등장하는 인물을 대상으로 양성평등성과 남녀역할을 분석해봄으로써 남녀공통이수 교과로서 그 유용성을 점검해보고자 하였으며 이를 통해 교과서 집필시 혹은 검정 작업할 때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하나의 교과서로 병합되어 있는 실과 (기술$\cdot$가정)교과서를 <기술>분야와 <가정>분야로 나누어 계량 분석하여 비교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았다. 교과서에 나타난 사진 및 삽화는 자료가 방대하였으며 양성평등 요소도 많지만, 성차별적인 요소도 많았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사진 및 삽화는 제6차 교육과정까지의 선행연구에 비추어 볼 때 대체적으로 균형 있는 출현 빈도로 개선되어 가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나 아직도 성 차별적인 요소와 교육내용 속에 잠재되어 있는 요소들이 많이 발견되었다. 학교급별로는 초등학교 실과 교과서가 양성평등성을 지향하는 정도가 가장 높아 성차별적인 요소가 적은 반면 중등학교기술 가정에서는 성차별적인 요소들이 많아 개선이 요구되었다. <기술>과 <가정>분야를 비교해 보면 각 분야 모두 전통적인 기존의 이미지를 탈피하지 못하고 있었으며 <기술>분야에서 그 성격이 더 뚜렷하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정리하여 제언하면 중등학교의 기술 가정은 양성의 흥미를 모두 고려한 교육내용으로 개선이 요구되었고 <가정>분야보다는 <기술>분야가 사진 및 삽화에 대한 양성평등 관점에서의 인지가 낮아 성차별적인 요소가 많았으며 전체적으로 보완이 요구되었다. 다음으로 실과 (기술$\cdot$가정)교과서에 나타난 사진 및 삽화에 내재된 성차별적인 요소를 제거하기 위해 <가정>분야와 <기술>분야 모두 적극적인 관점에서 양성평등 교육이 요구되었다. 또한 양성평등적 관점에서 교과서를 점검하는 작업은 표면적인 양적인 연구뿐만 아니라 실질적인 질적 측면에서의 후속연구가 요구되었다.

  • PDF

2015 개정 기술·가정과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역량 함양을 위한 의생활 수업 개발 - 교육과정-수업-평가의 일체화를 중심으로 - (Development of Clothing Life Education to Cultivate Subject Competencies based on 2015 Revised Technology & Home Economics Curriculum : Focusing on Integration of the Curriculum-Class-Evaluation)

  • 김서현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15-128
    • /
    • 2018
  • 본 연구는 교과역량 함양을 위한 가정과교육이 나아갈 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역량기반 가정과 수업의 현장 적용 방안을 탐색하고, 수업 사례를 개발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역량 함양을 위해서는 교육과정-수업-평가의 일체화를 통해 학생을 교육과정, 수업, 평가의 중심에 두어 삶의 주체로 성장시킬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둘째, 교과역량 함양을 위해 교육과정-수업-평가 일체화를 중심으로 의생활 수업 사례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는 실제 가정과 수업에서 교과역량의 함양을 위한 교육과정-평가-수업의 일체화를 활성화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효과적인 중등학교 가정과 교육을 위한 교재연구의 필요성 -피복영역의 지도를 중심으로- (The Necessity of Home Economics Education Teaching Materials in Secondary School)

  • 손원교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63-85
    • /
    • 1989
  • The Change of environment related to human life, science, technology, economics and education level have much effect on home life. Therefore Home Economics Education have to get out of past trite concept that it is only a method to become good housewife and take the role to widen the human life and to grow creative power as a academic part of science. For these, Home Economics should become life education, life education of secondary school has to have relation to lifelong education. To achieve effective result from Home Economics Education, the object, system and methods of Home Economics Education, the object, system and methods of Home Economics Education have to be improved and teaching material has to be studied systematically. As an object of aboves and education planning in clothing is made for deep understanding the study of Home Economics Teaching Material. And to understand the real state, made some questions, had interview with 63-teaching in Kangweon province and show the results. 1) Tab 1~20 are the level of recognition about object, teaching content, time structure of secondary school. The object is recognized as cultural education and basic job education. 2) Tab 21~30 show the real state of textbook and study of it. To take effect from school lecture other teaching material except textbook is required. 3) Tab 31~40 are the result of sewing and handicraft practice. Sewing and handicraft needs much time and almost all time is used in practicing. 4) Tab 42~54 are the planning of textbook study for effective teaching, self-estimation and teaching material making is also considered. All above is collarless blouse’s planning. Base on above result, all objects of clothing life should be teached. For the development of Home Economics Education 1) Understanding and affection of teachers is required. 2) To solve indicated problem, national policy, education plan in school and education finance are fully supported. 3) More studies is required in Home Economics Education.

  • PDF

한·미 고등학교 가정과 교과서의 '가족' 관련 내용 비교: 건강가정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Comparison of Family-Related Contents of High School Home Economics Textbooks between Korea and the U.S.: Focusing on the Elements of a Healthy Family)

  • 강남주;진미정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5권2호
    • /
    • pp.167-180
    • /
    • 2017
  • This study makes suggestions on the contents of home economics to form adolescents' values of a healthy marriage and family. For this objective, family-related contents of high school home economics textbooks between Korea and the U.S. were comparatively analyzed using a qualitative interpretation method, based on the elements of a healthy family. Obtaining nine types of high school technology & home economics textbooks (2009 revised curriculum), two types of high school home economics science textbooks (2009 revised curriculum), and five types of the U.S. home economics textbooks for grade 10 to 12, contents elements, described contents, pictures, illustration, and activity tasks of the contents were examined. This study discussed the implications of family-related content in home economics high school textbooks of Korea as well as presented suggestions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subject content.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family-related contents in home economics textbooks of both countries, Korean home economics textbooks emphasized the contents meeting a democratic and gender-equal family relationship, maintenance & creation of healthy family life culture, rational resource management, and support for children's growth & development. However, U.S. home economics textbooks focused on elements such as economic stability of family, stable food, clothing, and shelter, open conversation, support of children's growth & development, rational resource management, sharing family roles, healthy citizenship, and harmony between work and family.

초·중등 연계와 핵심역량을 중심으로 한 실과(기술·가정)교과의 '가정생활' 영역 차기 교육과정 개발 방안 (The plan for development of subsequent curriculum based on the section 'family life' of practical arts(technology·home economics) from elementary and secondary courses and key competence)

  • 전세경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35-50
    • /
    • 2014
  • 이 연구는 '초중등 연계'와 '핵심역량 중심'의 교육과정 개발이라는 두 쟁점을 바탕으로 실과(기술 가정)교과의 다음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구체적인 방향과 전략을 논의한 것이다. 구체적인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과의 입장에서 초 중등 연계란 어떤 의미인지, 교육과정 개발과정에서 초등과 중등에 나타난 전략을 통해 내재된 문제가 무엇인지 살펴본다. 이를 위하여 초 중등 연계의 의미와 방식, 가정과에서의 연계의 문제, 초등 가정과의 위상, 초 중등 연계의 새로운 논리 등을 검토한다. 둘째, 가정과에서의 핵심역량이란 무엇이며, 핵심 역량 중심의 교육과정 개발은 어떠한 의미인지 살펴본다. 이를 위하여 핵심역량 중심 교과 교육과정 개발의 의미와 핵심역량 중심 가정과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조건과 과제 등을 검토한다. 셋째, 위의 두 쟁점에 대한 논의를 바탕으로 가정과의 차기 교육과정 개발에 이를 어떻게 구현할 수 있을지 그 방안을 살펴본다. 이를 위하여 초 중등 가정과의 학문적 소통, 교과명칭의 통일, 핵심역량 중심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체계적인 이해, 교과를 어필할 수 있는 전략의 모색 등을 검토하고, 그 일 예를 제시한다. 이 연구를 통하여 초 중등 가정과의 소통과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학술적 논의가 활발히 진행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경기$\cdot$인천지역 중학교 가정실 실내 환경과 활용 실태 (Interior Environment and Practical Usages of the Home Economics Practice Room in Middle School of Gyeonggi and Incheon)

  • 조재순;소복례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127-140
    • /
    • 2004
  • 이 연구는 중학교 가정 교과 특별실인 가정실의 실내 환경. 교구와 설비, 활용 실태의 문제점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자료는 경기도와 인천광역시에 소재한 중학교의 가술 $\cdot$ 가정을 담당하고 있는 150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우편을 통한 설문지로 수집되었다. 조사 결과 대부분의 중학교는 가정실을 갖추고 있었다. 가정실은 가정 수업 외 다른 용도로 사용되어 때때로 가정실에서의 수업에 어려움을 주고 있었다. 가정실의 활용 실태는 저조하며 대부분 조리와 재봉수업으로 제한되었는데 그 이유는 실내 환경에서 냉$\cdot$난방과 환기의 부적합. 작업대와 의자 같은 설비뿐만 아니라 교구 등의 부족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은 가정실에서 모든 단원의 가정수업이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지기를 바라고 있었다. 가정실의 실내 환경과 교구의 개선은 가정실에서의 다양한 수업을 수월하게 할 것이다.

  • PDF

제7차 "기술.가정" 교과 운영에 대한 교사의 애로점, 교수 활동 자신감 및 만족도 -대구광역시 중.고교 "기술.가정" 담당 교사를 중심으로- (The Problems, Confidence and Satisfaction of Teachers on Implementation of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Subject in the 7th Curriculum)

  • 장현숙;최지혜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7-29
    • /
    • 2006
  • 본 연구는 2001학년도부터 시행되어 은 제7차 교육과정에서 $\ulcorner$기술.가정$\lrcorner$ 교과 운영에 대한 교사의 애로점, 교수 활동 자신감 및 만족도를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서 중, 고등학교 $\ulcorner$기술.가정$\lrcorner$ 교과 담당 교사들에게 질문지를 우편으로 발송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WIN 10.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test,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다음과 같이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ulcorner$기술.가정$\lrcorner$ 교과의 운영형태는 전담지도와 분담지도가 비슷한 비율로 이루어져 2001학년도 시행초기보다는 영역별 분담지도가 비교적 많이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국 공립학교와 남녀공학인 학교에서 영역별 분담지도가 더 많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둘째, 교사들이 $\ulcorner$기술.가정$\lrcorner$ 교과 지도와 관련하여 느끼는 애로점은 비전공 영역의 기능 및 지식 부족, 학생들의 학습 흥미 저하, 수업 자료 부족, 평가에 대한 부담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ulcorner$기술.가정$\lrcorner$ 교과의 내용 영역에 대한 교수 활동 자신감에서는 전공에 따라서는 가정 영역은 가정과 교사의 자신감이 높게 나타났고, 기술 영역은 기술과 교사의 자신감이 높게 나타났으며, 운영형태에 따른 자신감의 차이를 보면 분담지도하는 교사가 전담지도하는 교사보다 교수 활동 자신감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운영형태에 따른 만족도는 전담지도보다 영역별 분담지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살펴보면, 영역별 분담지도하는 교사가 전담지도하는 교사에 비해 거의 모든 단원에서 교수활동 자신감이 높게 나타났고 운영형태에 따른 만족도도 높게 나타난 점은 일선 학교에서의 $\ulcorner$기술.가정$\lrcorner$ 교과 운영에서 고려되어져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