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ching Units

검색결과 264건 처리시간 0.022초

맥락화를 통한 분수의 곱셈과 나눗셈 지도 (Teaching Multiplication & Division of Fractions through Contextualization)

  • 김명운;장경윤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1권4호
    • /
    • pp.685-706
    • /
    • 2009
  • 이 연구는 분수의 곱셈 나눗셈에 관련한 교수-학습을 의미 있게 도울 수 있는 맥락화가 왜 필요하며, 어떻게 가능한지, 또한 효과적인 맥락화의 활용 방안은 무엇인지를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자연수에 대하여 분수의 곱셈 나눗셈 상황의 차이는 무엇인지를 살펴보고, 그 차이에 따라 분수의 곱셈에서는 승수인 연산자의 역할을 이해할 수 이는 맥락을 설정하여, 단위의 변화에 대한 인식을 하도록 하였다. 분수의 나눗셈에서 포함제는 그 몫이 이산량인 경우이면 남은 양이 생길 수 있고, 연속량인 경우에는 분수로 그 몫을 표현해야 하는 맥락으로 구분지었다. 그리고 등분제의 맥락은 자연수의 등분제의 맥락과 연결시켜 새롭게 제시하여, 자연수의 나눗셈에서 분수의 나눗셈으로 형식화되는 3단계의 효과적인 학습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로써 교사와 학생들의 분수의 곱셈과 나눗셈의 교수-학습 과정에 있어서 유의미한 알고리즘의 습득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PDF

경기$\cdot$인천지역 중학교 가정실 실내 환경과 활용 실태 (Interior Environment and Practical Usages of the Home Economics Practice Room in Middle School of Gyeonggi and Incheon)

  • 조재순;소복례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127-140
    • /
    • 2004
  • 이 연구는 중학교 가정 교과 특별실인 가정실의 실내 환경. 교구와 설비, 활용 실태의 문제점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자료는 경기도와 인천광역시에 소재한 중학교의 가술 $\cdot$ 가정을 담당하고 있는 150명의 교사를 대상으로 우편을 통한 설문지로 수집되었다. 조사 결과 대부분의 중학교는 가정실을 갖추고 있었다. 가정실은 가정 수업 외 다른 용도로 사용되어 때때로 가정실에서의 수업에 어려움을 주고 있었다. 가정실의 활용 실태는 저조하며 대부분 조리와 재봉수업으로 제한되었는데 그 이유는 실내 환경에서 냉$\cdot$난방과 환기의 부적합. 작업대와 의자 같은 설비뿐만 아니라 교구 등의 부족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은 가정실에서 모든 단원의 가정수업이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지기를 바라고 있었다. 가정실의 실내 환경과 교구의 개선은 가정실에서의 다양한 수업을 수월하게 할 것이다.

  • PDF

초등학교 과학교과서에 제시된 탐구활동의 교수전략, 유형, 개념과의 연관성 분석 - 지구과학 영역을 중심으로 - (Analysis of Teaching Strategies, Types of Inquiry Activiti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Inquiry Activities and Concepts Presented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Textbooks - Focusing on Earth Science -)

  • 임성만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9권3호
    • /
    • pp.449-463
    • /
    • 2020
  • This study was to analysis teaching strategies, types of inquiry activiti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cience concepts and inquiry activities presented in science textbook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inquiry-based teaching strategies presented in science textbooks were experiment, simulation, demonstration, and field study. Second, there were 53 inquiry activities presented in 8 units related to the earth science area of science textbooks, and the types of inquiry activities were experimental observation (EO) 18, mock activity (SA) 20, investigation discussion and presentation (IP). It was analyzed as 12, data interpretation (ID) 2, and express (EX) 1 piece. Third, the relationship between inquiry activities and science concepts presented in science textbooks was analyz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ut of a total of 42 inquiry activities, 21 inquiry activities corresponded to EA (explicit activities), in which the result of inquiry activities was directly and explicitly linked to science concepts. And IA (implicit activities), which is an implicit inquiry activity in which science concepts must be inferred using the results of inquiry activities, were analyzed as 21. In particular, IA (implicit activities), which is an implicit inquiry activity, can be said to be the result of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earth science areas where many simulated activities (SA) are used. This is considered to be a matter to be considered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various elementary science textbooks in the future.

학교 캠퍼스를 활용한 창의적 체험활동 운영방안 연구 (The Study of Investigating the Way Applying a School Garden for the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 문병찬;김용택;임형선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39-53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way applying a school garden for the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on the school learning program. For this study, the 27s elementary students who were the 5th and 6th grades participated in this program. And the 10units lessons programs what were consisted with the inquiry, debating, and cooperating activities were developed, and applying to classroom and school garden. The key concepts of developing program were 'rocks which were in the school garden'. he results are follows, for the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on the school teaching/learning program, the school garden has useful value as teaching/learning field. The teaching/learning activity applying the school garden makes an offer the awareness to students that the knowledges learned in school were actually relative with their life. Also, the students are affirmatively participate to learning, debate, and cooperate activities because the school garden is very familiar environment to them. Lastly, the students are interesting in learning classes because they think that the school garden environments will reform actually to new shape of their ideas. After this learning were finishing, most of students indicated their intention with satisfaction. Some of them suggested applying the additional program using the school garden. Consequently, the school garden has the very useful value for applying program of the teaching/learning in elementary school education.

과학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두뇌기반 분석을 위한 두뇌맞춤지수 산출식 개발 (Development of the Brain Compatibility Index Equation for Brain-based Analysis of Teaching-Learning Program in Science)

  • 이일선;이준기;권용주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0권8호
    • /
    • pp.1031-1043
    • /
    • 2010
  • 이 연구의 목적은 과학 교수-학습프로그램의 두뇌 기반 분석을 위한 정성적 정량적 분석방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첫 번째로 두뇌기반 분석을 위한 분석방법의 고안에는 중학교 과학 교수-학습프로그램 중 한 단원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제시된 분석방법의 유용성 검증에는 7차 및 2007 개정 교육과정의 초등학교 과학 교수-학습프로그램 중 네 단원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여 검증하였다. 그 결과,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CORE Brain Map을 통해 정성적으로 컨설팅 할 수 있었다. 또한 네트워크 이론으로부터 정량적 분석을 위한 두뇌맞춤지수 산출식(BCI=$\frac{L_o}{11(N_o-1)}{\cdot}{\sum}\limits_{i=1}^4l_iw_i$)을 유도하였다. 이를 통해 단원 및 교육과정에 따른 연구대상 교수-학습프로그램들 간의 정량적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해 개발된 두뇌기반 과학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정성적 정량적 분석방법은 두뇌기반 다양한 과학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분석 및 진단에 활용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책만들기를 활용한 문제중심학습 중학교 가정과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및 평가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Teaching.Learning Process Plan with Problem-Based Learning through Book-Making in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 김상미;이혜자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01-122
    • /
    • 2012
  • 본 연구는 중학교 1학년 가정과 '옷차림과 자기표현' 단원에 적용할 책만들기를 활용한 문제중심학습 교수 학습 과정안을 개발하고 적용한 후 수업의 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책만들기를 활용한 문제중심학습 교수 학습 과정안, 학생자료 15개, 교사자료 9개를 개발하여 부산광역시 소재의 여자중학교 학생 167명을 대상으로 적용한 후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수업이 학생들의 신체이미지에 대한 왜곡이나 불만족을 줄여줘 신체이미지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외모에 대한 사회문화적 태도에 대해서는 사회적 영향을 덜 받는 것으로 바람직하게 변화되었다.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평가는 수업이 재미있고, 특별나고, 학습자료가 다양하며, 나의 신체에 대해 생각하는 계기가 되었다는 등으로 매우 긍정적이었으나 수업시간의 부족과 과제가 많았다고 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본 교수 학습과정안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는 데 적합한 모형임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 교수 학습 과정안의 타당성 검토와 수업시간의 확보를 통한 학습활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후속 연구를 통해 더욱 발전된 책만들기를 활용한 문제중심 학습 교수 학습 과정안이 개발되기를 기대한다.

  • PDF

교육용 기록정보콘텐츠 개발 절차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ing procedures of an archival contents for education)

  • 이은영
    • 기록학연구
    • /
    • 제29호
    • /
    • pp.129-173
    • /
    • 2011
  • 교육과정에 기반한 교육용 기록정보콘텐츠는 역사적 사고력 함양에 가장 효과적인 교수 학습 도구라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교육용 기록정보콘텐츠의 개발 방법론을 제안함으로써 국립 기관인 국가기록원이 본격적인 교육용 기록정보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 이론적 지침이 되고자 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교육용 기록정보콘텐츠의 개발 절차는 e-러닝 콘텐츠의 개발 단계인 '기획-분석-설계-개발-평가'의 단계를 거친다. 구체적으로는 교육용 기록정보콘텐츠로서의 특성을 띤 교육과정 분석과 컬렉션 분석, 교수 학습 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는 구조화된 형태로 설계하기 위한 세부 단계를 거친다. 교육과정 분석에선 일차 사료를 활용한 학습이 가능한 주제 항목을 설정하고 이를 검색을 위한 키워드로 도출하는 절차와 일차 사료별 교수 학습 활동에 적용할 수 있는 교수 학습 방법을 분석하였다. 컬렉션 분석에선 키워드별로 기록 검색을 실시한 뒤 일차 사료의 선별 기준에 따라 최종적인 기록을 선정하는 과정을 제안하였다. 분석의 결과를 토대로 설계 단계에서는 콘텐츠의 제목 및 내용 구조를 결정하고, 학습 흐름도를 기반으로 스토리보드를 작성하여야 한다. 개발 시엔 일차 사료의 질감을 원본에 최대한 가깝게 제작하는 것이 핵심이며, 평가 단계에선 콘텐츠의 교수 학습 내용이 학습 목표를 효과적으로 성취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는지를 평가하고 실제 콘텐츠 서비스 운영 후 이용자 만족도 조사에 의한 평가 결과를 새로운 콘텐츠 개발이나 콘텐츠 업데이트에 반영하도록 하였다.

내과적 치료를 받는 관상동맥질환자의 간호표준 개발 (The Development of Nursing Standards for Coronary Artery Disease Patients Who Received Medical Treatment)

  • 노원정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326-335
    • /
    • 2010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nursing standards for medical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CAD) patients. Methods: This study was a methodological study. The content of nursing standards for medical patients with CAD developed in this study was validated. The nursing standards of cardiovascular nursing developed by the American Nurses Association (2008), the nursing standards developed by the Korea Nurses Association (2003) and a clinical manual of patients with CAD developed by K teaching hospital were reviewed. Literature regarding CAD nursing standards was also reviewed. The basic contents of nursing standards for medical patients with CAD were selected by an expert group including two nursing faculties, a cardiovascular unit manager, and two cardiologists. A pilot study was conducted then in real clinical settings, in which includes cardiovascular outpatient clinic, cardiovascular inpatient units, and cardiac intensive care units to evaluate clinical suitability of the nursing standards. Results: The final version of the nursing standards for medical patients with CAD included 12 standards, 24 criteria, 38 indicators and 92 nursing activities. Conclusion: The nursing standards developed in this study can be used in evaluating quality of nursing service and in educating nurses who are involved in patients with CAD.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3~4학년 과학 교과용 도서 실험본의 '기초탐구' 단원의 효과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n Effects of 'Basic Inquiry' Units in Experimental Grade 3~4 Science Textbooks developed for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 이대형;강훈식;윤혜경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3권1호
    • /
    • pp.30-43
    • /
    • 2014
  • 'Basic Inquiry' unit was newly included in the grade 3~4 science textbook developed for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e unit deals with six basic inquiry skills such as 'observation', 'measurement', 'classification', 'prediction', 'inference', and 'communication'. This study investigated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n the effects of 'Basic Inquiry' unit by questionnaires (N=104 for pre-survey, N=90 for post-survey). The results showed that how the teachers have taught basic inquiry skills before this new textbook and how they perceived the educational effects of the unit after experimental teaching period in three aspects; development of basic inquiry skills, facilitating science learning in other units, and implementation of open inquiry. The reasons of positive perceptions as well as negative perceptions were analyzed and discussed with the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7차 수학과 교육과정 작도 영역의 교과서와 수업사례 분석 (The Analysis Textbooks and Instruction Activities of Construction Contents in 7th Mathematics Curriculum)

  • 조완영;정보나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4권4호
    • /
    • pp.601-615
    • /
    • 2002
  • This paper analyzed <7-나> and <8-나> textbooks and teacher instruction activities in classrooms, focusing on procedures used to solve construction problems. The analysis of the teachers' instruction and organization of the construction unit in <7-나> textbooks showed that the majority of the textbooks focused on the second step, i.e., the constructive step. Of the four steps for solving construction problems, teachers placed the most emphasis on the constructive order.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8-나> textbooks showed that a large number of textbooks explained the meaning of theorems that were to be proved, and that teachers demonstrated new terms by using a paper-folding activities, but there were no textbooks that tried to prove theorems through the process of construction. Here are two alternative suggestions for teaching strategies related to the construction step, a crucial means of connecting intuitive geometry with formal geometry. First, it is necessary to teach the four steps for solving construction problems in a practical manner and to divide instruction time evenly among the <7-나> textbooks' construction units. The four steps are analysis, construction, verification, and reflection. Second,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nature of geometrical figures involved before proving the problems and introducing the construction part as a tool for conjecture upon theorems used in <8-나> textbooks' demonstrative geometry uni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