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eaching Creativity

검색결과 435건 처리시간 0.021초

Students' Voluntary Teaching Activities in Science Schools

  • Hanabusa, Takao;Tsuzuki, Shozo
    • 공학교육연구
    • /
    • 제15권5호
    • /
    • pp.36-41
    • /
    • 2012
  • Student members from The University of Tokushima worked voluntarily at the science school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high school students under the support of Japan Science and Technology Agency. The teaching classes for the science school were held in 2010 as follows: (1) Science handicraft class for children on "Wonder in light, sound, temperature and force", (2) Family Science School for children and parents on "Measurement of length, temperature, weight and energy", (3) "Tatara steel making" for high school students, (4) "Wave motion in strings" for high school students. This paper describes how the students prepared the teaching materials and what they obtained from the teaching activities.

예비교사들의 UCC 제작 경험이 교과전문성 및 교사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 일본어전공 학생들을 중심으로 (On the Effect of Prospective Teachers' Experience of Title of Making UCC Materials on their Teaching Expertise and Creativity: an Empirical Study with Japanese Majors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 한미희;정욱성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12호
    • /
    • pp.235-242
    • /
    • 2019
  • 본 연구는 예비교사의 UCC 제작 경험이 교과전문성과 교수창의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충남 천안시에 위치한 A대학교의 교직과정 이수중인 일본어전공 예비교사들이며 자료분석은 SPSSWIN Version 21.0 Program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량, 상관분석 그리고 윌콕슨 부호순위 검정(Wilcoxon Signed Rank Test)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는 예비교사의 UCC 제작 경험은 교과전문성과 교수창의성에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는 학교현장에서 교사의 교수법이 매우 중요함을 인식하고 새로운 혁신적 교수법을 도입해야 하는 필요성과 함께 그에 대한 활동이 구체화되고 확대되기를 시사하고자 한다.

보건교사의 수업연수에 대한 요구도 조사 (Needs Assessment of In-service Education on Teaching for School Health Teachers)

  • 최미정;진상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1호
    • /
    • pp.6509-6517
    • /
    • 2014
  • 이 연구의 목적은 보건교사들의 수업연수에 대한 요구도를 조사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자는 G시와 J도에 근무하고 있는 504명의 보건교사였다. 보건교사들의 수업에 대한 질문지가 2013년 11월 9일부터 23일까지 배부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과 카이자승 검증을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보건교사 업무의 우선순위 1위는 건강 문제 관리였으며, 2위가 보건교육이었으며, 이 결과는 학교급에 따른 차이를 보였다(p<.01). 두 번째, 보건수업 시간에 주로 사용하는 수업방법은 강의, 토의 그리고 실습의 순서로 나타났다. 세 번째, 보건수업 시간에 주로 사용하는 수업자료는 PPT, 교과서, 인터넷동영상의 순으로 나타났다. 네 번째, 대부분의 보건교사는 창의성 교육의 중요성에 동의하나 실제 사용하고 있는 비율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 번째, 대부분의 보건교사들은 수업연수를 원하고 있으며 그 내용으로 창의성 교육 또는 새로운 수업을 위한 스토리텔링 등을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의적 교수법 활용 사례: '국가 위협요인' 학습 과제 (A Case Study of Using Creative Teaching Methods: 'National Threats' Learning Task)

  • 백진욱;정주호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2호
    • /
    • pp.373-379
    • /
    • 2023
  • 창의적 교수법은 수업에서 창의성과 자기주도학습 능력을 제고하는 데 도움이 된다. 그러나 일부 특정 학습 과제의 경우에는 창의적 교수법을 적용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 이는 학생들이 해당 학습 과제를 수행하기 전에 필요한 선행학습을 충분히 수행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는 과제 결과물의 신뢰성이 낮거나 의미가 거의 없을 수 있다. 본 연구는 충분한 선행학습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는 학습 과제를 수행할 때 창의성과 자기 주도적인 학습 능력을 향상하는 교수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국가 위협요인'이라는 학습 과제에 창의적 교수법을 적용한 사례를 제시한다. 연구 절차로서, 해당 학습 과제에 적합한 교수법 모형과 세부 절차를 제시하고, 이를 실제 수업에서 적용한다. 본 연구를 통해, 해당 학습 과제에 제시한 교수법을 적용했을 때 의미 있는 결과물을 도출한 학업 성과가 있었다. 이번 연구는 창의성을 증진하기 위한 교육 분야 외에도 교육과 안보와 같은 융합 연구 분야에서도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수학적 창의성과 태도 및 학업에 미치는 등산학습법의 적용과 효과 (The Effect of Climbing Learning Method on Mathematical Creativity and Attitude toward Mathematical Creativity)

  • 이동희;김판수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23-41
    • /
    • 2010
  • 본 연구는 일본의 제등승(齊藤昇)(Saito Noboru) 교수에 의해 실천 연구되었던 등산학습법을 초등학교 4, 6학년 학생들에게 적용하여 수학적 창의성과 수학적 창의성 태도, 수학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수학적 창의성을 신장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본 논문에서는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을 형성하여 t-검증한 결과, 등산학습법이 수학적 창의성 및 수학적 창의성 태도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나 학업성취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못했다는 결과와 함께 이러한 결과에 대한 논의와 수업전략을 언급한다.

  • PDF

청소년과 교사가 지각하는 창의성 교육의 실태조사 (An investigation of the Education Practice for Creativity Perceived by Adolescents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 정옥분;김경은;박연정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29-53
    • /
    • 2005
  • 본 연구는 중$\cdot$고등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창의성 교육에 대해 청소년과 교사가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살펴보고 창의성 교육에 대한 요구도를 알아보고자 한 것이다. 또한 실태조사에서의 창의성 교육의 필요성, 만족도, 중요성, 관심도, 이해도와 창의적 교수방법 실천수준을 중심으로 청소년과 교사 각각의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 청소년과 교사간에도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는지 알아본 후, 창의성 교육에 대한 실태인식 관련 하위변인들간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서울시와 수도권에 소재하고 있는 중$\cdot$고등학생 305명과 현직 중$\cdot$고등학교 교사 133명을 대상으로 하여, '중$\cdot$고등학교 창의성 교육실태와 요구도 조사 질문지' '창의성 교수방법 실천수준'에 대해 설문조사를 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1-검증, 일원변량분석 및 Scheffe검증과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과 교사들은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인식,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이해도, 창의성 교육 실태, 창의성 자료 실태, 창의성 교육 발전 방향에 대한 의견에서 다소 다른 견해를 보이고 있었다. 둘째, 학년이 올라갈수록 창의성 교육을 더 필요로 하고 더 중요하게 생각하며, 남학생들이 여학생들에 비해, 그리고 중학생들이 고등학교 1, 2학년 학생들보다 창의성 교육에 더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남자 교사들이 여자 교사들에 비해 창의성 교육을 더욱 필요로 하고 중요하게 생각하며 창의성 교육에 대한 관심도 많고 이해도도 높고. 근무년수가 긴 교사일수록 창의성 교육을 더 필요로 하고 창의성 교육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교사들이 청소년들에 비해 창의성 교육의 필요성, 만족도, 중요성, 관심도, 이해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창의적 교수방법 실천수준에 있어서는 청소년들이 교사들보다 더 낮은 점수를 부여하였다. 다섯째, 청소년들과 교사들의 창의성 교육에 대한 필요성, 만족도 중요성, 관심도 창의적 교수방법 실천수준간에는 서로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무아래 패턴을 이용한 깨달음과 생산적 창의성 신장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about Program for Enlightened and Productive Creativity by Using Moire Pattern)

  • 육근철;김용국
    • 영재교육연구
    • /
    • 제17권1호
    • /
    • pp.193-213
    • /
    • 2007
  • 물리교육에서의 창의성에 대한 서양적 중심 사상인 생산성과 동양적 중심 사상인 깨달음을 조합하여 무아래 무늬를 이용한 창의성 신장 과학탐구 프로그램(PEPC)을 개발하였다. 무아래 무늬를 활용한 PEPC(Program for Enlightened and Productive Creativity)는 5단계 나선형 과학탐구과정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 단계마다 창의성을 신장시킬 수 있는 기본 요소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 프로그램을 과학영재, 물리교사, 일반학생들에게 적용한 결과 과학영재반 학생들이 확장성과 직관력에서 일반학생들보다 높게 나타났다. 특히 직관력과 종합성은 교사반이 과학영재반 학생들보다도 낮게 나타났다. 그리고 창의성의 10개 요소 중 분석력은 모든 집단에서 낮게 나타났다.

뇌 기반 STEAM 교수-학습 프로그램이 초등과학영재와 초등일반학생의 창의성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Brain-Based STEAM Teaching-Learning Program on Creativity and Emotional Intelligence of the Science-Gifted Elementary Students and General Students)

  • 류제정;이길재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2권1호
    • /
    • pp.36-46
    • /
    • 2013
  • The creative thinking and emotional trainings are very important educational issues in the knowledge-information-based future society. Recently STEAM education is suggested as one of the educational solutions to prepare the future society. The aims of this study are to develop STEAM teaching-learning program and analyze its effects on the creativity and emotional intelligence of science-gifted and general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Four different subject matters based on the 2007-revised curriculum were selected to construct the brain-based STEAM teaching-learning program consisting of 12 class hours. The program was applied to 50 elementary general students and 19 science-gifted elementary students.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The brain-based STEAM programs is effective to improve the creativity and emotional intelligence of science-gifted and general elementary students after class. The creativity of two groups was not statistically different before the class. However after class, the creativity of gifted-science students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general students.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gifted-science students was higher than that of general students before the class. Therefore in oder to analyze the different effects of the program on two groups in emotional intelligence, the test results of both group of students were analyzed by ANCOVA after class. This analysis also showed that the program is more effective in gifted-science students to improve the emotional intelligence compared to general students.

연구공동체 활동을 통한 한 경력교사의 전문성 신장 : 수학적 창의성 촉진을 위한 대푯값 과제의 변형과 실행을 중심으로 (Professional development of an experienced teacher through research community activities: focusing on task modification and implementation to facilitate mathematical creativity)

  • 문성재;노정원;노예솔;이경화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8권4호
    • /
    • pp.545-566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연구공동체 활동이 개념 지도와 수학적 창의성에 관한 교사 전문성에 어떤 변화를 가져오는지 살펴본다. 연구 결과, 연구공동체 활동은 교사가 개념 지도와 수학적 창의성 촉진 모두에 의미 있는 개선을 시도하는 데 기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창의성 발현을 위한 앱 활용 수학 수업을 위한 예비교사의 TPACK과 의사소통 능력 신장 방안 (Development of TPACK and mathematical communication of pre-service teachers in math classes using apps for group creativity)

  • 김부미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5권2호
    • /
    • pp.195-224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예비수학교사가 고등학생들의 집단창의성 신장을 위한 모바일 수학 학습 콘텐츠인 애플리케이션 "집단창의성 발현을 위한 E-learning 고등수학"을 활용하여 사범대학 정규교육과정에서 테크놀로지 내용교수지식(TPACK)을 함양하고 수학 수업에서 학생과의 의사소통 능력을 신장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집단창의성 발현을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예비교사의 수학수업 전문성을 향상하기 위한 교육프로그램은 사전교육, 목표설정, 수업계획, 수업실습, 수업평가 단계로 구성된다. 이 과정에서 예비교사들은 테크놀로지 도구를 평가하였고, 앱의 두 활동에서 고등학생들이 집단창의성을 발현하도록 지도하기 위해 과제대화록, 레슨 플레이, 반성적 저널, 교수·학습지도안을 작성하였다. 교육프로그램 적용 결과, 예비수학교사의 TPACK을 함양할 수 있었고 집단창의성 발현을 위한 학생과의 수학적 의사소통 능력을 신장할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