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ial withdrawal

검색결과 191건 처리시간 0.021초

유아의 수줍음이 사회적 위축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사 관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Effects of Young Children's Shyness on Social Withdrawal of Young Children: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s of Teacher-Child Relationships)

  • 조우리;신나리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55권4호
    • /
    • pp.419-431
    • /
    • 2017
  •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children's shyness and relationships with their teacher in regards to social withdrawal. Two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with mothers and teachers of 242 three to five-year-olds attending a childcare center in Sejong city. SPSS 18.0 was used to implement descriptive analyse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main effects of lack of sociability and assertiveness as well as interaction effects between lack of assertiveness and intimate relationship on social withdraw were found when the childteacher relationship was intimate. The results suggested that intimate child-teacher relationships adjusted to lack of assertiveness in the child. Meanwhil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lack of sociability and lack of assertiveness and between self-consciousness and child-teacher conflictual relationship were found in child-teacher conflictual relationship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influence on alleviating social withdrawal behavior of children with a high level of shyness was limited despite establishing a close relationship with a teacher. However, the social withdrawal behavior of children became more intense if they were in a conflict relationship with a teacher; this tendency was also shown more significantly in shier children. This suggests that children's unamicable relationship with a teacher may function as a risk factor to cause social withdrawal behavior. Therefore, it is important that a teacher has the capability to understand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 particularly shyness, and encourage their sociability of children through positive relationships.

휴대전화 의존이 공동체 의식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위축의 매개효과 (Analysis of the Mediating Effects of Social Withdrawa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obile Phone Dependency and the Sense of Community among Adolescents)

  • 김지영;이혜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4호
    • /
    • pp.273-279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휴대전화 의존과 공동체 의식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위축의 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청소년의 휴대전화 의존 개입에 대한 근거자료를 확보하는 것이다. 자료수집은 한국 아동·청소년 패널조사 초등 4학년 패널 자료 중 2016년 7차 연도 자료 1,97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휴대전화 의존은 공동체 의식의 감소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으며, 사회적 위축을 경유하여 공동체 의식에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청소년들의 휴대전화 의존 관련 감소된 공동체 의식을 향상하기 위해, 사회적 위축을 감소하는 적극적 개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또한, 휴대전화 의존 관련 공동체 의식 약화를 다룰 때, 의존과 사회적 위축, 공동체 의식 변인을 함께 고려하는 심리적 사회적 측면의 융복합적 개입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The Effects of Social Withdrawal, Depression, and Self - Esteem on Adolescents' Mobile Phone Dependence

  • Bang, Sung-a;Park, Hwie-Seo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3권11호
    • /
    • pp.203-209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social withdrawal, depression, and self - esteem affect adolescents' mobile phone dependency. For this study, I used data from the first grade of junior high school during the 7th (2016) Korean child and youth panel survey provided by Korea Youth Policy Institute. A total of 1,937 people were selected as the final target except those who do not have a mobile phone. The analysis method was SPSS 23.0 and AMOS 20.0.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higher the depression of adolescents, the higher the dependence on mobile phones. Second, the social withdrawal and depression of adolescent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mobile phone dependence through self-esteem. In conclusion, I would like to provide policy data so that youths can develop and implement preventive programs that can prevent personality education and erroneous mobile phone dependency that can develop healthy and positive growth.

부모-자녀 유대관계와 우울성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arent-Child Bonding Relationship and the Adolescents` Depression)

  • 신효직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15권4호
    • /
    • pp.27-40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dolescents' maladjustment in terms of type and source of social support.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In social support source the mean score of peer support was higher than family support. In social support type the mean score of expressive support was higher than other support type. 2. Social support source was found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sex of the children educational level of the father and mother. Malajustment were found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sex of the children educational level of the father and mother income and marital satisfaction of the mother. 3. In social support source i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all maladjustment subscale in family support and to over-anxiousness social withdrawal and hyperactivity in peer support. In social support type it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over-anxiousness and social withdrawal in expressive support to socia withdrawal over-anxiousness hyperactivity and delinquency in esteem support and to over-anxiounsness in informational support.

  • PDF

청소년의 우울, 자아존중감이 학업무기력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위축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Depression and Self-esteem on Academic Helplessness in Adolescents: Mediating Effect of Social Withdrawal)

  • 이상미
    • 산업융합연구
    • /
    • 제21권8호
    • /
    • pp.119-127
    • /
    • 2023
  • 본 연구는 청소년의 학업무기력에 영향을 미치는 우울, 자아존중감 및 사회적 위축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의 중 1패널의 제4차 년도(2021년)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대상자는 고등학교 1학년 2,265명이었다. 본 연구에서 자료는 SmartPLS 3.0을 이용하여 부분최소제곱법 기반의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해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 청소년의 학업무기력에 우울과 사회적 위축은 유의한 정적 영향을 주었으며, 자아존중감은 유의한 부적 영향을 주었다. 또한 우울과 학업무기력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위축은 유의한 정적 매개영향을 주었다. 그러므로 청소년의 학업 무기력에 대한 접근 시 우울, 자아존중감 및 사회적 위축과의 영향 관계를 고려한 전략이 요구된다.

어머니의 과보호와 유아의 놀이 중 또래상호작용: 사회적 미성숙과 위축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Maternal Overprotection and Young Children's Interactions with Peers During Play: The Mediating Roles of Social Immaturity and Withdrawal of Children)

  • 변수빈;신나리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05-124
    • /
    • 2021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athway from mothers' overprotective parenting to their child's peer play interactions mediated by internalizing problems, that is, social immaturity and withdrawal. Methods: Surveys were conducted on mothers and teachers of 341 children aged three to five. SPSS 22.0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Structural modeling analysis was also implemented to test theoretical model using AMOS 21.0. Results: Maternal overprotective parenting, which increased social immaturity of their child, indirectly reduced the child's positive interactions with peers during play. Mothers' overprotection led to a higher level of withdrawal of their child while the effect of children's withdrawal on their peer play interaction was not significant. Because overactive parenting of mothers had no direct effect on peer play interaction, the complete mediation model representing a path from maternal overprotection to children's peer play interaction via their internalizing problems was partially supported.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shows that overprotective mothers hinder their child to experience confident and mature manners, and eventually lead their child to be socially unskillful and incompetent. It was suggested to explore mor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mothers and children to help overprotective mothers to take a step back.

유아의 사회적 위축에 대한 어머니의 거부적 양육행동과 정서표현성 및 유아의 정서조절전략의 영향 (The Effects of Mothers' Rejective Parenting, Emotional Expressivity and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Strategy on their Social Withdrawal)

  • 권연희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215-238
    • /
    • 2013
  • 본 연구는 유아의 사회적 위축에 관심을 가지고, 어머니의 거부적 양육행동과 정서표현성 및 유아의 정서조절전략이 사회적 위축에 어떠한 방식으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어머니의 거부적 양육행동이 사회적 위축에 미치는 영향을 어머니의 정서표현성이 중재하는지, 유아의 정서조절전략이 매개하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어린이집의 만 4, 5세 학급 유아 223명(남아 121명, 여아 102명)과 그들의 어머니, 그리고 담임교사 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 유아의 사회적 위축에 대하여 어머니의 거부적 양육행동은 정적 상관을, 긍정적 정서표현성은 부적 상관을, 유아의 정서조절전략 중 감정발산 교사지원전략, 회피 무반응 전략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다음으로 사회적 위축에 대한 어머니의 거부적 양육행동의 영향을 긍정적 정서표현성이 중재하였다. 즉, 어머니의 거부적 양육행동과 유아의 사회적 위축의 관계는 어머니의 긍정적 정서표현성 수준이 낮은 경우에만 유의하였다. 마지막으로 어머니의 거부적 양육행동이 유아의 사회적 위축에 미치는 영향은 정서조절전략 중 감정발산 교사지원전략이 부분 매개하였다.

청소년의 사회적 위축과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또래애착 및 부모 양육 태도의 조절효과 분석 (The Moderating Effect of Peer Attachment and Parenting Attitud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Withdrawal and Life Satisfaction of Adolescents)

  • 김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681-690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사회적 위축이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침에 있어서 지지체계인 또래 관계 및 부모의 긍정적 양육 태도의 조절효과를 파악하여 심리·사회적 개입의 방향성을 제언하고자 함이다. 연구자료는 한국아동·청소년 패널 조사의 2018년도 데이터이고, 연구대상은 중학교 1학년 2,409명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량분석, 상관분석, 평균중심화 후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로는 첫째, 사회적 위축은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유의한 부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둘째, 사회적 위축과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또래 애착의 조절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래 애착의 수준에 따라 사회적으로 위축된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는 달라지지 않았다. 셋째, 사회적 위축과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에서 부모의 긍정적 양육 태도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였다. 부모의 긍정적 양육 태도가 높은 집단은 사회적 위축이 높을 경우 부모의 긍정적 양육 태도가 낮은 집단에 비해 삶의 만족도가 덜 감소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적 위축이 높은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개입의 방향성과 본 연구의 제한점이 제시되었다.

부모에 의한 정서폭력이 청소년 또래에 의한 정서폭력 재피해에 미치는 영향 - 우울과 사회적 위축의 다중매개효과분석 - (The Effect of Emotional Maltreatment by Parents on Revictimization of Emotional Maltreatment by Youth Peers - Multiple Mediated Effects of Depression and Social Withdrawal -)

  • 허인영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9권2호
    • /
    • pp.63-88
    • /
    • 2017
  • 본 연구는 우울과 사회적 위축을 매개변인으로 하여 부모에 의한 정서폭력이 또래 친구들에 의한 정서폭력을 재경험하는 데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수집한 패널데이터(KCYPS) 중 중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부모나 친구들의 신체폭력을 경험한 자를 제외하고 부모의 정서폭력이나 또래 친구들의 정서폭력만을 경험한 적이 있는 752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가설은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여 검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에 의한 정서폭력을 경험하는 것은 청소년의 우울과 사회적 위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청소년의 우울은 또래 친구들에 의한 정서폭력을 경험하는 데 직접적인 영향을, 사회적 위축은 우울을 매개변인으로 하여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의 정서폭력과 또래 정서폭력 재피해의 관계에서 우울과 사회적 위축의 다중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부모에 의한 정서폭력이 또래 친구들의 정서폭력을 재경험하는 데 있어 우울과 사회적 위축과 같은 심리정서변인을 통하여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말한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실천적 제언을 논하였다.

  • PDF

다문화 청소년의 성취동기가 진로결정성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위축과 우울의 순차적 매개효과 (The Effects of Achievement Motivation on Career Decision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Social Withdrawal and Depression)

  • 박동진;김송미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8호
    • /
    • pp.100-108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 청소년의 성취동기와 진로결정성의 관계에서 사회적 위축과 우울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제공하는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 8차년도 조사(2018)의 청소년 데이터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성취동기는 진로결정성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취동기와 진로결정성의 관계를 사회적 위축이 매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성취동기와 진로결정성의 관계를 우울이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성취동기와 진로결정성의 관계를 사회적 위축과 우울이 순차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하여 다문화 청소년의 진로결정성을 향상시키고, 진로를 지원하기 위한 사회적 지원방안에 대해 모색하였으며, 본 연구결과의 함의와 한계점,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