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ocial Exclusion for the Elderly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36초

노인단독가구 노인의 사회적 배제, 우울 및 자살생각 : 성 차이를 중심으로 (Effect of Social Exclusion on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among the Elderly in Korea: Focus on Gender Differences)

  • 이정화;오영은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831-850
    • /
    • 2016
  • The ratio of suicide among the elderly in Korea has nearly tripled within the last 20 years. With this in mind,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social exclusion on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among the elderly living in elderly-only households with a focus on gender differences. Social exclusion is composed of economic, health, housing, education, social participation, and relational aspects. For this study, data were gathered from 527 participants aged 65 years and over. The statistical methods used for data analysis were descriptive statistics, chi-square test, t-test,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ith the SPSS Win 20.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more than 80% of the elderly experienced social exclusion. Women were shown to be more vulnerable than men in terms of housing exclusion, educational exclusion, health exclusion, and multiple exclusion, whereas men were more vulnerable than women in terms of social participation exclusion. Second, social exclus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suicidal ideation among the Korean elderly. We also observed gender differences in the results. Regression analysis of suicidal ideation showed that relational exclus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uicidal ideation in men, whereas health exclus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suicidal ideation in women.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stronger social support networks and policies focusing on the elderly are needed in order to reduce elderly suicide in Korea.

노인문제 해결을 위한 노인의 경제적 배제의 극복에 대한 사회복지정책 방안 연구 (A Study on Overcoming the Economic Exclusion of the Elderly to Solve the Elderly Problem)

  • 이척희
    • 산업진흥연구
    • /
    • 제5권1호
    • /
    • pp.125-135
    • /
    • 2020
  • 본 연구는 인생주기 가운데 노인복지의 가장 중요한 항목이라고 할 수 있는 경제적 측면에서 겪고 있는 세 가지 부문, 즉 소득, 노동시장, 주거복지 등으로부터의 배제에 대하여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득보장정책이 종합적으로 수립, 실행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국민연금, 기초연금, 국민기초생활보장 등과 같은 국가적으로 시행되는 제도적 보장이 충분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주거정책이 합리적으로 개선되어야 한다. 주거는 노인에게 절신한 문제인 만큼 노인의 취향에 맞는 정책이 효율적으로 수립, 집행되어야 한다. 셋째, 국가적·사회적 합의가 필요하다. 노인복지정책은 기본적으로 사회적 합의를 필요로 한다. 결론적으로 노인의 경제적 배제에 대한 극복방안은 장기적이고 다양한 분야에서 포괄적으로 모색되어야 한다. 또한 사회구성원으로부터 명시적으로 합의하여야 한다. 경제적 배제로부터의 극복은 노인의 생존권 차원을 위해서도 사회복지정책의 극복 방안을 강구하여야 한다.

노년기 사회적 배제의 실태 및 예측 요인 (Predictive Factors of Social Exclusion for the Elderly)

  • 강현정;김윤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323-334
    • /
    • 2011
  • 본 연구는 노년기 사회적 배제의 실태를 파악하고, 사회적 배제 예측요인을 파악하는데 연구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노동연구원 2008년도 고령화연구패널(KLoSA) 2차 data 중 65세 이상 노인 4,040명을 대상으로, 노년기 사회적 배제에 관하여 살펴보았다. 첫째, 경제적 배제를 경험하는 노인이 45.4%, 근로배 제 78.7%, 주거배제 17.8%, 건강배제 43.8%, 교육배제 33.7%, 사회활동 배제 34.3%로 근로배제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경제적 배제의 경우 노인의 연령이 많을수록, 도시에 거주하지 않는 경우, 가구원수가 적을수록, 손자녀를 돌볼 경우 경제적으로 배제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근로 배제는 노인이 여성인 경우, 연령이 많을수록, 종교가 기독교인 경우, 배우자가 없는 경우, 도시에 거주하는 경우, 빈곤가구일 경우, 아파트에 거주할 경우, 가구원수가 많을수록 근로에서 배제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주거 배제의 경우, 노인의 배우자가 없는 경우, 도시에 거주하는 경우, 빈곤가구일 경우, 일반주택에 거주할 경우, 생존자녀수가 적을수록 주거에서 배제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 배제의 경우, 노인이 여성인 경우, 연령이 많은 경우, 기독교가 아닌 경우, 배우자가 없는 경우, 도시에 거주하지 않는 경우, 빈곤가구일 경우, 생존자녀수가 많을 경우 교육에서 배제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 배제의 경우, 노인이 여성인 경우에, 연령이 많을수록, 빈곤가구일 경우 건강에서 배제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활동 배제의 경우, 노인이 여성일 경우, 연령이 많을수록, 기독교가 아닌 경우, 빈곤가구일 경우, 아파트에 거주하는 경우 사회활동에서 배제될 가능성이 컸다. 본 연구결과는 우리나라 노인의 노년기 사회적 배제의 기초적인 연구로 가치가 있다.

초고령사회 노인의 경제적 배제 극복을 통한 인간관계만족도 증진 연구 (A Study on the Enhancement of Human Relationship Satisfaction for Overcoming the Economic Exclusion of the Elderly in the Super-aged Society)

  • 김영철;이평화
    • 산업진흥연구
    • /
    • 제8권4호
    • /
    • pp.123-129
    • /
    • 2023
  • 본 연구는 초고령사회에서 겪을 수 있는 노인에 대한 경제적 배제를 논의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사회관계망 확충을 통해 노인의 인간관계만족도를 향상시키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결과, 첫째, 경제적 배제를 극복하고 인간만족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은 그 대상에 있어서 여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야 된다는 것을 암시하고 있으며, 고연령층, 저학력층, 저소득층에 대한 경제적 배제의 극복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관계망이 인간관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여성일수록, 연령이 높을수록, 주소비처가 쇼핑일수록, 자녀와의 소통이 원활할수록 인간관계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사회관계에 대한 개선책이 요구된다고 볼 수 있다. 셋째, 경제적 배제가 인간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여가활동이 친지 및 친척 방문일수록, 사회관계망 이용처가 유료시설일수록 인간관계 만족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여가활동과 사회관계망에 대한 개선책이 요구된다고 볼 수 있다. 넷째, 사회관계망의 매개효과를 조사한 결과, 소득영역에서의 배제, 노동시장의 배제, 주거복지의 배제를 항목으로 하는 독립변수인 경제적 배제가 종속변수인 인간관계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과관계에서 사회관계망은 완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경제적 배제와 사회관계망은 인간관계만족에 영향을 끼치며, 경제적 배제가 극복되어 사회관계망이 개선될 때 비로소 인간관계만족도는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배제와 중·고령 노인 우울의 연관성: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Association of Social Exclusion on Depression in Middle and Older Elderly: Focusing on Gender Differences)

  • 이예진;노영민;김진욱;하영은;이주현;노진원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2호
    • /
    • pp.293-301
    • /
    • 2019
  • 본 연구는 중 고령 노인의 우울과 연관이 높은 사회적 배제 요인 7가지를 새롭게 정의하고, 각 사회적 배제 요인과 노인의 우울의 연관성을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에 고령화연구패널조사(KLoSA) 6차년도(2016년) 자료 중 50세 이상 중 고령 노인을 추출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AS 9.4를 이용하여 기술분석, 카이제곱검정 및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노동, 주거, 건강, 관계가 배제된 노인이 우울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남성은 주거 배제된 노인이 그렇지 않은 노인보다 우울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우울 연관 요인에서 성별 차이가 확인되었다. 이에 사회적 배제가 높게 나타난 요인인 노동과 문화에 대해 노인이 참여할 수 있는 지역 사회 프로그램 개선이 필요하며, 다양한 문화 프로그램의 참여 기회를 높여 노동과 문화 배제 해소를 통해 우울을 개선해야 한다. 또한 전반적인 노인의 사회적 배제 해소를 위한 구체적 지침의 마련이 필요하다.

사회문제 측면에서 본 노인문제의 해결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olutions of the Elderly Problems in Terms of Social Issuest)

  • 정수일;김보기
    • 산업진흥연구
    • /
    • 제1권2호
    • /
    • pp.109-119
    • /
    • 2016
  • 본 연구는 노인문제에 대하여 이를 노인 개인이나 가족의 문제로 국한하지 않고 사회 전체의 문제로 파악하는 최근의 연구에 부응하여 노인문제를 사회문제의 측면에서 해결방안을 찾고자 하는 연구이다. 본 연구방법은 이론과 현장에 나타난 논쟁점을 중심으로 노인문제의 실태를 분석하였다. 먼저 노인문제에 관한 이론적 논거로 구조기능주의((structural functionalism), 갈등주의 이론(conflict theory), 상징적 상호작용주의(symbolic interaction theory) 등의 시각에서 노인문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노인문제의 논쟁점으로는 노인 가구의 증가, 노인의 이혼 증가 및 재혼 감소, 노동시장에서의 배제, 그리고 정치적 참여와 자원봉사의 딜레마 등을 선정하여 이에 대한 현황과 그 문제점을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사회문제의 측면에서 노인문제를 해결방안으로 첫째, 노인에 대한 인식전환이 필요하다. 둘째, 노인에 대한 부정적 인식 제거해야 한다. 셋째, 국가와 민간의 상호보완관계 정립해야 한다. 결론적으로 사회문제의 측면에서 노인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노인문제를 대상 노인 개인이나 가족의 문제로 국한시킬 것이 아니라 이를 사회문제로 공론화하여 사회 전체가 선제적으로 대응해야 할 것이다.

저소득 노인의 사회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Social Participation of the Elderly Living in Poverty)

  • 이성은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43-354
    • /
    • 2013
  • Elderly people living in poverty are one of the most vulnerable population groups who are at risk of experiencing social exclusion. Social participation is an important contributing factor to active aging and social integration of the older adults living in poverty. This study aims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social participation of the poor elderly. Data from the second wave of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was used for the analyses and 1,346 poor elderly aged over 65 were analyzed. The findings showed that age, education, health status, a level of depression, financial stress, and economic activity were associated with the social participation of the elderly living in poverty.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psychological empowerment and specific needs of the older adults living in poverty should be considered in developing services and programs to promote social participation of the poor elderly.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에서의 배제가 저소득 노인가구의 물질적 결핍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The Effect of Exclusion from the National Basic Livelihood Security System on Material Hardship among the Low-income Elderly Peopl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 김수진
    • 한국노년학
    • /
    • 제37권4호
    • /
    • pp.835-852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최저생계비 이하 저소득 노인가구를 대상으로 공적 지원인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에서의 배제가 물질적 결핍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사회적 지지가 조절효과를 갖는지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국가인권위원회가 2014년에 조사한 최저생계비 이하 저소득 가구 실태조사 자료를 사용하여 65세 이상 노인가구 255명의 응답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STATA13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 ANOVA, 상관분석 및 다중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전체 응답 노인의 물질적 결핍의 평균 수준은 1.45개로 가장 큰 어려움은 '난방' 및 '의료서비스 이용'에서의 어려움으로 나타났다. 회귀분석 결과, 기초생활보장 수급을 받다가 배제될 경우 수급을 받는 경우에 비해 물질적 결핍을 더 많이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경우 사회적 지지가 높으면 부적(-) 상호작용효과가 발생하여 수급배제가 물질적 결핍에 미치는 정적인(+)효과를 약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저소득 노인 가구의 물질적 결핍 수준을 낮출 수 있도록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노인의 사회복지서비스 이용실태와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경기도 국민기초생활보장노인을 중심으로- (Factors Influencing Utilization of the Social Services for the Elderly)

  • 박경숙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5권
    • /
    • pp.283-307
    • /
    • 2003
  • 우리나라 노인들의 사회복지서비스 이용은 매우 저조하고 서비스가 각기 독립적으로 제공되고 있기 때문에 중복과 누락현상이 나타나고 있음이 지적되어 왔다. 본 연구는 경기도 국민기초생활보장대상 노인들 전수를 대상으로 노인들이 어떠한 서비스기관으로부터 어떠한 사회복지서비스를 받고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고, 노인들의 사회복지서비스 이용기관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서비스중복 문제보다는 낮은 서비스이용률이 더 문제인 것으로 드러났다. 노인의 사회복지서비스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본 결과 비교적 욕구요인이 큰 비중을 차지하였고 그 외 귀속요인과 자원요인도 중에는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이 나타나, 사회복지서비스확충과 지역별 균형의 달성, 서비스 연계 활성화가 필요한 것으로 밝혀졌다.

  • PDF

국내 치매노인 가족 부양자 중재에 대한 체계적 고찰 (A systematic review of interventions for family caregivers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in Korea)

  • 정성희;황정해;오두남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306-320
    • /
    • 2021
  • Purpose: This study was a systematic review to assess the contents and effects of an intervention program for family caregivers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in Korea. Methods: A literature search was done using Medline, CINAHL, RISS, KISS, and DBpia to identify studies reported in English or Korean from 2000 to 2021. Results: A total of 1,162 articles were searched; finally, 23 articles were used in the analysis based on the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The most applied intervention contents were knowledge provision and emotional support. Fourteen articles (60.9%) reported on complex interventions, including emotional, social support, relaxation, and various activities. The most frequently measured outcome variable in the reviewed literature was "burden," followed by "depression" and "coping strategy." Conclusion: The review results can provid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evidence and suggesting directions of interventions for family caregivers of the elderly with dement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