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이난희(2019). "한국 여성노인의 소득보장에 관한 연구". 서울기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 |
김안나 외(2008). 사회통합을 위한 사회적 배제계층 지원방안 연구: 사회적 배제의 역동성 및 다차원성 분석을 중심으로.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3 |
국민연금관리공단(2018). 2017년 국민연금통계연보.
|
4 |
Sen, A. K.(2000). Social Exclusion: Concept. Application. and Scrutiny. Social Development Papers. 1 : 1-54.
|
5 |
김수진(2019). "사회적배제, 가정생활스트레스, 우울의 종단적 관계: 노인부부가구의 성별차이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6 |
조진영(2019). "사회적 배제가 노인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국제신학대학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7 |
통계청(2019a). 2019년 장래인구특별추계를 반영한 세계와 한국의 인구현황 및 전망.
|
8 |
통계청(2019b). 2018 고령자 통계.
|
9 |
통계청(2019d). 2018년 일자리행정통계 결과.
|
10 |
통계청(2019c). 2018 한국의 사회지표.
|
11 |
이혜경(2009). "노인의 사회적 배제 정도가 심리적 복지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노인복지연구. 통권 46호 : 315-336.
|
12 |
조성철.김보기(2014). "노인에 대한 사회적 배제의 형태 및 사례 연구". 21세기사회복지연구 제11권 제2호 : 163-168.
|
13 |
김근홍 외(2013). 사회문제론. 서울: 신정.
|
14 |
Burchardt, T. J. et. al.(1999). Social Exclusion in Britain 1991-1995. Social Policy and Administration 33(3) : 227-244.
DOI
|
15 |
강현정(2009). "노년기 사회적 배제". 한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16 |
Giddens, A.(2017). Sociology (8th edition). Cambridge. UK: Wiley Academic.
|
17 |
노병일(2013). 취약지역의사회적배제. 서울: 다운샘.
|
18 |
이영환(2003). 통합과 배제의 사회정책과 담론. 서울: 함께 읽는 책.
|
19 |
표갑수(2010).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서울: 나남.
|
20 |
권육상(2009). 노인복지론. 서울: 유풍출판사.
|
21 |
이석미(2019). "한국 노인의 사회적 배제 유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2 |
통계청(2014). 2014 고령자 통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