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Solutions of the Elderly Problems in Terms of Social Issuest

사회문제 측면에서 본 노인문제의 해결방안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16.05.29
  • Accepted : 2016.06.10
  • Published : 2016.07.31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how the situation of the elderly problems around the issue appeared on theory and field. First was to identify elderly issues with a theoretical argument about the elderly problem, from the perspective of structural functionalism, conflict theory, symbolic interaction theory. The issues of older issues was selected to increase, divorce increases and remarried decline in the elderly, exclusion from the labor market, and dilemmas, such as political participation and volunteering in the elderly households study the current situation and their problems for them. the results in terms of social issues the first solution to the problem, the elderly, it is necessary to switch recognition for the elderly. Second, we need to remove negative perceptions about older people. Third, we must establish a complementary relationship between the state and the private sector.In conclusion, it should be full in order to solve the elderly problem in terms of social issues, not limited to the elderly problem in the elderly subject matter of an individual or family corresponds to publicize it as a social problem social preemptively.

본 연구는 노인문제에 대하여 이를 노인 개인이나 가족의 문제로 국한하지 않고 사회 전체의 문제로 파악하는 최근의 연구에 부응하여 노인문제를 사회문제의 측면에서 해결방안을 찾고자 하는 연구이다. 본 연구방법은 이론과 현장에 나타난 논쟁점을 중심으로 노인문제의 실태를 분석하였다. 먼저 노인문제에 관한 이론적 논거로 구조기능주의((structural functionalism), 갈등주의 이론(conflict theory), 상징적 상호작용주의(symbolic interaction theory) 등의 시각에서 노인문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노인문제의 논쟁점으로는 노인 가구의 증가, 노인의 이혼 증가 및 재혼 감소, 노동시장에서의 배제, 그리고 정치적 참여와 자원봉사의 딜레마 등을 선정하여 이에 대한 현황과 그 문제점을 연구하였다. 연구 결과, 사회문제의 측면에서 노인문제를 해결방안으로 첫째, 노인에 대한 인식전환이 필요하다. 둘째, 노인에 대한 부정적 인식 제거해야 한다. 셋째, 국가와 민간의 상호보완관계 정립해야 한다. 결론적으로 사회문제의 측면에서 노인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노인문제를 대상 노인 개인이나 가족의 문제로 국한시킬 것이 아니라 이를 사회문제로 공론화하여 사회 전체가 선제적으로 대응해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영화 외(2015). 현장에서 본 사회문제. 파주. 경기: 양서원.
  2. 권육상(2009). 최신 노인복지론. 서울: 유풍출판사.
  3. 강용규 외(2011). 21세기 사회복지정책. 서울: 청목출판사.
  4. 김지미 외(2016). 사회문제론. 파주. 경기: 정민사.
  5. 김근홍 외(2013). 사회문제론. 서울: 신정.
  6. 노병일(2013). 사회문제론. 서울: 창지사.
  7. 박철현(2016). 사회문제론. 서울: 박영사.
  8. 원석조(2015). 사회문제론. 파주. 경기: 양서원.
  9. 최일섭 외(2004).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서울: 나남.
  10. 양옥남 외(2016). 노인복지론. 고양. 경기: 공동체.
  11. 윤경아 외(2014).현대노인복지론.서울: 학지사.
  12. 정태석 외(2014). 사회학. 서울: 한울아카데미.
  13. 통계청(2015). 2015 고령자 통계
  14. 박석돈 외(2016). 노인복지론. 파주. 경기: 양서원.
  15. 김안나 외(2008). 사회통합을 위한 사회적 배제계층 지원방안 연구: 사회적 배제의 역동성 및 다차원성 분석을 중심으로.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6. 중앙선거관리위원회(2013). 제18대 대통령 선거총람(2012. 12. 19 시행).
  17. 정경희 외(2012). 2011년 노인실태조사. 서울: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8. 지은구 외(2016). 최신사회문제론. 서울: 학지사.
  19. 배지연 외(2006). "사회적 배제와 우울에 관한 탐색적 연구". 노인복지연구. 통권 33호 : 7-27.
  20. 박미란․최정원(2015). "사회적 배제에 나타난 노년기 경제적 배제에 관한 연구". 한국복지실천학회. 제7권 2호 : 85-104.
  21. 표갑수(2014). 사회문제와 사회복지. 서울: 나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