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Enhancement of Human Relationship Satisfaction for Overcoming the Economic Exclusion of the Elderly in the Super-aged Society

초고령사회 노인의 경제적 배제 극복을 통한 인간관계만족도 증진 연구

  • 김영철 (명지대학교 글로벌융합대학) ;
  • 이평화 (경기대학교 평생교육원)
  • Received : 2023.10.01
  • Accepted : 2023.10.21
  • Published : 2023.10.31

Abstract

This study was intended to discuss the economic exclusion of the elderly, which may be experienced in a super-aged society, and to propose a method to improve the interpersonal satisfaction of the elderly through the expansion of social networks in order to overcome this. As a result of this study, first, it suggests that the method of overcoming economic exclusion and improving human satisfaction requires a high interest in women in the subject, and the elderly, low-educated, It was found that it is urgent to overcome the economic exclusion of the low-income class.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social network on human relationship satisfaction, it was found that the more women, the higher the age, the more shopping, and the smoother communication with children, the higher the human relationship satisfaction.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economic exclusion on human relationship satisfaction, it was found that the more leisure activities visited relatives and relatives, and the more paid facilities used social networks, the lower the relationship satisfaction. 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improvement measures for leisure activities and social networks are required. Fourth,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mediating effect of the social network, the social exclusion in the causal relationship in which the independent variable economic exclusion affects the dependent variable, human relationship satisfaction, The relational network was found to have a complete mediating effect. In conclusion, economic exclusion and social network affect human relationship satisfaction, and it was found that human relationship satisfaction improved only when economic exclusion was overcome and social network was improved.

본 연구는 초고령사회에서 겪을 수 있는 노인에 대한 경제적 배제를 논의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사회관계망 확충을 통해 노인의 인간관계만족도를 향상시키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결과, 첫째, 경제적 배제를 극복하고 인간만족도를 향상시키는 방법은 그 대상에 있어서 여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야 된다는 것을 암시하고 있으며, 고연령층, 저학력층, 저소득층에 대한 경제적 배제의 극복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관계망이 인간관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여성일수록, 연령이 높을수록, 주소비처가 쇼핑일수록, 자녀와의 소통이 원활할수록 인간관계 만족도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사회관계에 대한 개선책이 요구된다고 볼 수 있다. 셋째, 경제적 배제가 인간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여가활동이 친지 및 친척 방문일수록, 사회관계망 이용처가 유료시설일수록 인간관계 만족도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여가활동과 사회관계망에 대한 개선책이 요구된다고 볼 수 있다. 넷째, 사회관계망의 매개효과를 조사한 결과, 소득영역에서의 배제, 노동시장의 배제, 주거복지의 배제를 항목으로 하는 독립변수인 경제적 배제가 종속변수인 인간관계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과관계에서 사회관계망은 완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경제적 배제와 사회관계망은 인간관계만족에 영향을 끼치며, 경제적 배제가 극복되어 사회관계망이 개선될 때 비로소 인간관계만족도는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이근홍(2023). 「노인복지론」. 경기: 지식공동체.
  2. 노길희(2023). 「노인복지론」. 경기: 지식터.
  3. 송진영 외(2020). 「노인복지론」. 경기: 지식공동체.
  4. 최세영(2018). 「노인복지론」. 경기: 정민사.
  5. 박종란(2020). 「노인복지론」. 서울: 교학도서.
  6. 전명숙 외(2021). 「노인복지론」. 서울: 동문사.
  7. 임정문 외(2020). 「노인복지론」. 서울: 동문사.
  8. 남일재 외(2020). 「노인문제론」. 경기: 지식공동체.
  9. 강현정(2009). "노년기 사회적 배제". 한서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강현정.김윤정(2011). "노년기 사회적 배제의 실태 및 예측 요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1권 제9호 : 323-334. https://doi.org/10.5392/JKCA.2011.11.9.323
  11. 김안나(2008). "사회통합을 위한 사회적 배제계층 지원방안 연구: 사회적 배제의 역동성 및 다차원성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연구보고서」.
  12. 박현주.정순둘(2012). "노인의 사회적 배제 수준의 변화유형과 예측요인: 영국 고령화패널(ELSA)분석". 「한국노년학」. 제32권 제4호 : 1063-1086.
  13. 이희연(2009).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수급가구의 사회적 배제 경험에 관한 문화기술지 연구". 「사회보장연구」. 제25권 제1호 : 281-315.
  14. Giddens, A(2017). Sociology. Cambridge: Polity Press.
  15. 노병일(2018). 「사회문제론」. 서울: 창지사.
  16. 통계청(2022). 「2022 고령자통계」.
  17. 통계청(2019). 「2018 고령자통계」.
  18. 통계청(2021). 「2020 고령자통계」.
  19. 김근홍 외(2014). 「사회문제론」, 서울: 신정.
  20. 이난희(2019). "한국 여성노인의 소득보장에 관한 연구". 서울기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