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hift-Share Analysis

검색결과 79건 처리시간 0.026초

변이할당기법과 DEA를 활용한 동북아시아 항만간 경쟁력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n Competitiveness between Ports in Northeast Asia Employing Shift-share Analysis and DEA)

  • 이충배;권아림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219-254
    • /
    • 2014
  • 최근 글로벌화와 SCM의 발전으로 인한 국제무역량의 증가는 물동량의 확대로 이어지고 있다. 해운 항만 물류환경의 변화로 컨테이너선의 대형화, 하역장비의 고성능화 항만운영의 글로벌화 및 급격한 기술의 변화가 해운항만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이로 인해 경쟁력의 우위를 확보하는것은 이제 항만의 생존문제가 되고 있다. 항만 물동량이 많다는 것은 일반적으로 우세한 경쟁력을 지닌 항만이라고 할 수 있으나 다른 항만에 비해 효율적으로 운영되지 않으면 곧 경쟁력을 잃을 것이다. 반면에 특정시점에서 경쟁력이 낮은 항만일 지라도 효율성이 높은 항만은 경쟁력의 제고로 이어져 미래에는 우세한 항만이 될 수 도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동북아시아 항만간 물동량변화 추이 및 효율성 분석으로 항만경쟁력을 평가하여 국내항만의 경쟁력 제고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실증분석에서는 항만물동량 성장추이와 경쟁우위를 파악할 수 있는 Shift-share기법과 DEA로 항만의 효율성을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은 동북아시아 항만 총 21개로 하였으며, 두 기법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대상항만을 4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여, 동북아시아 항만 간 경쟁력 위치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항만이 부산항은 여전히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는 반면 인천항과 광양항은 성장추세가 둔화되고 있기 때문에 마케팅의 활성화와 항로의 다변화, 인센티브 제도 적극 실시 등을 통해 물동량 확보에 보다 집중해야 할 것이다.

동태적 변이할당분석을 이용한 제주특별자치도 산업구조 특성 분석 (Characteristic Analysis of Industrial Structure in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Using Dynamic Shift-Share Analysis)

  • 양영준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8호
    • /
    • pp.181-193
    • /
    • 2019
  • 제주특별자치도 출범, 순유입입구 증가 등으로 제주 지역경제는 2011년부터 전국보다 높은 경제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나, 2016년 이후 경제성장이 둔화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경제의 변화요인이 많았던 제주도를 대상으로 2010년부터 2016년까지 산업별 생산액과 종사자수를 이용하여 동태적 변이할당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제주 지역경제는 국가성장에 의존하는 산업구조에서 벗어나 산업구조와 지역의 경쟁력에 의한 산업구조로 성장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생산액과 종사자수에 대해 산업구조 효과와 경쟁 효과가 모두 양(+)의 값을 갖는 산업으로 전기 가스 증기 및 수도사업, 건설업, 숙박 및 음식점업, 사업서비스업으로 분석되었다. 이들 산업은 제주 지역경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산업들이라 할 수 있다. 앞에서 언급한 산업들은 여타 지역에 비해 성장률이 높을 뿐만 아니라 제주 지역경제를 견인하는 사업이라 할 수 있다. 이 산업들이 지속적으로 제주 지역경제에 기여할 수 있도록 장기적인 관점에서 정책적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중국 컨테이너 항만의 집중화와 대응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centration and Responses of Container Ports in China)

  • 장준청;이자연;우수한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169-187
    • /
    • 2015
  • 항만은 물류산업의 중심 및 공업 활동의 중요기지로 사회 경제 발전에 적극적으로 기여하고 있다. 본 연구는 중국 10대 컨테이너항만의 2000년부터 2014년까지의 물동량 데이터를 중심으로 지니계수 및 변이 할당 기법을 이용하였고 항만집중도의 변화와 물동량의 이동을 분석하여 중국 항만시스템 발전 단계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컨테이너항만 체계의 중심이 북방으로 뚜렷하게 이동하는 것이다. 변이할당기법 분석 결과에 따라 3개 지역의 물동량이 주강삼각주 지역으로부터 다른 두 지역으로 이동하여 중국 컨테이너항만 체계 중심이 북방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컨테이너항만 분산화 발전은 컨테이너 물동량 공간 구조 변화의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지니계수의 계산한 결과 분산화 발전은 중국 컨테이너 항만체계 공간변화에서 뚜렷해지고 있는 추세이다.

우리나라 지방자치단체의 외국인직접투자 증감요인 분해 분석 (Decomposition Analysis of Regional Governments in Foreign Direct Investment Increase or Decrease)

  • 이상춘;김윤선
    • 통상정보연구
    • /
    • 제14권3호
    • /
    • pp.159-183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각 지방자치단체 등지에서 추진하고 있는 외국인직접투자 유치 정책에 기초 정보를 제공한다. 변이-비중 모형(Shift-Share Model)을 이용해 외국인직접투자 유치 실적의 증감 요인은 지역별 각 산업의 분해 요인에 따라 구조적 특징을 파악함으로써 찾을 수 있다. 분석은 2009년을 기준으로 2010년, 2011년 전국(수도권과 비수도권으로 구분)의 외국인직접투자 실적을 비교, 전산업(한국표준산업분류 중분류)에 대해 실시했다. 그 결과는 국가성장효과(NS), 산업구조효과(IM), 지역할당효과(RS)로 구분하여 외국인직접투자 증감요인을 살펴보면 2010년과 2011년 수도권, 비수도권 모두에서 국가성장효과(NS)는 음(-)의 값을 갖고 있었다. 이는 세계경기침체의 여파가 국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산업구조효과(IM)의 경우 수도권은 교육, 문화, 비즈니스 및 교통 등의 발달로 비수도권에 비해 서비스 산업의 발달에 유효한 환경을 가지고 있다. 특히 서비스(음식숙박, 비즈니스서비스업, 문화오락) 부문에서 그 특징을 찾을 수 있었다. 비수도권은 제조업(비금속광물, 전기전자) 등의 부문에서 산업발달의 전후방 연계효과 및 지역적 특징이 큰 역할을 한 것으로 분석된다. 그러나 지역할당효과(RS)에서는 수도권에서 제조업 분야의 금속 및 화공분야에서 경쟁력이 있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 PDF

제조업종의 지역별 산업성장 및 고용효과 분석 (Analysis of Industry Growth and Employment Effect in the Korean Manufacturing Sector by Regions)

  • 구훈영;민대기
    • 경영과학
    • /
    • 제34권1호
    • /
    • pp.15-25
    • /
    • 2017
  • We evaluated industry growth and employment effects of every possible pairs of 22 manufacturing sectors and 16 regions (i.e, 352 region-sectors). We used annual data of manufacturing sectors from 2008 to 2014 for the evaluation. The evaluation comprises of two steps; We first find several region-sectors that outperform others with respect to the effects of industry growth and employment, which are measured by location quotient analysis, shift share method, employment to GDP ratio and employment elasticity. In addition, cross-efficiency analysis follows to classify region-sector pairs into two sub-categories : efficient region-sectors that deserve to hold the current level of investments and inefficient region-sectors where we should consider efficiency improvements. To examine the efficiency, R&D investment, employment size, and capital investment were used as input factors and production volume, added value, changes in employment size, changes in annual salary per capita were used as output factors. For region-sector pairs that have outstanding growth and employment effects but are inefficient, we employed a CCR DEA model and analyzed how much to adjust the values of input and output factors to improve the efficiency scores.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inefficiency is mainly due to several factors such as R&D investment, changes in employment size and changes in annual salary per capita.

지역 경쟁력과 경제발전 간의 관계 : 변이할당분석기법의 고총성장에의 적용을 토대로 (Effects of the Localities' Competitiveness Contributing to Employment Growth on Local Economic Development: Based on a Shift-Share Method)

  • 김광익;변필성;김태환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267-284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고용성장의 측면에서 발현된 지역 고유의 경쟁력 및 상대적 이점이 지역경제발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 분석을 위해, 1990년대 기간(1991년-2000년)에 일어난 각 지역의 산업부문별 고용성장에 변이할당분석기법을 적용해서 산출한 지역경쟁할당요소로써 지역 경쟁력을 측정하였고, 2000년대 초반의 연평균 인구성장률 (2000년-2003년)과 1인당 소득세할 주민세 3개년 평균(2000년-2002년)을 지역경제발전을 나타내는 변수로서 활용하였다. 분석은 전국 167개 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공간계량경제 모델링 기법을 활용해서 이루어졌다. 분석결과는 지역경제발전을 나타내는 두 개의 변수에 따라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1990년대 제조업 고용성장의 지역경쟁할당요소는 2000년대 초반의 연평균 인구성장률을 유의하게 증가시키는 효과를 나타낸 반면, 건설업 고용성장의 지역경쟁할당 요소는 인구성장률을 유의하게 감소시키는 효과를 보였다. 그리고 제조업과 건설업 각각의 지역경쟁할당요소는 1인당 소득세할 주민세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보인 반면, 사회 및 개인 서비스업의 지역경쟁할당요소는 그 반대의 효과를 보였다.

  • PDF

The Interaction between Labor Productivity and Competitiveness in Vietnam

  • DONG, Nguyen Thi;DIEM, Tran Thi Ai;CHINH, Bui Thi Hong;HIEN, Nguyen Thi Diu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7권11호
    • /
    • pp.619-627
    • /
    • 2020
  • This study measures the relationship between labor productivity and national competitiveness. Through the shift- share analysis method, the paper has separated labor productivity into three factors: static shift effect, dynamic shift effect and endogeneous effect. Next, in combination with the Granger causality test, the paper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actors constituting labor productivity and competitiveness during the period from 2005 to 2017. Research data is collected from General Statistics Office and annual global competitiveness reports. The results show that the interaction between labor productivity with global competitiveness index (GCI) in Vietnam has similar variation. Nevertheless, when separating labor productivity into three effects, this relationship shows more clearly that the impact of labor productivity on GCI scores is mainly caused by endogeneous effect, not by static shift effect or dynamic shift effect.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its competitiveness, Vietnam should focus on a number of solutions: reforming the education system towards developing thinking capacity and creative capacity; fostering industrial manners to create dynamic and flexible workers; building the State with sufficient capacity to implement consistent and transparent policies; formulating policies to attract all economic sectors so that they actively participate in the field of human resource training for the country.

우리나라 주요항만의 품목별 특화도와 물동량의 변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nges in Specialization Degree and Cargo Volume by Cargo Type in Major Ports in Korea)

  • 이충배;소막;유염봉
    • 한국항만경제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103-119
    • /
    • 2021
  • 우리나라 항만은 배후 산업과 연계 된 산업항, 수출입을 지원하는 무역항 등의 기능과 역할을 수행하면서 물동량이 증가하여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항만별/화물별 화물의 집중도, 특화도 그리고 물동량의 상대적 변동성에는 많은 차이가 존재하고 있다. 본 연구는 품목별 항만 물동량의 구조적 변동성을 집중도, 특화도, 변이할당분석을 통해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분석 기간은 2001-2020년이며 항만은 전체 물동량 기준으로 상위 10개 항만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화물의 유형은 4가지 액화, 건화물, 일반화물, 컨테이너로 구분하여 진행하였다. 집중도, 특화도와 화물량의 변동성 분석을 위해 HHI, 입지계수(LQ), 변이할당기법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4 개 화물별 항만 집중도와 특화도는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며 지난 20년간 변동폭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변이할당분석을 통한 화물의 증감량을 산정한 결과, 액상화물에서는 여수·광양항, 건화물에서는 평택·당진항에서 일반화물과 컨테이너 화물에서는 부산항에서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사점으로는 우리나라 항구의 화물 집중도 및 특화도는 향후에도 큰 변화가 나타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는 화물의 집중화와 특화가 진행되어 규모의 경제와 클러스터링 효과가 상당 수준 달성되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Analysis of Integration and Growth Factors for Maritime Industry -With focus on Jeollanamdo Province-

  • Kim, Un-Soo;Kim, Hwa-Young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122-133
    • /
    • 2019
  • The maritime industry has emerged as a new growth engine. The municipalities that own the port are trying to add value through the maritime industry. Overseas port cities are also creating maritime industrial clusters to generate profits and strengthen competitiveness.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the comparative status of the domestic maritime industry by region. Based on this analysis, it is possible to establish maritime industrial clusters and strategies for integration. This study analyzed the structure of the maritime industry located in Jeollanamdo province, the southwestern part of Korea. Through the analysis of existing literature, the maritime industry was reclassified into 5 major categories, 21 subcategories, and 84 subcategories. Based on the reclassified maritime industry, the analysis of the Jeollanamdo province maritime industry was based on applying the location quotient and the shift-share analysi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geographical location of Jeollanamdo province, other industries showed the highest value of 2.790, followed by fisheries (2.227), shipbuilding industry (1.164) and marine tourism industry (0.554). The growth effect of the maritime industry in Jeollanamdo province was 35,323 people, and net growth effect excluding national growth effect was 11,945 people. In particular, the net growth effect of the shipbuilding industry was the highest at 11,320, followed by shipping logistics (6,371) and marine tourism (1,529).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net growth effect in fisher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construction of the maritime industrial cluster for Jellanamdo province in the future.

제주 부동산업의 성장특성 분석 (Analysis on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Real Estate Industry in Jeju)

  • 양영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5호
    • /
    • pp.585-594
    • /
    • 2020
  • 2006년 제주특별자치도 출범 이후 여러 개발사업이 진행된 제주는 유입인구 증가 등의 영향으로 2011년 이후 여타 지역에 비해 부동산업이 성장하였다. 이러한 성장 이후에 2017년부터는 미분양주택 증가, 순유입인구 감소 등의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06년부터 2016년의 기간을 회복기(2006~2010년)와 확장기(2011~2016년)로 구분하여 변이할당분석과 성장률시차분석을 통해 제주 부동산업의 성장이 국가의 성장에 따른 영향인지, 지역의 산업구조와 경쟁력에 의한 것인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제주 부동산업의 매출액과 종사자수는 회복기에는 국가 성장의 영향에 의해 성장하였으나, 확장기에는 산업구조와 지역의 경쟁력에 의해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업의 성장에 기여한 세부산업으로는 부동산 개발 및 공급업을 들 수 있으며, 경쟁력이 약화된 세부산업으로는 부동산관리업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