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composition Analysis of Regional Governments in Foreign Direct Investment Increase or Decrease

우리나라 지방자치단체의 외국인직접투자 증감요인 분해 분석

  • Received : 2012.08.27
  • Accepted : 2012.09.19
  • Published : 2012.09.27

Abstract

Promoted in places like Korea, the central government and the local governments that can provide information on which to base investment policy to attract foreign direct mutation-specific gravity model (Shift-Share Model) In this study, the decrease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performance using factors looked up in the industry. The sample period of 2009, 2010, 2011 nationwide (metropolitan and non-metropolitan separated) of foreign direct investment performance for Industry Standard Industrial Classification (Division) was conducted. Factors to look at the results of the National Growth Effect(NS), the industrial structure effect (IM), local allocation effect(RS) to decrease foreign direct investment in 2010 and 2011 non-metropolitan, metropolitan national growth effect(RS) is negative(-) has a value. Because it appears to be the aftermath of the global recession, the impact on the domestic economy Metropolitan area and the Industrial Mix Effect(IM) to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culture, business, and transportation, etc. in the development of service industries than in non-metropolitan valid environment. In the sector of services (food accommodation, business services, entertainment), We did it, was able to find the function. However, the Regional Share Effect(RS) be competitive in the manufacturing sector in metropolitan areas in the metal and chemical sectors have been identified. These results seems to enhance the competitiveness of the region, such as the metropolitan area's excellent workforce. Shift-Share analysis technique based on competitive factors of the region, to find the failure has limitations.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각 지방자치단체 등지에서 추진하고 있는 외국인직접투자 유치 정책에 기초 정보를 제공한다. 변이-비중 모형(Shift-Share Model)을 이용해 외국인직접투자 유치 실적의 증감 요인은 지역별 각 산업의 분해 요인에 따라 구조적 특징을 파악함으로써 찾을 수 있다. 분석은 2009년을 기준으로 2010년, 2011년 전국(수도권과 비수도권으로 구분)의 외국인직접투자 실적을 비교, 전산업(한국표준산업분류 중분류)에 대해 실시했다. 그 결과는 국가성장효과(NS), 산업구조효과(IM), 지역할당효과(RS)로 구분하여 외국인직접투자 증감요인을 살펴보면 2010년과 2011년 수도권, 비수도권 모두에서 국가성장효과(NS)는 음(-)의 값을 갖고 있었다. 이는 세계경기침체의 여파가 국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산업구조효과(IM)의 경우 수도권은 교육, 문화, 비즈니스 및 교통 등의 발달로 비수도권에 비해 서비스 산업의 발달에 유효한 환경을 가지고 있다. 특히 서비스(음식숙박, 비즈니스서비스업, 문화오락) 부문에서 그 특징을 찾을 수 있었다. 비수도권은 제조업(비금속광물, 전기전자) 등의 부문에서 산업발달의 전후방 연계효과 및 지역적 특징이 큰 역할을 한 것으로 분석된다. 그러나 지역할당효과(RS)에서는 수도권에서 제조업 분야의 금속 및 화공분야에서 경쟁력이 있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