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Concentration and Responses of Container Ports in China

중국 컨테이너 항만의 집중화와 대응에 관한 연구

  • 장준청 (중앙대학교 대학원 해운물류학과) ;
  • 이자연 (중앙대학교 대학원 무역물류학과) ;
  • 우수한 (중앙대학교 무역물류학과)
  • Received : 2015.11.15
  • Accepted : 2015.12.21
  • Published : 2015.12.31

Abstract

Ports as central factors of the logistics industry and principal bases in industrial activities play a signific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the social economy. This paper takes the throughput data from 2000 to 2014 of 10 container ports located in China as the research object with the Gini coefficient and employs the shift-share analysis. It aims to analyze the changes in port concentration and movement of container throughputs and propose a stage of development port system in China.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ystem of container ports clearly moves northward. According to the above shift-share analysis, the throughput moves from the Pearl River Delta to the other two regions. This indicates that the center of Chinese container port system moves northward. Second, container port diversification development takes a representative position in the change of container throughput space structure. According to the calculation results of Gini coefficient, diversified development gradually predominates the change of container throughput space structure.

항만은 물류산업의 중심 및 공업 활동의 중요기지로 사회 경제 발전에 적극적으로 기여하고 있다. 본 연구는 중국 10대 컨테이너항만의 2000년부터 2014년까지의 물동량 데이터를 중심으로 지니계수 및 변이 할당 기법을 이용하였고 항만집중도의 변화와 물동량의 이동을 분석하여 중국 항만시스템 발전 단계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첫째, 컨테이너항만 체계의 중심이 북방으로 뚜렷하게 이동하는 것이다. 변이할당기법 분석 결과에 따라 3개 지역의 물동량이 주강삼각주 지역으로부터 다른 두 지역으로 이동하여 중국 컨테이너항만 체계 중심이 북방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컨테이너항만 분산화 발전은 컨테이너 물동량 공간 구조 변화의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지니계수의 계산한 결과 분산화 발전은 중국 컨테이너 항만체계 공간변화에서 뚜렷해지고 있는 추세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근섭(2007), "부산항의 글로벌 경쟁우위 전략",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 김상욱(2010), "중국항만의 발전현황과 전망, 중부권항만의 대응과제", 한국해운물류학회지, 제26권 제4호, 4-5.
  3. 김성국(2014), "대중국무역에서 우리나라 항만의 집중에 관한 연구", 무역학회지, 제39권 제5호, 2014, 139-159.
  4. 김태우.노윤진(2007), "중국 항만개발과 평택.당진항의 대응방안", 유통경영학회지, 제11권 제2호, 한국유통경영학회, 5-33.
  5. 김형기.이장원.문종범(2007), "중국연해지역 주요항만의 경쟁력 분석", 현대중국연구, 제8권 제2호, 현대중국학회, 251-282.
  6. 박노경(2002), "지니계수와 로렌츠곡선을 이용한 국내항만의 화물집중도 분석", 무역학회지, 제27권 제3호, 한국무역학회, 285-304.
  7. 심원섭.최승묵(2013), "변이할당분석과 성장률 시차분석을 이용한 광역지자체 관광산업 성장 특성분석", 관광학연구, 제37권 제5호, 한국관광학회.
  8. 안창우(1999), "동아시아 컨테이너 항만의 역할변화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추연길.안기명(2009), "부산항 컨테이너터미널 통합에 관한 연구",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5권 제3호, 한국항만경제학회, 207-228.
  10. 한철환(2002), "동북아 항만들의 경쟁전략에 관한 연구", 해운연구: 이론과 실천, 34-67.
  11. 한국해양수산개발원(2014), KMI 중국물류리포트, 제14-1호.
  12. 한국해양수산개발원(2014), KMI 중국물류리포트, 제14-13호.
  13. Bird, J. H.(1963), The Major Seaports of the United Kingdom, Hutchinson.
  14. Hayuth, Y.(1981), "Containerization and the Load Center Concept," Economic Geography, Vol.57, No.2, 160-176. https://doi.org/10.2307/144140
  15. Kuby, M. & Reid, N.(1995), "Technological Change and the Concentration of the U.S. Central Cargo Port Systems: 1970-1988," Economic Geography, Vol.3 No.2, 272-289.
  16. Marti, B. E.(1991), The Competitive Environment of Southeast Florida's Ports. The Florida Geograph, 20.
  17. Ng, A. K.(2013), "The evolution and research trends of port geography," The Professional Geographer, Vol.65 No.1, 65-86. https://doi.org/10.1080/00330124.2012.679441
  18. Notteboom, T. E. & Rodrigue, J. P.(2005), "Port Regionalization: Towards a New Phase in Port Development," Maritime Policy and Management, Vol.32 No.3, pp.297-313. https://doi.org/10.1080/03088830500139885
  19. Notteboom, T. E.(1997), "Concentration and Load Centre Development in the European Container Port System," Geography, Vol.5, No.2, 99-115.
  20. Rimmer, P. J.(1967). "Recent changes in the Status of Seaports in the New Zealand Coastal Trade," Economic Geography, Vol.43, No.3, 231-243. https://doi.org/10.2307/143291
  21. Shi, Y. C. & Yu, S. Q.(2009), "A Rough Set Analysis on the Factors That Affect on the Competencies of Containers Port," Shipping Management, Vol.31 No.3, 21-42.
  22. Woo, S. H., Pettit, S., Beresford, A., & Kwak, D. W.(2012), "Seaport research: A decadal analysis of trends and themes since the 1980s," Transport Reviews, Vol.32, No.3, 351-377. https://doi.org/10.1080/01441647.2012.660996
  23. 李杭, "港口發展模式演進與其在供應鏈中的價値關係硏究", 大連海事大學, 19.
  24. 潘坤友, 曹有揮, 梁雙波, 魏鴻雁(2013), "中國集裝箱多門戶港口區域空間結構的形成與機理", 地理科學進展.
  25. 潘坤友, 曹有揮, 梁雙波, 魏鴻雁(2013), "中國集裝箱多門戶港口區域空間結構的形成與機理", 地理科學進展, 第32卷 第2期, 214-222.
  26. 渤海灣港口群(2006), 合作謀共贏-<<水路運輸文摘>> 29.
  27. 王成金(2007), "中國港口分佈格局的演化與發展機理", 地理學報, 第62卷 第8期, 813.
  28. 曹有揮(1999), "集裝箱港口體系的演化模式硏究--長江下游集裝箱港口體系的實證分析", 地理科學, 第19卷 第6期, 485-490.
  29. 曹有揮, 李海建, 陳雯(2004), "中國集裝箱港口體系的空間結構與競爭格局", 地理學報, 第59卷 第6期, 1024-1025.
  30. 中國交通部, "全國港口分佈規劃, 2006年 (環渤海灣港口群, 長江三角洲港口群, 東南沿海港口群, 珠江三角洲港口群, 西南沿海港口群)
  31. 高惠君, 孫峻岩(2002), "世界典型國家港口管理體制模式對我國港口體制改革的借鑑作用", 水運科學硏究所學報, 第4期, 8.
  32. http://www.portshanghai.com.cn/
  33. http://www.ykport.com.cn/
  34. http://www.zgsyb.com
  35. http://www.gsc.org.cn/
  36. http://www.ptacn.com/
  37. http://www.qdport.com/
  38. http://www.xpgco.com.cn/
  39. http://baike.haosou.com/
  40. http://www.100allin.com/
  41. http://www.gdpcl.cn/
  42. http://www.ginter.com.cn/
  43. http://www.portcontain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