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nior Employment

검색결과 106건 처리시간 0.022초

노인일자리전담기관 종사자의 감정노동과 조직몰입 :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motional Labor and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Employees in Senior Employment Agencies :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 이병록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349-354
    • /
    • 2021
  • 본 연구는 노인일자리전담기관의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감정노동와 조직몰입의 관계, 그리고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대전과 충청 지역의 노인일자리전담기관 종사자 25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SPSS와 AMOS 18.0 프로그램으로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및 상관관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과 부트스트랩 검정 등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노인일자리전담기관 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조직몰입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두 변수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분석결과와 기존 연구들을 검토하여 노인일자리전담기관 종사자의 조직몰입을 향상시킬 몇 가지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종사자들의 조직몰입 향상을 위해 감정노동을 개선하기 위한 지침의 개발, 정기적인 점검과 교육, 관리자들의 적절한 조치 등이 요구된다. 둘째, 종사자들의 자기효능감을 높이기 위해 실무중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교육의 실시, 윤리의식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과 행정의 지원, 정서지지 서비스의 제공 등이 필요하다.

노인일자리전담기관 종사자의 감정노동과 직무만족의 관계: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motional Labor and the Job Satisfaction of Workers in Senior Employment Agencies: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 이병록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9권12호
    • /
    • pp.463-468
    • /
    • 2021
  • 본 연구는 노인일자리전담기관 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대전과 충청 지역에 소재한 21개 노인일자리전담기관의 종사자 26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분석은 SPSS/AMOS 18.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방정식모형분석 등을 사용하였다. 노인일자리전담기관 종사자의 감정노동과 직무만족의 관계, 그리고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분석결과를 기초로 하여 노인일자리전담기관 종사자의 직무만족을 높이기 위해 몇 가지 방안을 제안하였다. 노인일자리전담기관 종사자들의 감정노동을 감소시키기 위해 종합적인 감정노동의 관리시스템의 구축, 감정노동을 호소하는 종사자들에게 대한 신속한 상담치료 등과 감정노동에 대응할 수 있는 매뉴얼을 개발해야 한다. 종사자들의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비정규직 비율의 감소, 처우수준의 개선, 셀프리더십의 배양 등이 필요하다.

디지털콘텐츠 전공 대학생의 취업에 관한 주관성의 유형별 특성 분석 (Analysis of Characteristics by Type of Subjectivity Regarding Employment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Digital Content)

  • 이석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10권3호
    • /
    • pp.763-768
    • /
    • 2024
  • 본 연구는 실기 교육에 중점을 두는 디지털콘텐츠 전공 대학생들이 취업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을 다각도에서 이해하기 위해 Q방법론을 활용하여 주관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임의로 선정한 31명의 P 표본으로부터 취업스트레스와 취업불안을 중심으로 구성된 Q 표본을 활용하여 기초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실무경험 부족', '취업 및 실무역량 부족', '진로 결정장애 및 의지박약', '멘토 및 취업정보 부족' 등 총 4개 유형이 도출되었다. 이러한 유형에 따라, 학생들이 인턴십 프로그램에 참여하도록 유도하고, 비교과 프로그램 교육을 제공하며, 진로 탐색 워크숍을 운영하고, 선배 멘토링을 확대하는 등의 시사점과 해결 방안을 제시하였다.

도시지역 미취업 노인들의 취업의사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Determinants of Decision Making in Employment Among the Non-Working Elderly Persons)

  • 허준수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8권1호
    • /
    • pp.291-318
    • /
    • 2006
  • 본 연구는 도시지역 미취업노인들의 취업의사결정 요인들을 규명하기 위하여 노인들의 취업의사와 인구사회학적인 요인, 건강 및 심리사회적 요인, 그리고 노동 및 경제적 요인들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시 소재 노인종합복지관을 이용하시는 60세 이상의 노인들 중에서 총 220명을 편의 모집(Purposive Sampling)하여 구조화된 설문지로 면접자에 의한 설문을 실시하였고, 최종 194명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방법으로는 취업의사여부에 따른 조사대상들의 특성은 빈도, 백분율, 평균, $X^2$ 및 t-test 등의 통계를 통해서 산출하였고, 취업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하기 위하여 로지스틱 회귀분석(Logistic Regression)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로는 도시거주 미취업 노인들의 취업의사여부는 노인들의 성별, 연령, 학력, 자녀수, 신체적 건강상태, ADL, 자아 효능감, 경제적 스트레스, 노동 총 종사기간 부동산 소득, 가족후원금 및 연금 급여수준 등 다양한 요인들에 의하여 결정된다는 것이 조사되었다. 이러한 노인취업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을 고려안 노인고용관련 정책, 제도 및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이 필요하다. 끝으로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고령사회에 대비한 노인취업 활성화를 위한 제언 및 함의를 개괄적으로 제시하였다.

  • PDF

정년연장 법제화에 대응하는 기업의 장년인력관리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he Management for Mid-to Senior Age Human Resources of Enterprises following the Extension of Retiring Age Law)

  • 오지현;이영민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6권2호
    • /
    • pp.119-126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정년 60세 의무 법제화와 베이비붐 세대의 대량 은퇴에 따른 기업의 장년인력관리에 대한 사례를 살펴보고, 그에 따른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장년인력관리에 대한 기업의 대응방안 분석을 위해 전반적 인사관리 체계 별 채용 및 선발, 교육훈련 및 경력개발, 배치 및 승진, 평가 및 보상, 퇴직관리 등 총 다섯 단계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연구의 시사점으로는 기업차원에서 입사부터 퇴사까지의 경력관리전략을 위한 장기적 관점의 프로그램 도입, 출향제도 정착, 임금피크제 확산, 퇴직관리를 위한 기업내부의 상시적 전직지원센터운영, 다양한 컨설팅 확대 및 최고경영진의 장년인력관리에 대한 인식의 전환이 시급히 요구된다. 정부차원에서 출향제도의 제도적 보완, 고용장려금 지원제도의 개선, 국가직무능력표준 기반 장년 고용분야 확대와 직무개발, 인사관리제도 혁신을 위한 지원 및 관리 매뉴얼 보급 그리고 국자차원의 생애전환기별 전직교육 실시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Does Maternal Employment Affect Parental Time Allocated to Children's Food Consumption and Physical Activity? Evidence from the Korean Time Use Survey

  • Chang, Yunhee;Lee, Seungmie
    • International Journal of Human Ecology
    • /
    • 제13권2호
    • /
    • pp.53-67
    • /
    • 2012
  • This study uses the 1999-2009 Korean Time Use Survey to explore how mothers' employment affects parental time spent in activities that may relate to their children's weight. Specifically, it estimates two-part regression models to assess the effects of maternal employment upon the amount of time mothers spend in activities potentially related to their preschool children's eating and physical activity. The findings suggest that working mothers and those mothers who work longer hours allocate significantly less time in food preparation, eating with the child, and supervising the child's physical activity than mothers who are not employed and those who work fewer hours. The paper also finds that spouses of working mothers do not allocate more time to these activities to offset the reduction in mothers' time. Also, using local unemployment rates as instrumental variables, maternal employment is found to allow mothers to spend significantly more time on food preparation and family meals, although its effect on mothers' total childcare time is negative. Several aspects of Korean society may have made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employment and childhood weight issues different from what was found in other countries.

일부 지역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취업 인식도 조사 (Awareness towards employment in the dental hygiene students)

  • 양송이;손가연;조미숙;오상환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613-621
    • /
    • 2015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towards employment in the dental hygiene students. Methods: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425 dental hygiene students in Chungcheongdo and Gyeongsangdo from July to September, 2014. Except incomplete answer, 401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0.0 program.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three questions of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nine questions of awareness towards employment, six questions of awareness of employment preparation, and eleven questions of awareness of employment outlook. Results: The dental hygiene students prefer to dental hygiene related institution including dental hospital, dental clinic, general hospital, and university hospital. The awareness for the knowledge of desired employment institution was average. The main access for the information of the employment was internet, and senior and professor's advice, The most important preparations for the employment were a practical skill, trust, certificate, license, communication skill and English proficiency. The future outlook for the dental hygienist within five years was not optimistic, and the best way to overcome the weka point was specialization of the dental hygienist. Conclusions: This study will provide the useful information on improvement of employment strategy program for dental hygiene students.

우리나라 노인 정책 방향 제언을 위한 탐색적 연구 : 노인 연령규범과 희망활동의 융복합적 관점을 중심으로 (A Study on Proposal to Develop Senior related Policies : Convergence Approach of both Age Norm and Hoping Activities)

  • 구혜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4호
    • /
    • pp.101-110
    • /
    • 2016
  • 본 연구는 노인복지법 제5조에 근거하여 3년마다 실시되는 노인실태조사의 2014년 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노인을 연령규범 인식에 따라 유형화 하고, 각 유형별 특성을 파악하고 이들의 삶의 만족도와 희망활동에 대한 요구도 차이를 분석하였다. 현재의 노인은 과거 20~30년 전의 노인과 건강, 교육수준, 경제수준 등이 더 높으며 과거 노인을 대상으로 수립한 노인 관련 정책들은 이제 사회, 문화, 산업, 복지, 고용, 참여 등 융합적인 관점에서 재논의 되어야 하는 시점으로 본다. 본 연구에서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 노인은 크게 체념형, 진취형, 체면형의 3개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이는 노인의 연령규범 인식에 따른 구분이며, 이에 따라 삶의 만족도 및 희망하는 활동에 대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향후 우리나라 노인 관련 정책은 기존 취약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복지적 관점만이 아니라, 고용, 사회참여, 생활 만족, 자원봉사 등 다양하고 융합적인 관점에서 고려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노-노 케어 및 친분이 있는 소규모 노인 집단을 대상으로 정책을 접목하는 시도 등도 필요할 것으로 본다.

여가생활만족도에 관한 인과관계분석 -여가생활 참여도, 여가시간, 여가비용을 중심으로- (An Analysis of Causal effect on Leisure Life Satisfaction -Focused on leisure activity participation, leisure time and leisure expenditure-)

  • 이정연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87-305
    • /
    • 199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a causal effect on the housewife's leisure activity participation, leisure expenditure and leisure life satisfaction. Data was collected 249 housewives in Pusan. Data were analys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one-way Anova, multiple regression, Pearson's correlation and path analysis. The main findings of the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leisure activity participation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and economic variables. Physical typ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when housewife was 30's and unemployed, size of family was 3 and 4, age of the lastborn child was under 6, occupation of husband was professionals and technicians, educational attainment of housewife was under highschool graduate, pattern of housing was collective, income was high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that occupation of husband was professionals and technicians, educational attainment of housewife was over junior college graduate, pattern of housing was collective, income was higher in self-developing type. restful typ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when housewife was 40's, age of the lastborn child was under 13-18, educational attainment of housewife was under highschool graduat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that housewife was unemployed in home-oriented typ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that housewife was 30's and unemployed, size of family was 4, age of the lastborn child was under 6, occupation of husband was market and sales worker, educational attainment of housewife was over junior college graduate, pattern of housing was collective in time-spending type.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leisure time, leisure expenditure and leisure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and economic variables. Leisure tim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when housewife was unemployed, age of the lastborn child was under 13-18, occupation of husband was service, educational attainment of housewife was under highschool graduate, income was higher. Leisure expenditur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when housewife was 30's, size of family was under 3, age of the lastborn child was under 6, occupation of husband was senior officials and manager, educational attainment of housewife was over junior college graduate, pattern of housing was collective, income was over 5,000,000 w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that housewife was unemployed in leisure life satisfaction. Third, casual effect was path analysed according to path model. Employment and unemployment of housewife, income and occupation of husband (product & transport equipment operator) had an effect on phycial type. Age of housewife, employment and unemployment of housewife and occupation of husband (product & transport equipment operator) had an effect on children-concerned type. Age of housewife had an effect on social-concerned type. Education of husband, income, age of lastborn child and occupation of husband (professor and teacher) had an effect on self-developing type. Age of lastborn child, employment and unemployment of housewife and occupation of husband(product & transport equipment operator) had an effect on children-concerned type. Age of lastborn child and children number had an effect on religious-social type. Employment and unemployment of housewife had an effect on home-oriented type. Age of housewife, education of husband had an effect on time-spending type. Restful type, employment and unemployment of housewife, and occupation of husband(service) have an effect on leisure time. Income, leisure time, self-developing type, children concerned type and occupation of husband(senior officials and manager) had an effect on leisure expenditure. Leisure expenditure, self-developing type, employment and nemploymentof housewife, income had an effect on leisure life satisfaction.

  • PDF

본교병원이 있는 일개 간호대학 졸업예정자의 외부병원 취업경험에 관한 융합연구 (The Convergence Study of Employment Experiences to External Hospital of Expected Graduates of Nursing College with an Affiliated Hospital)

  • 김미란;허보윤;오재우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423-431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본교병원이 있는 간호대학 졸업예정자들의 외부병원 취업경험을 이해하고자 시도되었다. 본교병원에 취업지원을 하지 않은 대학교 4학년 재학생 5명을 대상으로 융합적 접근을 위해 포커스그룹 면접을 2017년 7월 4일부터 7일까지 3회에 걸쳐 진행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심층면담은 연구자에 의해 진행되었으며 면담은 연구 참여자에게 동의를 받아 녹음하였고 면담직후 즉시 필사되었고, 내용분석 방법으로 분석했다. 연구결과는 '개인 가치와 경험에 따른 다양한 취업병원 선택기준', '힘든 업무에 대한 인정과 보상', '병원 네임벨류의 영향', '자신의 가능성을 발전시키기 위한 기회', '자대병원 아닌 외부병원 취업으로 인해 닥칠 두려움'의 5가지 주제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결과는 간호대학생의 취업지도를 하는데 고려해야 할 점과 신규간호사의 이직률을 감소시킬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