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lf-learning

검색결과 4,018건 처리시간 0.037초

Empowering Poor-Households Women on Productive Economy Businesses in Indonesia

  • SUMINAH, Suminah;ANANTANYU, Sapja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7권9호
    • /
    • pp.769-779
    • /
    • 2020
  • Self-efficacy has been extensively evaluated, but no studies have investigated the effect of self-efficacy on the self-reliance of women in poor-households economic productivity. This study analyzes self-efficacy as a personal factor, learning processes, and social support as an environmental factor towards the achievement of self-reliance in women from poor-households in productive economy businesses. Despite the dominant logic of this scheme, there is a need for field-based data regarding whether the variable really supports the sustainable empowerment of poor-households women. This study used the quantitative method through the survey technique. The samples of this study included 250 people collected from five regencies in Indonesia by using a multiple-stage random sampling. The data were analyzed wit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show that social support has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the learning process; social support has a direct negative impact on self-efficacy. The learning process has a direct positive influence on self-efficacy, while social support has a non-significant impact on self-reliance. The learning process has a direct influence on self-reliance. Social support and the learning process both have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self-efficacy. Social support, learning process, and self-efficacy simultaneously have a positive impact on self-reliance in productive economic activities.

방사선과 학생의 스마트 학습법 적용이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학업적 자기 효능감, 학습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Study on the Effect of Smart Learning applied at a Radiationtherapy Subject on Self Directed Learning, Self Learning Efficacy, Learning Satisfaction of College Students)

  • 심재구;김연민;박수진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9권4호
    • /
    • pp.661-667
    • /
    • 2016
  • 본 연구는 보건 계열 방사선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스마트러닝 강의에 대한 학습법을 진행한 후에 스마트러닝 강의에 대한 설문조사를 토대로 학생들에게 학습효능감 및 학습만족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학습 성과향상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 실질적인 교육을 활성화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2016년 3월부터 6월까지 총 120명을 설문하여 응답자 수 102명(남자: 65명 여: 37명)의 설문지가 회수되었다. 자료 수집방법은 자가보고형 질문지 방식으로 진행하였으며,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은 5점 만점에 평균 $3.46{\pm}0.50$,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6점 만점에 평균 $3.60{\pm}0.89$, 학습만족도는 5점 만점에 평균 $3.62{\pm}0.62$으로 나타났다.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은 학업적 자기효능감(r=0.639, p<0.01)과 학습만족도(r=0.435, p<0.01)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학습만족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0.513, p<0.01). 스마트러닝을 통한 학습법을 진행하는 경우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학업적 자기 효능감, 학습 만족도에서 유의한 결과를 보여 주고 있으며, 스마트러닝을 통한 학습법의 인식과 필요성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이 나타났으며, 스마트러닝 학습법을 통한 학습만족도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유의한 상관관계를 통해 방사선과에서도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강의법의 적용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간호학생의 학습동기, 의사소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자기주도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learning motivation, communication skill, academic self-efficacy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n nursing students)

  • 오효숙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8호
    • /
    • pp.311-321
    • /
    • 2017
  • 본 연구는 간호학생들의 학습동기, 의사소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 자기주도학습능력 정도를 파악하고 자기주도학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수행하였다. 연구방법은 서술적 조사연구로서 연구대상은 4년제 대학교 2학년 간호학생 194명이었고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5년 11월 2일부터 11월 30일까지 자료수집을 하였다. 연구결과, 자기주도학습능력은 성별, 성격성향, 간호학과 지원동기, 전공 만족도, 대학생활 만족도, 성적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자기주도학습능력은 학습동기, 의사소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대상자의 자기주도학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습동기, 의사소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 전공 만족도, 성적으로 자기주도 학습능력을 53.1%를 설명하였다. 결론적으로 간호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학습동기, 의사소통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을 높이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Prediction Research on Cyber Learners' Course Satisfaction and Learning Persistence

  • JOO, Young Ju;JOUNG, Sunyoung;KIM, Hae Jin
    • Educational Technology International
    • /
    • 제16권2호
    • /
    • pp.85-110
    • /
    • 2015
  •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college students' self-efficacy, learning strategy utilization, academic burnout, and school support predict course satisfaction and learning persistence. To this end, self-efficacy, learning strategy utilization, academic burnout, and school support were used as prediction variables; and course satisfaction and learning persistence, as criterion variables. The subjects were 178 students who registered for online and mobile "Culture and Art History" courses at K online university. They participated in an online surve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self-efficacy and learning strategy utilization positively predicted course satisfaction and learning persistence, academic burnout negatively predicted them, and school support predicted neither. Accordingly, we suggest that raising self-efficacy and learning strategy utilization, and reducing academic burnout in the learning environment will improve the course satisfaction and learning persistence of online learners.

상호자율언어학습을 위한 웹기반 학습공동체의 설계전략 연구 (Design Strategies for Web-Based Self-Directed Cooperative Language Learning Communities)

  • 박정환;이건인;조해란
    • 영어어문교육
    • /
    • 제10권1호
    • /
    • pp.127-152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laborate design strategies for a Web-based self-directed cooperative distance language learning community. Research was done regarding the theoretical foundations for self-directed cooperative language learning and Web-based learning communities. The components of a Web-based community for self-directed cooperative language learning system are also investigated. As a result of this study, design strategies for Web-based communities are suggested. There are performance and supporting environments(synchronous/asynchronous) for self- directed cooperative language learning. There are also cultural experiences and communication factors in the performance field. Furthermore, matching communicators, finding and offering information, language learning content and other supporting agents are important in the supporting environment.

  • PDF

The Applicability and Effects of Flipped Learning on 'Public Health Nursing' Courses

  • Kang, Soo Jin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70-78
    • /
    • 2021
  • Purpose: Flipped learning is a novel teaching strategy for encouraging students to engage in the learning process. This study aimed to redesign the public health nursing course and examine the implications of flipped learning on learning outcomes, self-efficacy, and self-leadership in undergraduate programs. Methods: A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A total of 80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flipped learning method was employed between April 14 and June 5, 2016.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and an independent t-test. Results: The self-efficacy of the lower 25% group based on academic performanc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however, self-leadership did not show any change after utilizing flipped learning. Overall, 65.4% of the students were satisfied with their class. Conclusion: Flipped learning was an effective strategy for students with low achievement. Despite these advantages, it was considered to reduce the burden of studying.

국가자격증 취득을 위한 효율적 학습요인 연구 - 전공교육과정과 연계한 실내건축기사 국가자격증반 운영을 중심으로 - (Study on Effective Learning Factors to Obtain National Certifications - Focusing on Operation of Interior Architecture Engineers Certifications in Connection with Major Curriculum -)

  • 유용우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3권4호
    • /
    • pp.140-148
    • /
    • 2014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ddress Effective Learning Methodology by subjects to acquire National Certification which is an essential requirement to get employed. For this purpose, analysis was completed after conducting a survey on the class to obtain Interior Architecture Engineer Certification. 23 applicants were selected based on effectiveness of each subject, level of difficulty, degree of understanding, mentoring effect, self-driven learning, and group discussion. Results are as below. Upon the first written test, Interior Design Theory and Chromatics showed a high learning effectiveness in self-driven learning and mentoring. Ergonomics showed a high learning effectiveness in mentoring, self-driven learning and group discussion while Building Materials, Architecture Construction presented a high effectiveness only in mentoring and group discussion. Architecture Environment showed average learning effectiveness in mentoring and group discussion and showed a low effectiveness in self-driven learning. Upon the second practice test, Interior Architecture Construction and Planning/Management of Construction Materials presented an average learning effectiveness in mentoring and group discussion. Process Control and Adding Up(Supply Calculation) showed a low learning effectiveness in self-driven learning and presented an average to below average learning effectiveness in mentoring and group discussion. Lastly, Interior Design Plan, Interior Design Drawings presented average learning effectiveness in mentoring and group discussion however they showed a high effectiveness in self-driven learning.

컴퓨터 프로그램 교육에서 자기조절 학습 모델 개발 (A Self-regulated Learning Model Development in Computer Programming Education)

  • 김갑수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9권1호
    • /
    • pp.21-30
    • /
    • 2015
  • 21세기 지식 정보 사회에 컴퓨터 교육이 매우 중요하다. 컴퓨터 교육에서 컴퓨터 프로그래밍 교육이 매우 중요하다. 컴퓨터 프로그래밍 교육에는 교수 학습 모델이 거의 없다.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이 자기조절 학습을 할 수 있는 자기 조절 학습 모형을 개발한다. 본 연구에서는 자기 조절 학습 요소, 자기 조절 학습 단계와 자기 조절 학습 모형을 제안한다. 자기조절 학습 요소는 과제 수준, 일반화, 효율화이다. 자기조절 학습 단계는 문제이해, 설계, 코딩, 시험, 유지보수이다. 자기조절 학습 모델은 복사하기, 변형하기, 창조하기, 도전하기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학습 요소들과 성취도간의 상관관계 분석은 효율화와 일반화가 과제 수준보다 더 높았다. 학습 단계에는 문제 이해와 설계 단계가 다른 단계보다 더 높았다. 학습 모형에서는 변형하기, 창조하기, 도전하기가 구현하기보다 상관관계가 더 높았다.

학습부진학생의 자기조절학습요인이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elf-Regulated Learning Factors on Learning Motivation on Underachiever)

  • 권은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3호
    • /
    • pp.113-119
    • /
    • 2018
  • 20세기 중반 이후 교육현장에서 지속적으로 제기되어온 대표적인 주제가 학습부진 문제해결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기조절학습요인을 인지, 동기, 행동조절로 구성하고, 학습부진 대학생의 학습동기인 내적가치, 자기효능, 호기심 및 자신감에 미치는 어떠한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는 창원시 소재 A대학교의 학습부진 상담프로그램에 참여한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조사를 행하였다. 연구 결과 자기조절학습요인은 학습동기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조절요인은 자기효능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학습조절요인은 호기심 및 자신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다양한 요인이 통합적으로 학습과정에 작용하므로 상호작용을 고려한 종합적인 지도체제가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인 방법으로는 인지적 동기적 행동적 요소들을 참고하여 동기수준을 강화시킬 수 있는 학습상담 프로그램 개발이 시급하다 하겠다.

이러닝 수업에서 대학생의 자기조절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과제가치, 자기효능감, 수업 성취목표구조, 학업정서 간의 구조적 관계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ask value, self-efficacy, goal structure, and academic emotions for promoting self-regulated learning in e-learning course)

  • 유지원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61-77
    • /
    • 2012
  • 본 연구는 이러닝 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학업정서와 선행요인들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통제-가치이론 및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자기조절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으로 지각된 과제가치, 자기효능감, 수업에서 강조되는 목표구조, 학업정서 중 즐거움, 두려움, 지루함을 선정하고 모형을 상정하였다. 상정된 모형은 국내 대학의 이러닝 수강생 535명의 자료를 바탕으로 검증되었다. 분석 결과, 상정된 모형은 타당하였고, 지각된 과제가치, 자기효능감과 수업에서의 성취목표구조는 학습자의 세부 학업정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학업정서 중 즐거움만이 자기조절학습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수업성취목표구조에 따라 학업정서와 자기조절학습에 각기 다른 영향력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