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lf-directedness

검색결과 69건 처리시간 0.019초

간호대학생의 심리상태에 학업효능감, 자기주도성, 자아탄력성이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Academic Efficacy, Self-directedness and Ego-resilience on Psychological States in Nursing University Students)

  • 김은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73-79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분노와 행복감의 관계에 영향하는 요인을 살펴봄으로써 대상자의 행복감을 높여 내면화된 가치를 가지고 학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401명의 간호대학생의 일반적인 특성, 학업효능감, 자기주도성, 자아탄력성, 분노척도, 주관적 행복감을 측정하였고, 집단간 차이는 t-test, ANOVA 검증법을 이용하였다. 그리고 학업효능감, 자기주도성, 자아탄력성과 심리상태 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를 통해 확인하였으며, 간호대학생의 분노로 인한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하는 요인인 학업효능감, 자기주도성, 자아탄력성의 조절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다집단 분석(multiple group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주관적 행복감과 연구의 예측변인인 자아탄력성, 자기주도성은 주관적 행복감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자아탄력성이 낮을수록 분노로 인해 감소되는 주관적 행복감의 정도가 증가하였고, 자아탄력성이 높을수록 그 정도가 감소해 자아탄력성이 분노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분노와 행복간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입증되었으므로, 자아탄력성을 높이는 교육방식을 현장에 반영될 수 있도록 교수법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긍정심리자본이 평생학습 참여성과에 미치는 영향 : 학습에 대한 자기주도성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Participation in Lifelong: Mediating effects of Self-directedness to learning)

  • 이효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198-209
    • /
    • 2018
  • 본 연구는 국내 평생학습기관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긍정심리자본이 평생학습 참여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자기주도성의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긍정심리자본을 독립변인으로, 평생학습 참여성과를 종속변인으로, 자기주도성을 매개변인으로 연구모형을 구성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인학습자의 긍정심리자본은 평생 학습 참여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인학습자의 긍정심리자본은 자기주도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주도성은 평생학습 참여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기주도성은 긍정심리자본과 평생학습 참여성과 사이에서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성인학습자의 평생학습 참여성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긍정적 심리와 자기주도성을 형성할 수 있도록 돕는 학습체제 지원과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며, 긍정심리자본, 자기주도성이 중요 요인이라는 것을 나타낸다.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성인학습자의 긍정심리자본과 학습에 대한 자기주도성을 향상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 긍정심리자본의 평생학습조직에의 적용 등 평생학습 참여성과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언하였다. 연구결과는 성인학습자의 학습을 비롯해 평생교육 발전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임상융합 자기주도적 실습교육 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성 및 기본간호술기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linical Convergence Self-directedness Practice Learning Program on Self-directedness and Competency in Fundamental Nursing Skills in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 박지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7권4호
    • /
    • pp.51-58
    • /
    • 2016
  • 본 연구는 임상융합 자기주도적 실습교육 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성 및 기본간호술기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기 위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 연구이다. 연구대상은 D시의 간호학과에 재학 중인 간호대학생 80명으로 실험군 40명, 대조군 40명을 무작위로 배정하였다. 실험군은 5일 동안 임상현장을 방문 및 기본간호 술기 수행 동영상을 촬영하고 스스로 디브리핑하며 프로토콜을 수정 보완하는 자기주도적 실습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대상자들의 자기주도성과 기본간호술기 수행능력은 사전과 사후에 각각 1번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PC WIN 19.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Independent t-test, Mann-Whitney U test와 chi-square 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군과 대조군의 자기주도성(t=12.93, p=.001)과 기본간호술기 수행능력(t=8.34, p=.021)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나, 임상융합 자기주도적 실습교육 프로그램은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성 및 기본 간호술기 수행능력 향상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비대면 학습환경에서 간호대학생의 학습몰입, 자기 주도성, 자기조절학습능력 및 학업성취도 (Learning Flow, Self-Directedness,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and Learning Achievement of Nursing Students who in Non-Face-To-Face Learning Environment)

  • 이지은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4호
    • /
    • pp.511-517
    • /
    • 2021
  • 본 연구는 비대면 학습환경에서 간호대학생의 학습몰입, 자기 주도성, 자기조절학습능력 및 학업성취도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연구 대상은 B, G시에 소재하고 있는 간호대학생 179명으로 2021년 9월부터 10월까지 자료수집을 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4.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기술통계,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학습몰입 평균은 38.54±7.87이었고, 자기 주도성은 134.83±19.81, 자기조절학습능력은 42.93±5.98, 학업성취도는 15.03±2.56으로 나타났다. 학습몰입, 자기 주도성, 자기조절학습능력, 학업성취도는 모두 유의한 양의 상관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비대면 환경에서 간호대학생의 학업성취도를 높이기 위한 전략과 학습몰입을 높일 수 있는 환경 개선과 제도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컴퓨터 이러닝에서 학습만족도와 자기주도성, 플로우(Flow)경험 간의 관계 (Relationships among Learner's Satisfaction, Self-Directedness and Flow Experience in Computer e-Learning)

  • 장필식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69-76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웹상에서 이루어지는 컴퓨터 교과목 이러닝에서, 학습자의 학습만족도와 자기주도성, 플로우(flow) 경험의 연관관계를 파악하고, 경로분석을 활용하여 이들 요인간의 인과관계를 분석,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기존 이론 연구들을 바탕으로 학습만족도를 종속변인으로 하고 자기주도성과 플로우 경험을 독립, 매개변인으로 하는 구조모형을 기초로 하여, 각 요인의 하위 구성요인 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하였다. 총 193명 학생의 데이터가 분석에 이용되었으며,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1. 학습자의 자기주도성은 플로우 경험을 매개변인으로 하여 학습만족도에 간접적으로 유의한(p<.01)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플로우 경험은 학습만족도에 직접적으로 유의한(p<.01)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자기주도성의 7개 하위 구성요인 중 '독창적 접근', '학습에 대한 사랑', '학습자적 신념' 등이 플로우 경험을 매개로 하여 학습만족도에 양(+)의 방향으로 간접적으로 유의한(p<.01)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플로우 경험의 9개 하위 구성요인 중 '명확한 목표' 요인이 학습만족도에 양의 방향으로 직접적으로 유의한(p<.01)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대학생의 자기주도성, 학습몰입, 진로결정효능감과 진로탐색행동 간의 관계 구조분석 (The Analysis on the Causal Model between Self-directedness, Learning Flow, Career Decision and Self-efficacy, and Career Exploration Behavior of Undergraduate Students)

  • 강명숙;방은령
    •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 /
    • 제20권4호
    • /
    • pp.443-467
    • /
    • 2014
  •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기주도성, 학습몰입, 진로결정효능감과 진로탐색행동 간의 관계 구조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남녀 대학생 604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하였고, 구조방정식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몰입과 진로결정효능감은 진로탐색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선행변인으로 밝혀졌으나, 자기주도성이 진로탐색행동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기주도성은 학습몰입과 진로결정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진로결정효능감과 학습몰입은 자기주도성과 진로탐색행동의 관계를 완전 매개함으로써 자기주도성이 진로탐색행동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정간접효과(specific indirect effect)의 크기를 검토하였을 때, 자기주도성의 간접효과는 진로결정효능감을 매개하는 경로가 학습몰입을 매개하는 경로보다 진로탐색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대학생의 진로탐색행동을 증진시키기 위한 논의와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이 이루어졌다.

  • PDF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성, 간호활동경험 및 임상실습만족도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of Self-Directedness, Clinical Practice Experiences and Clinical Practice Satisfaction)

  • 조인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3635-3647
    • /
    • 2014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성, 간호활동경험 및 임상실습만족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K시에 소재한 3년제 간호학과, 4년제 간호학과 재학생 223명을 대상으로 2013년 12월 5일부터 2013년 12월 20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0.0을 이용하여 서술적 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와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성과 간호활동경험(r=.243, p<.01), 자기주도성과 임상실습만족도(r=.495, p<.001), 간호활동경험과 임상실습만족도(r=.339, p<.001) 모두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자기주도성과 간호활동경험은 임상실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회귀모형의 28.7%를 설명하였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성 함양 및 간호활동경험을 증진시키기 위한 임상실습프로그램 개발의 기초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남녀대학생의 자아정체감, 의복추구혜택 및 의복속성평가 간의 관계 연구 (The Relationships of Clothing Benefit and Clothing Attributes Evaluation to Ego Identity of College Students)

  • 이경희;이명희
    • 복식문화연구
    • /
    • 제7권4호
    • /
    • pp.139-154
    • /
    • 1999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find relationships between ego identity and clothing benefits, and to examine the influence of ego identity, clothing attributes evaluation, and demographic variables on clothing benefits. The subjects were 405 college students(male : 164, female : 241) in Seoul. Six factors of clothing benefit derived by factor analysis : fashion, comfort, social recognition, self-expression, recognized brand, and economy. Males with higher goal-directedness of ego identity had less interest in the benefits of social recognition and recognized brand. The higher the uniqueness of ego identity females had, the higher the social recognition and the lower the comfort. Social recognition of males was influenced by self-acceptance(-), style, and fastener(R²=17.7%). and recognized brand influenced by parents\` education, goal-directedness(-), and allowance(R²=27.5%). Fashion of females was influenced by style, allowance(-), and goal-directedness(-)(R²=18.7%), comfort unfluenced by uniqueness(-), size, and allowance(-)(R²=14.6%), and self-expression influenced by style, allowance, fastener, and interpersonal relation(R²=28.0%). The present findings mean that allowance and ego identity such as goal-directedness, self-acceptance, interpersonal relation were meaningful variables that affect clothing benefits.

  • PDF

온라인 학습환경에서 의과대학생의 일반적 특성, 학습몰입, 자기주도성, 학습만족도간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Characteristics, Learning Flow, Self-Directedness and Learner Satisfaction of Medical Students in Online Learning Environment)

  • 전성주;유효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8호
    • /
    • pp.65-74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의과대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학습환경에서 학습자의 일반적 특성과 학습자 관련 변인인 학습몰입, 자기주도성, 학습만족도간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효과적인 온라인 교수학습 방안을 탐색하고 학습 만족도 향상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C지역의 의과대학 의예과 1, 2학년과 의학과 1, 2학년 총 473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자기보고식 설문형식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학습집중시간은 31-40분이(38.9%) 가장 높았고, 규칙적으로 학습하는 학습자가(65.5%) 비규칙적으로 학습하는 학습자보다(34.5%) 많았으며, 학년이 높을수록 규칙적으로 학습하는 학습자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학습몰입은 평균 4.03(±0.86), 자기주도성은 평균 4.49(±0.97), 학습만족도는 평균 4.38(±1.01)이었다. 학년, 학습집중시간, 학습규칙성에 따라 학습몰입, 자기주도성, 학습만족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년, 학습몰입, 자기주도성이었으며, 설명력은 72.5%였다. 본 연구는 온라인 학습환경에서 의과대학생들의 학습만족도와 관계가 있는 변인들을 확인함으로써 의과대학의 온라인 학습환경 활용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였고, 학습만족도 향상을 위한 온라인 학습관리체제 구축 등에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남아의 증상과 부모의 주의력결핍 과잉행동 증상 및 인격 양상과의 관련성 (Association of the Symptoms of Parental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nd the Parental Personality Patterns with the Symptoms of Boys with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 신우승;최혜라;김건우;이중선;박수빈;홍진표;유한익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0권1호
    • /
    • pp.23-28
    • /
    • 2009
  • Objectives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symptoms of boys with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and the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symptoms, temperament and character patterns of their parents. Methods : Forty-five boys with ADHD and who met the DSM-IV criteria were evaluated by using the ADHD rating scale (ADHD-RS), and their parents completed the Korean Adult ADHD scale (K-AADHDS) and the Temperament and Character Inventory (TCI). Results : The parental K-AADHDS scores were not associated with the ADHD-RS total score and the subscale scores of their siblings. The most potent variable related to the ADHD-RS total score was the maternal self-directedness, and the second was the maternal persistence. The maternal self-directedness was the variable that was most correlated with the hyperactivity/impulsivity subscale scores of the ADHD-RS. Conclusion :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paternal ADHD symptoms may not be related to the ADHD symptoms of boys with ADHD. Higher maternal self-directedness and persistence may decrease overall the ADHD symptoms of these boys, and higher maternal self-directedness itself may predict lower hyperactivity/impulsivity symptoms of the boys with ADH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