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lf-directed Career Management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19초

자기주도적 경력과 경력성공 간 관계 연구 -경력전략으로서의 경력단절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f the self-directed career management on the career success - Focused on the career interruption -)

  • 서용한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5권2호
    • /
    • pp.13-26
    • /
    • 2016
  • 평생직장 개념이 사라지면서 스스로 고용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경력단절이나 직장이동을 경력개발을 위해 전략으로 활용하려는 이른바 무경계 경력관리(boundaryless career)나 프로틴 경력(protean career)이 주목받고 있다. 본 연구는 개인차원에서의 경력관리을 위한 경력단절이 경력성과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분석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 실시한 "제3차 인적자원기업패널(HCCP)" 자료를 사용하여 경력관리를 위한 경력단절 경험이 있는 그룹(자기주도적 경력추구자)과 일반경력단절 그룹(일반경력관리자)으로 구분하여 이들 두 집단간 경력성과에 차이가 있는지를 실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자기주도적 경력추구자일수록 경력단절과 경력전략에 더 적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기주도적 경력관리를 하고 있는 근로자일수록 자신의 경력목표 달성에 도움이 되는 것이라면 다른 조직으로의 경력단절의 빈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자기주도적 경력관리 집단일수록 실질적인 경력성공 달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 경력관리자 집단보다 자기주도적 경력추구자 집단이 경력개발을 위한 경력단절이 이후 임금 및 근로조건 개선되었을 뿐만 아니라 실질적인 임금에 있어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영업직원의 자기주도적 경력관리가 기업의 마케팅경쟁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alesperson' Self-directed Career Management on Firm's Marketing Competitiveness Advantage)

  • 서용한;이연주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7권4호
    • /
    • pp.271-287
    • /
    • 2018
  • 판매직원의 경력관리 행동은 개인의 경력성공뿐만 아니라 기업 성과달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기존연구에서는 경력단절이나 이직과 같은 판매직원의 경력이동을 부정적이고 수동적인 관점에서 다루어졌다. 하지만 최근 이런 경력이동을 적극적인 경력목표 달성을 위한 자기주도적 경력관리(self-directed career management) 차원으로 이해하려는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런 맥락을 기반으로 판매직원의 자기주도적 경력관리여부에 따라 개인적 경력성공에 차이가 있는지 그리고 경력성공의 결과로 나타나는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이 기업의 마케팅경쟁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히는데 초점을 맞춘다. 실증분석을 위해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 실시한 "제5차 인적자원기업패널(HCCP)" 자료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경력성공의 객관적 지표인 임금에 있어서 경력이동 경험이 있는 판매직원이 그렇지 않은 일반 직원에 비해 임금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이 기업의 마케팅 경쟁력에 미치는 영향이 자기주도적 경력이동 판매직원과 일반 판매직원간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의 시시점은 판매직원의 자기주도적 경력관리 행동이 기업의 마케팅경쟁력을 높이는 원천으로 중요한 관리요인임이 확인되었다는 것이다.

여고생의 정서지능과 진로준비행동이 자기주도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y High School Girls on Self-directed Learning)

  • 이경완;이명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7호
    • /
    • pp.265-277
    • /
    • 2020
  • 본 연구는 여고생의 정서지능과 진로준비행동, 자기주도학습능력을 확인하고, 자기주도학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수행되었다. 여고생 2학년 231명을 대상으로 자가보고식 설문조사를 하였고, 자료 분석은 SPSS/WIN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진로준비행동은 계열, 성적에 따라, 자기주도학습능력은 성적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자기주도학습능력은 정서지능(r=.560, p<.001), 진로준비행동(r=.232, p<.001)과 각각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자기주도학습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정서지능(β=.515, p<.001), 성적'중'(β=.376, p<.001), 성적'상'(β=.274, p<.001), 진로준비행동(β=.128, p<.05)으로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44.0%였다. 따라서 여고생들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을 높이기 위해 정서지능과 진로준비행동을 강화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The Effects of Job Crafting on Career Success of Multinational Corporations' Employees

  • YOON, Kyung-Hee;KIM, Bo-Young;EOM, Jae-Gun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6권4호
    • /
    • pp.213-225
    • /
    • 2019
  • As the recent tendency of career management has changed, companies have supported progressive career management and development of their employees internally. And strengthening job crafting is an effective activity not only to improve the work efficiency of the organizations but also to improve the job satisfaction and wellbeing of their employees. In these backgrounds,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components of job crafting for the multinational employees in order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job crafting and empirically analyze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in terms of career success through career commitment and career attitude. Based on literature review the job crafting was defined with three components; task crafting, relation crafting, and cognitive crafting. A total of 336 survey data were analyzed for a total of 27 multinational corporations. As the analysis result the task crafting and cognitive crafting of multinational employees were shown to have an influence on career attitude, but relation crafting did not have any impact on career. I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employees have self-directed career attitude through a method of showing visible performance based on their given jobs rather than having individual career management attitude through relationships between departments, organizational members, and supervisors.

NCS 확산을 위한 경력단절여성 직업교육과 커리어관리 시스템에 관한 연구 (A Study of Career-interrupted Women's Vocational Training and Career Management System for NCS Diffusion)

  • 서용한;야부 토스하루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6권2호
    • /
    • pp.207-221
    • /
    • 2017
  • 경력단절 여성은 NCS기반의 직업훈련과 개인중심의 경력관리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에 직면해 있다. 경력단절 여성이 이런 환경변화에 적응하기 위해서는 경력관리에 대한 자기주도성과 정체성이 요구된다. 특히, 경력단절 여성에 대한 다양한 지원프로그램이나 직업교육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획일화된 관점에서 벗어나 세분화된 집단별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런 맥락에서 본 연구는 재취업에 성공한 경력단절 여성의 적극적 경력관리행동에 초점을 맞춘다. 경력단절 여성의 적극적 경력관리행동이 경력전략과 경력성공과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를 밝힌다. 이를 위해 한국직업능력개발원에서 실시한 패널자료를 토대로 적극적 경력관리 여성과 일반 경력관리 여성으로 구분하여 이들 두 집단 간 경력관리 행동과 경력성공에 차이가 있는지를 실증하였다. 적극적 경력관리 여성일수록 경력전략으로 경력단절이나 경력이동을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적극적 경력관리 여성과 그렇지 않는 여성간 자기주도적 교육 참여정도와 훈련방법에 따른 교육효과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적극적 경력관리 여성은 그렇지 않는 경우에 비해 월평균임금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간호대학생의 학습유형, 시간관리 행동 및 자기주도적 학습능력 (Learning style, Time management behavior and Self-directed learning of Nursing student)

  • 김인경;성지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7호
    • /
    • pp.4621-4631
    • /
    • 2015
  • 본 연구는 간호 대학생과 그들을 지도하는 교수자가 학생 스스로가 학습유형을 정확하게 파악하여 올바른 시간관리를 통해 학업을 계획하고 준비하는 것에 대한 중요성을 확인 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학습유형, 시간관리 행동이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자료수집은 2013년 11월 1일부터 12월 2일까지 한 달 간 이루어졌으며 D시 및 C도의 4곳의 4년제 대학교의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일반적 특성, 학습유형, 시간관리행동, 자기주도학습을 사용하였으며 대상자는 246명으로 연구목적으로 이해하고 설문에 동의한 대상자에게 설문 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IBMSPSS/WIN 19.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Stepwis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설명하는 모형은 시간관리 행동(${\beta}=.629$, p<.001), 주관적 대학생활 적응정도(${\beta}=.153$, p<.001)으로 구성되었으며 모형의 설명력은 51.4%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 교수자는 학생 본인이 스스로의 학습을 찾아 계획, 수행 및 평가를 할 수 있도록 효율적인 시간관리의 중요성을 지속적으로 격려해 가야하며 자기주도학습과 관련된 프로그램 내에 관련 내용을 고려해야 한다.

상시학습 시스템 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nstruction for all times learning system)

  • 박영호
    • 디지털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61-70
    • /
    • 2014
  • The government supports the various systems on the premise of life-long education for improving the qualification of its people and supporting the lifelong career system. These systems help the educational activities for every generation from the teens. Each government department supports the learning activities for those who are related. In addition, each government department systemizes the regular education for advancing the performance of civil servant, by obliging a self-directed system to their member as well as by reflecting this educational activities in a promotion. This style of learning is provided not only offline but also online. However, not all necessary educational contents is furnished within the department. It is sometimes necessary to cooperate with the commissioned education and a professional educational institution. This thesis suggests three model systems while comparing one another. This paper suggests three system model. The first model is e-contents open place. The second model is e-contents open place. Finally, the suggest model is mixed form.

J 대학교 재학생의 학습역량 실태조사 (A study on the actual state of learning competences in students at a college)

  • 송경희
    • 대한치위생과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21-39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learning competencies of students at a college from September 1 to November 30, 2017, in an effort to provide some information on how to foster learning competencies in college years, which lay the foundation for work and social lives. 1. The learning competencies of the subjects consisted of academic vision, student identity, cognitive regulation, emotional regulation, learning management and creating learning environments. Out of five points, they scored the highest in academic vision and student identity with 3.34, followed by learning management with 3.20, creating learning environments with 3.18, emotional regulation with 3.16 and cognitive regulation with 3.14. 2.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cademic vision according to age, the area of major, the academic credential of their fathers, commuting time, military service experience and career plans. 3.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udent identity and cognitive regulation according to gender, age, the area of major, the academic credential of their fathers, commuting time, military service experience and career plans. 4.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emotional regulation according to age, the area of major, the academic credential of their fathers, commuting time, career plans and daily mean study hours. 5.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learning management according to gender, age, the area of major, grade point average, the academic credential of their fathers, career plans and daily mean study hours. 6.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creating learning environments according to gender, age, the area of major, the academic credential of fathers, commuting time, career plans and daily mean study hours. As they were poorest at the cognitive regulation area among the areas of learning competencies, self-directed learning programs that deal with how to study, learning process, how to take notes and arrange them, how to link different pieces of acquired knowledge and how to map out study plans should be developed to give support to students.

기독교 대학에서의 학습 상황 진단 도구 개발을 위한 모형 설계 및 제안 (Model Design and Proposal for the Development of a Learning Status Diagnostic Tool at a Christian University)

  • 이성아;권경만
    • 기독교교육논총
    • /
    • 제61권
    • /
    • pp.203-232
    • /
    • 2020
  • 본 연구는 대학생의 학업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분야들을 선행 연구를 통해 파악하고, 그 영역별 요인들을 진단할 수 있도록 하위요인을 도출하였다. 그 후, 설계 원리를 수립하고, 학습 상황 진단 도구 개발을 위한 모형을 설계하는 연구이다. 우선 연구를 위해 대학생들의 역량, 대학생활 및 학업 저성취자 연구, 학사경고자 연구 등을 토대로 어떤 요인들이 학업에 영향을 주고 있는지를 파악하였고, 특히 학업을 실패하도록 만드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살펴 보았으며, 그것들을 토대로 진단할 수 있게 하위요인들을 설정하였다. 선행 연구를 통해 설정된 영역은 심리적 차원, 학습적 차원, 진로적 차원으로 나누어 졌고, 기독교 대학 학생들을 위해 모형을 제시하고자 하였기에, 신앙 영역도 요인으로 설정하여 완성하였다. 그 후에는 각 영역별 하위요인을 구성하였는데, 초안 모형에서는 신앙영역 하위에 신앙성숙도와 신앙훈련, 심리영역 하위에 긍정적 사고, 정서 조절, 자아 존중감, 학습역역 하위에 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학습동기, 학습전략, 마지막으로 진로영역 하위에 진로성찰, 진로탐색, 진로관리, 진로탐색장애의 요소로 구성하였다. 이후 기독교인이면서 교육학 박사로 대학 및 교육 관련 기관에 재직 중인 10명의 전문가 집단을 통해 델파이 연구를 수행하였다. 델파이를 위해 본 연구의 취지를 설명하고, 모형의 적합성, 모형을 이루는 영역, 그 하위의 요인 등에 대해 타당성을 검증하였는데, 그 결과, 초기 4개 영역 12개 하위영역이었던 모형은 하위 요인 기준으로 신앙훈련, 정서조절, 진로성찰의 하위요인이 타당하지 않다는 결론에 이르러 삭제하게 되었고, 최종적으로 4개 영역의 9개 요인, 즉 신앙-신앙성숙도, 심리-긍정적 사고, 자아 존중감, 학습-자기 주도적 학습능력, 학습동기, 학습전략, 진로-진로탐색, 진로관리, 진로탐색장애의 요인을 갖춘 모형으로 완성되었다. 본 연구 대학생, 특히 기독교 대학의 학생들이 학습을 성공적으로 이끌어가기 위한 진단 도구 개발의 선행적 연구로, 설계 모형과 그 하위 영역, 요인 등을 제안하는 연구였다. 따라서 향후 본 모형을 토대로 기독교 대학의 학생들의 학습 상황을 진단할 수 있는 실질적 도구개발 연구도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간호대학 신입생의 학습동기유발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학습동기, 핵심역량, 시간관리, 진로태도성숙을 중심으로 (The Effects of Learning Motivation Program for Freshmen of Nursing College: Focusing on Learning Motivation, Core Competence, Time Management, Career Attitude Maturity)

  • 박주영;임효남;김두리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8호
    • /
    • pp.331-341
    • /
    • 2018
  • 본 연구는 간호대학 입학예정인 학생의 성공적인 대학생활을 위한 다양한 교육전략 및 정책수립에 활용할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학습동기유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정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학습동기유발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현황조사 및 문헌고찰을 통해 프로그램의 내용에 학습역량, 자기주도적 역량, 사회적 역량이 증진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으며, 이에 대한 내용을 전문가들에게 내용타당도를 수행하였다. 개발된 학습동기유발 프로그램은 간호대학 입학예정학생 121명에게 3주간 진행되었다. 그 결과 학습동기유발 프로그램 수행 전 보다 후에 학습동기, 핵심역량, 시간관리, 진로태도 성숙이 증가하였으며, 프로그램 종료 4주 후에도 학습동기(F=3.45, p=.033), 핵심역량(F=7.35, p=.001), 시간관리(F=9.80, p<.001), 진로태도성숙(F=19.83, p<.001)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는 학습동기유발 프로그램이 전공수업과 달리 다양한 학습전략을 포함하였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학습동기를 증진시킬 수 있는 자기주도적 학습방법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