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lf Learning Efficacy

검색결과 706건 처리시간 0.026초

수준별 소집단 협력학습 유형이 학습자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영어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n learners' learning self-efficacy and English accomplishments by two types of level-based collaborative groupworks)

  • 이남숙;임병빈
    • 영어어문교육
    • /
    • 제12권4호
    • /
    • pp.211-234
    • /
    • 2006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two types of cooperative groupworks will affect learners' academic self-efficacy and English achievement in the first graders of Middle school. Experimental class A was done by similar-level groupwork, experimental class B by differential-level groupwork, and controlled class C by whole classwork. In order to accomplish the goals of the study, questionnaires on learners' academic self-efficacy were examined before and after the experiment. Also English achievement tests were done during the experiment. The analytic results of the questionnaires and English achievement tests were like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two types of cooperative groupworks were more effective on improving learners' academic self-efficacy than the whole classwork. Second, two types of cooperative groupworks were more effective on improving two levels' (higher and medium) academic self-efficacy. Third, among three types of classworks, differential-level groupwork was the most effective on improving learners' English achievement. Fourth, in case of medium-level learners, differential-level groupwork was more effective on improving their English achievement than similar-level groupwork.

  • PDF

간호대학생의 중도탈락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Nursing Students' Intention to Drop out)

  • 최정;박영미;하영옥;권유림;송정희;김민경;김다연
    • 산업융합연구
    • /
    • 제19권1호
    • /
    • pp.117-127
    • /
    • 2021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사회적 지지,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습민첩성이 중도탈락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K도에 소재한 일개 간호학과 재학생 363명을 편의표집하였으며, 2020년 11월 9일부터 27일까지 사회적 지지,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민첩성과 중도탈락의도에 대해 온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사회적 지지는 4.32점,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3.66점, 학습민첩성은 3.40점, 중도탈락의도는 2.08점이었다. 중도탈락의도는 사회적 지지,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민첩성과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고, 사회적 지지는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민첩성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상자의 중도탈락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민첩성, 전공만족도, 정신적 건강상태, 성적, 학년이 나타났으며 설명력은 30.4%였다. 이에 간호대학생들의 학업중도탈락의도의 영향요인으로 나타난 중요 변수들을 긍정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대학과 학과 차원의 인프라를 마련하고, 다양한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블렌디드 러닝(Blended learning)을 기반으로 한 정신간호학 실습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 능력, 협력적 자기 효능감 및 학습전이동기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Communication Competency, Self-efficacy for group work, and Learning Transfer Motivation of Nursing Students in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Practice Education based on Blended Learning)

  • 서유진;한은경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2호
    • /
    • pp.61-70
    • /
    • 2022
  • 본 연구는 COVID-19 pandemic으로 간호대학생의 정신간호학 임상실습이 제한되면서 블랜디드 러닝을 기반으로 한 정신간호학실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의사소통 능력, 협력적 자기효능감 및 학습전이동기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는 2021년 10월 18일부터 2021년 12월 11일까지 간호대학생 64명이 참여하였으며 온라인 구글설문지를 이용하여 실습 전과 실습 후에 설문지를 완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적 통계, paired t-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는 블렌디드 러닝을 기반으로 한 정신간호학실습프로그램 전에 비해 후에 의사소통 능력, 협력적 자기효능감과 학습전이동기가 유의미하게 상승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블렌디드 러닝을 기반으로 한 정신간호학실습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추후 포스트 코로나 상황에서도 임상현장실습을 대체하여 적용할 수 있는 정신간호학실습교육의 실행성과 후속연구의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e-Learning 플로우가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flow on learning performance in the e-Learning systems)

  • 이문봉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85-94
    • /
    • 2010
  • e-Learning으로 대변되는 교육의 변화는 교육환경의 기술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패러다임 자체를 바꾸어 놓고 있다. e-Learning 환경에서의 사용자는 시스템 사용자뿐만 아니라 학습자의 역할을 동시에 가지고 있기 때문에 이런 복잡한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보다 포괄적인 시각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포괄적인 시각을 연구하기에 앞서 학습자의 동기 유발에 초점을 두고 학습 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플로우 이론을 이용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 첫째, 플로우의 구성 요소인 내재된 흥미와 주의집중은 종속 변수인 학습 성과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특히 내재된 흥미가 주의집중보다 더 중요한 요인으로 밝혀졌다. 둘째, 내재된 흥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정보 품질과 숙련도로 나타났으며, 셋째, 주의집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인지된 사용용이성, 숙련도, 컴퓨터 자기효능감으로 나타났다.

대학생의 자기효능감과 결과기대가 진로 탐색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College Students' Self-Efficacy and Outcome Expectations on Career Exploration)

  • 김영란;이상직
    • 벤처혁신연구
    • /
    • 제6권2호
    • /
    • pp.159-172
    • /
    • 2023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탐색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실증 분석을 위한 연구모형은 사회인지진로모형(SCCT)을 기반으로 대학생의 특성을 반영하여 도출하였다. 자기효능감과 결과기대를 독립변수로 채택하였다. 이에 대한 선행 변수로 성취경험, 언어적 격려, 대리학습, 긍정적 정서를 채택하였다. 실증분석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획득한 217부 바탕으로 이루어졌다. 구조방정식으로 검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성취경험, 대리학습, 긍정적 정서는 자기효능감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다. 또한 언어적 격려와 긍정적 정서는 결과기대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언어적 격려는 자기 효능감에 유의한 영향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성취경험과 대리학습은 결과기대에 유의한 영향 관계가 검정되지 않았다. 자기효능감과 결과기대 모두 진로 탐색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향 관계에 있어서는 결과기대가 자기효능감보다 강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실증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가지는 학술적 및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했다.

이공계 대학생의 직업교육에서 숙달목적지향성과 시간관리능력이 직업탐색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astery Goal Orientation and Time Management Ability on Job Search Self-Efficacy in the Vocational Education of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 정애경;김지심;김정화
    • 공학교육연구
    • /
    • 제15권3호
    • /
    • pp.12-21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직업교육에서 이공계 대학생이 가지는 숙달목적지향과 시간관리가 직업탐색효능감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경기도 지역 이공계 남녀 대학생 52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이들을 대상으로 직업탐색효능감, 숙달목적지향, 시간관리를 검사하였다. 회귀분석 결과 첫째, 숙달목적지향성은 직업역량효능감과 진로목표선택효능감을 모두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시간관리능력은 진로목표선택효능감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공계 전문대학생의 성별 및 거주지역에 따른 숙달목적지향성, 시간관리능력, 직업역량효능감과 진로목표선택효능감의 집단 간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이공계 전문대학생의 숙달목적지향성의 평균은 높은 편이나, 시간관리능력의 평균은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학 교과서 프로젝트 학습이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ath Textbook Project Learning(MtPL) on Affective Domain)

  • 유기종;김창일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8권3호
    • /
    • pp.479-501
    • /
    • 2016
  • 본 연구는 예비 고등학교 3학년 학생 20명을 대상으로 수학 교과서, G+, 수능기출문제를 학습도구로 하여 2015년 12월 24일부터 9주간 프로젝트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연계한 혼합형 학습 방법인 '수학 교과서 프로젝트 학습(MtPL)'을 개발하여, MtPL이 고등학생들의 정의적 영역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MtPL은 학생들의 자기효능감, 자신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고, 교과서를 이용한 협력학습과 교사의 역할은 수학 학습에서 도구적 동기로 작용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입시에 성공하기 위해서 더 어려운 수학 문제를 풀어야 한다는 우리나라 고등학생들의 수학 학습 방법에 대한 인식이 수정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또한 교과서를 활용한 수능 준비와 수학 학습에서 교과서의 이용은 학생들에게 긍정적으로 작용했음을 알 수 있다.

섬유조직염환자용 자조관리과정의 수정 및 검증 -예비조사- (Modification and Test of Self-help Program for Patients having Fibromyalgia-Pilot Study-)

  • 이은옥;한상숙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262-276
    • /
    • 1997
  •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1) to modify a self-help program for patients having fibromyalgia, 2) to revise instruments to measure the self-efficacy and impact of fibromyalgia; and 3) to test the effects of the program in terms of self-efficacy, physical activities, and clinical symptom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persons diagnosed as fibromyalgia at a university hospital. For the first two purposes, six patients were selected. Twenty three subjects for the third purpose were selected and assigned to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on the base of their residence. Thirteen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while 10 to the control group. Instruments selected for revision were self-efficacy scale and fibromyalgia impact profile. On the basis of the text developed by Arthritis Foundation, a program for patients with fibromyalgia was tentatively developed. Instruments for measurement of self-efficacy and impact of fibromyalgia were revised to show high reliabilities. Results obtained by utilization of the program were as follows : 1) There were no increase of self-efficacy and physical activities. 2) There were no improvement of the number of tender points and pain. 3) There were improvement of depression, fatigue and sleep impairment. These findings indicate the needs for modification of the program with emphasis of exercise for relaxation of tender points, increases of enactive action and vicarious learning.

  • PDF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정신간호 시뮬레이션 실습 교육 효과 (Psychiatric Nursing Simulation Practice Education Effect Using Standardized Patients)

  • 문원희;김미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541-550
    • /
    • 2022
  • 본 연구는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정신간호 시뮬레이션 실습의 교육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D광역시 소재 대학 간호학과에 재학중인 3학년을 대상으로 2021년 9월부터 11월까지 자료 수집하여 진행되었다. 자료 분석은 SPSS/WIN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일반적 특성과 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학습자기효능감, 학습만족도에 대한 시뮬레이션수업 전·후 결과를 비교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교육 후 의사소통능력(t=-3.199, p=.004)과 학습만족도(t=-3.342, p=.003)는 유의하게 상승 되었다. 그러나 문제해결능력(t=-1.875, p=.072)과 학습자기효능감(t=-1.432, p=.164)은 전·후 결과값에 변화가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과 학습만족도 증진을 위해 표준화 환자를 적용한 교육이 지속적으로 운영될 필요가 있다.

항공서비스전공 대학생의 현장학습 프로그램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ield Learning Program Perception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Aviation Service)

  • 김하영;유정화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90-104
    • /
    • 2023
  • This study analyzes the perceptions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aviation services according to the field learning program conducted during their major studies in order to reflect the educational value and academic awareness of the experience of the experiential field learning program. A survey is conducted targeting college students who experience a field learning program conducted by the Aviation Service Department of J University, a four-year university in the Chungcheong region. ANOVA (one-way analysis of variance) is conducted to analyze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field learning properties, learning satisfaction, academic self-efficacy, and intention to continue studying. Additionally, text mining is conducted using 'Voyant Tools' to analyze students' field trip logs regarding field trip learning program activities. I hope that the results will be used as evidence to build an efficient and systematic learning strategy for operating field learning progra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