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The Effects of Math Textbook Project Learning(MtPL) on Affective Domain  

Yoo, Ki Jong (Anbeop High School)
Kim, Chang Il (Dankook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School Mathematics / v.18, no.3, 2016 , pp. 479-501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learning project for 20 pre-third graders in high school by means of math textbooks, G+, and sample questions from previous CSAT as learning tools for 9 weeks from Dec. 24, 2015.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velop 'math textbook project learning(MtPL)', a mixed learning method combined on-line with off-line, and analyze the effects of MtPL on the affective domain of high school student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MtPL had positive effects on self-efficacy and self-confidence of students, while the collaborative learning using a textbook and teacher's role worked as instrumental motivation in mathematics learning. The result also implies that the perception of high school students, who think to resolve more difficult math problems to succeed in CSAT, about mathematics learning method has to be modified. Furthermore, it is shown that the preparation of CSAT by utilizing textbook and the use of textbook in math learning have been worked positively for the students.
Keywords
Project learning; Math learning; Self-efficacy; Self-confidence; Instrumental motivation;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8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상경아, 김성숙, 김경희, 김수진, 시기자, 한정아 (2015). 수학 성취 및 정의적 특성에 미치는 교육맥락변인의 영향: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와 PISA 연계 데이터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15-8.
2 서종진 (2002). 수학에서 협동 학습에 관한 기초 연구. 수학교육, 14, 229-250.
3 송미영, 임해미, 최혁준, 박혜영, 손수경 (2013). OECD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 연구: PISA 2012 결과 보고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13-6-1.
4 염시창, 박철영 (2011). 수학 자기효능감과 수학성취도의 관계에서 학습전략의 매개효과-잠재성장모형 분석. 수학교육, 50(1), 103-118.
5 신명희, 박승호, 서은희 (2005). 여자 대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따른 시간관리 및 지연행동 연구. 교육학연구, 43(3), 211-230.
6 오수창 (2000). 흥미유발 학습자료의 개발․적용이 수학과 학습성취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3(2), 111-122.
7 유기종 (2015). 좋은 수학 수업 요인에 대한 고등학교 학생과 교사의 인식.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유기종, 김창일, 고상숙 (2016). 좋은 수학 수업에 대한 고등학교 수학 교사의 선호도 비교. 수학교육, 55(1), 129-145.
9 윤현상, 김삼곤 (2001). 협동학습이 학습자의 자기조절학습능력, 학업성취도, 자아존중감 및 협동심에 미치는 영향. 수산해양연구, 13(2), 194-211.
10 이민찬, 길양숙 (1998). 수학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정의 (情意) 적 특성의 학년별 변화 및 성별성취 집단별 차이. 수학교육, 37(2), 147-158.
11 이상수 (2012). 네트워크 사회 도래에 따른 새로운 교육의 방향. 교사교육연구, 51(2), 282-296.
12 이종연 (2002). 고등학교 수학의 정의적 영역에 대한 수행평가 기준 개발. 학교수학, 4(2), 193-204.
13 이종희, 김선희 (2010). 중․고등학교 학생들의 수학 정의적 성취의 차이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14(4), 759-785.
14 이종희, 김수진 (2010). PISA 2003 결과에서 수학의 정의적 영역에 영향을 주는 변인 분석. 학교수학, 12(2), 219-237.
15 임정훈, 임병노, 최성희, 김세리 (2004). 초, 중등학교에서 교실수업과 웹기반 학습을 연계한 커뮤니티 기반 프로젝트 학습모형 개발 연구. 교육공학연구, 20(3), 103-135.
16 조성현, 허승희 (2008). 시간관리기술 훈련이 아동의 자기주도적 학습력과 자기효능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부산교육학연구, 21, 117-131.
17 조일현 (2010). 대학 프로젝트 수업 환경에서 분업화, 상호작용, 공유정신모형이 팀 수행성과와 개인 학습에 미치는 영향. 교육공학연구, 26(3), 1-20.
18 조정수 (1999). 브가츠키(Vygotsky)의 사회-문화적 인지발달 이론과 수학적 의견교환. C-초등수학교육, 3(2), 89-101.
19 주영주, 이종희, 김선희 (2011). 수학교과에서 남․녀 집단 간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흥미, 외적동기 및 학업성취도의 영향력 차이 검증. 교과교육학연구, 15(4), 1019-1041.
20 최승현, 구자옥, 김주혼, 박상욱, 오은순, 김재우, 백현아 (2013). PISA와 TIMSS 결과에 기반한 우리나라 학생의 정의적 특성 함양 방안.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13-18.
21 최승현, 황혜정 (2014). 수학 교과에서의 정의적 특성 요인의 의미 및 지도 방안 탐색. 수학교육 논문집, 28(1), 19-44.
22 통계청 (2016). 2015년 초․중․고 사교육비조사 결과(2016년 2월 26일 보도자료).
23 한선영, 이장주 (2015). 수학문제해결력 증진을 위한 프로젝트 활용의 역사와 그 적용의 분석. 한국수학사학회, 28(6), 333-348.   DOI
24 홍진곤, 조승래 (2003). 협력학습을 통한 수학 학습부진아 지도. 수학교육, 42(3), 327-335.
25 Ames, C. (1992). Classrooms: Goals, Structures, and Student Motivatio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4(3), 261-271.   DOI
26 Mullis, I. V., Martin, M. O., Foy, P., & Arora, A. (2012). TIMSS 2011 international results in mathematics. International Association for the Evaluation of Educational Achievement. Herengracht 487, Amsterdam, 1017 BT, The Netherlands.
27 Driscoll, M. P. (1994). Psychology of learning for instruction. Boston : Allyn and Bacon Erlbaum.
28 Goldin, G. A. (2002). Affect, meta-affect, and mathematical belief structures. In Beliefs: A hidden variable in mathematics education? (pp. 59-72). Springer Netherlands.
29 Liu, M. & Hsiao, Y.P. (2002). Middle School Students as Multimedia Designers: A Project-Based Learning Approach. Journal of Interactive Learning Research, 13(4), 311-337.
30 McLeod, D. B. (1989). Beliefs, attitudes, and emotions: New views of affect in mathematics education. In Affect and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pp. 245-258). Springer New York.
31 OECD (2010). OECD Health Data 2010: Statistics and Indicators for 34 countries. Paris: OECD.
32 Reyes, L. H. (1984). Affective variables and mathematics education. The Elementary School Journal, 84(5), 558-581.   DOI
33 교육부 (2016).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 2015-74호 [별책 8].
34 강명희, 박미순, 정지윤, 박효진(2009). 웹기반 프로젝트 학습에서 학습자 간 상호작용과 학습실재감이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5(2), 67-85.
35 강명희, 김세영, 강주현 (2015). 구글플러스 기반 프로젝트 학습의 성취도에 대한 자기조절학습과 교수실재감의 예측력: 인지된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평생학습사회, 11(2), 275-302.
36 교육과학기술부(2012).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1-361호 [별책 8], 우신기획.
37 김부미 (2016). 수학 학습 동기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분석. 학교수학, 18(2), 397-423.
38 구재선 (2009). 행복은 심리적 자원을 형성하는가.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3(1), 165-179.
39 구재선, 서은국 (2012). 행복은 4년 후 학업성취를 예측한다. 한국심리학회지, 26(2), 35-50.
40 김부미 (2012). 우리나라 중․고등학생의 수학적 신념 측정 및 특성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22(2), 229-259.
41 김경희, 김수진, 김남희, 박선용, 김지영, 박효희, 정송(2008). 국제 학업성취도 평가(TIMSS/PISA)에 나타난 우리나라 중.고등학생의 성취 변화의 특성.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08-3-1.
42 김혜숙, 함은혜 (2014). PISA 2012 수학 교과의 정의적 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 특성 분석. 교육평가연구, 27(5), 1311-1335.
43 김선경 (2005). 수학과 정의적 영역이 학업 성취에 미치는 영향.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4 김수진, 동효관, 박지현, 김지영, 진의남, 서지희, 김민정 (2013). TIMSS 2011 결과에 따른 수학․과학 교육 현황 국제비교.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13-7-2.
45 김수환, 한선관 (2013). 스마트러닝 환경에서의 프로젝트 학습 전략 및 요인 분석. 정보교육학회논문지, 17(3), 243-252.   DOI
46 남진영 (2015). 수학과 국가교육과정의 정의적 영역 목표 고찰.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 19(2), 159-178.
47 류성림 (1999). 수학교육에서 피아제(Piaget)와 비고츠키(Vygotsky)의 사회적 상호작용의 역할에 관한 고찰. 과학 수학 교육연구, 22, 109-131.
48 류희찬 (1996). 열린 교육과 초등학교 수학과 교육: 소집단 협력 학습을 중심으로. 교원교육, 12(1), 55-62.
49 박성택 (1998). 수학과 소집단 협력학습의 방향 탐색. 수학교육학연구, 8(1), 1-9.
50 박정 (2007). 우리나라 중학생의 수학에 대한 정의적 특성 변화와 수학 성취에 미치는 영향력 분석. 수학교육, 46(1), 19-31.
51 박지현, 김윤민, 최승현 (2014). 수학에 대한 자신감에 관한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24(2), 145-1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