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econdary school teacher

검색결과 450건 처리시간 0.028초

그래픽 계산기를 활용하는 수학 교수·학습에 관한 교사 연수 사례 보고 (A case report of teacher training for teaching and learning mathematics using graphing calculators)

  • 장경윤;류현아;신용대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2권4호
    • /
    • pp.425-441
    • /
    • 2016
  • In this study, we focused on the graphing calculator to support the activity-oriented mathematics instruction with considering the accessibility of technolog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rection of the education of mathematics teachers. For this, we gave the teacher training for mathematics using graphing calculators for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and then examined the recognition for that of teachers. Teacher training of the graphing calculator was carried out three times in two years, we conducted a survey immediately at the time that has passed and after the 8 months or more after the training. As a result, we have obtained the suggestions of the advantages of using a graphing calculator in the learning mathematics, the difficulties of use of the graphing calculator in the classroom and the form of teacher training they want.

초.중등학교 수학교사의 창의성 신장 교수 행동에 대한 분석 (The analysis of mathematics teachers' teaching behavior for fostering creativity)

  • 이봉주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77-95
    • /
    • 2012
  • 이 연구에서는 초 중등학교 수학교사의 창의성 신장 교수 행동을 분석함으로써, 창의성 교육 관련 교사교육 프로그램 구성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초등학교 교사 57명, 중학교 교사 55명, 고등학교 교사 5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근무학교급에 따른 창의성 신장 교수 행동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지만, 성별, 지역별, 경력별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교 교사와 중등학교 교사의 창의성 신장 교수 행동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고, 초등학교 교사의 교수 행동 점수가 중등학교 교사의 교수 행동보다 높았다. 또한 창의성을 교육을 통해 신장시킬 수 있는가에 대한 교사의 인식 조사 결과, 초등학교 교사가 중등학교 교사에 비해 교육을 통한 창의성 신장 가능성에 대해 상대적으로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수학교육에서 인공지능 활용에 대한 초등 교사와 중등 수학 교사의 인식 분석 (An analysis of perceptions of elementary teachers and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on the use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in mathematics education)

  • 김정원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63권2호
    • /
    • pp.351-368
    • /
    • 2024
  • 인공지능이 수학교육에서 효과적으로 활용되기 위해 고려해야 할 중요한 요인 중 하나는 인공지능을 수용하는 교사의 인식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인공지능 활용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인공지능의 정의와 활용 태도, 수학 교수 도구, 수학 학습 도구, 수학 평가 도구의 네 가지 범주로 구분한 뒤, 초등 교사 161명과 중등 수학 교사 157명의 인식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들은 수학 교수 및 학습의 도구로 인공지능을 활용하는 데에 가장 긍정적인 인식을 드러냈으나, 자신의 수학 수업에서 인공지능을 활용하는 것과 관련된 인공지능에 대한 태도와 관련해서는 상대적으로 낮은 인식을 드러냈다. 또한 모든 문항에서 초등 교사가 중등 수학 교사보다 긍정 응답률이 높게 나타났고, 중등 교사의 경우 중립적 인식에 가진 교사의 비율이 초등 교사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드러난 교사들의 인식을 바탕으로, 인공지능이 수학교육에 효과적으로 활용되기 위하여 교사들에게 필요한 구체적인 교수학적 지원과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Analysis of Preferences and Reality for Teacher-Student Interaction in Secondary School Science Classroom

  • Seo, Kyoung-Hee;Lim, Soo-Min;Park, Min-Jung;Sonn, Jong Kyung;Kim, Youngshin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2권9호
    • /
    • pp.1391-1404
    • /
    • 2012
  •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analyzing the teachers' and students' preferences and reality with regard to their interaction in secondary school science class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80 teachers and 1,389 students. The contents of the questionnaire for the teachers included the quality of the personal relationships between the teachers and students as well as the teachers' recognition of teaching activities, and the questionnaire for the students dealt with the quality of the personal relationships between the teachers and students as well as the students' perceptions of their classes. The questionnaire responses were divided into preferences and reality for the research.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s of the teachers' and students' perceptions of their interaction were significantly lower (p<0.05) compared to their preferences with regard to such. Second, the female teachers showed higher levels of preferences and reality compared to the male teachers in the case of the teacher variables, and the middle school teachers showed higher levels of preferences and reality compared to the high school teachers. Third, the male students showed a higher perception level compared to the female students, and both the preferences and reality levels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p<0.05) than those of the high school students. In addition, the level of interaction was lower in big cities than in small cities. Fourth,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levels of the teachers' and students' preferences and reality with regard to their interaction.

한국학교도서관협의회의 전략계획 수립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rategic Plan of Korea School Library Association)

  • 김성준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203-225
    • /
    • 2012
  • 한국학교도서관협의회는 우리나라의 사서교사직을 대표하는 전문직 단체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학교도서관협의회가 현안문제를 보다 적극적으로 해결해 나갈 수 있도록 전략계획을 수립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학교도서관의 현안문제와 조직내부의 환경을 분석한 후 전체 사업범위를 명확하게 규정하였고, 규정된 사업 중에서 전략계획이 필요한 12개 사업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사업에 대해서 회원들의 중요도를 조사하여 최종적으로 한국학교도서관협의회가 중점을 두어야할 4개의 전략사업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사업은 학교도서관진흥법의 개정, 초 중등교육법의 개정, 사서교사 고충사례 조사 및 대응, 우수 교육사례 모집 및 배포이며, 각 사업에 대해 달성목표, 집행부별 세부 목표, 추진절차 등을 포함한 전략계획을 수립하였다.

국내 초·중등 공학 교육 연구 동향 분석 (Research Trends and Issues of Engineering Education in Korean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 이은상
    • 공학교육연구
    • /
    • 제18권4호
    • /
    • pp.45-56
    • /
    • 2015
  •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f engineering education in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To accomplish this goal, this study analyzed the journal papers by 'published year', 'research topic', 'research subject', 'research method' and 'related school subject'.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regarding the published year, the studies related to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level engineering education had been conducted 1 to 3 pieces intermittently from 1995 to 2009. And the number of studies are more than 5 pieces after 2010. Second, regarding the research topic, the number of study followed by 'investigation for current status', 'tendency analysis', 'development of teaching method or model', 'verification of teaching method/models' effect'. Third, regarding the research subject, the number of study followed by 'student', 'literature', 'professor', 'teacher'. Fourth, regarding the research method, the number of study followed by 'survey research' and 'literature research', 'qualitative research', 'experimental research' and 'integrated research'. Fifth, regarding the related subject, the number of study followed by 'science', 'technology', 'mathematics', 'practical art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re are the needs for further studies to establish theoretical foundation on the engineering content elements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level, analyze on related variables and effects, develop engineering assessment instrument, use a variety of research methods, and conduct study on the applications of engineering in math subject.

Science Teacher Education in Hong Kong

  • Yip, Din-Yan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1044-1070
    • /
    • 2002
  • Initial science teacher education in Hong Kong is provided by the Post-graduate Diploma in Education Programme (PGDE) for both pre-service and in-service secondary school teachers. This programme includes a balanced treatment of subject curriculum and teaching in science, general pedagogical knowledge and skills, educational psychology and school administration. The science courses in this programme also have some units that equip science teachers with the knowledge and skills that are essential for teaching a science curriculum that emphasises conceptual change and understanding of the nature and methods of science. This emphasis is illustrated by two studies: (1) Developing a conceptual change model of instruction in Biology teachers, and (2) Constructing understanding of the nature and methods of science.

영재교육 교사 전문성의 구성요소 탐색 연구 (Exploration on the Elements of Teacher's Professionalism in Gifted Education)

  • 박경희;서혜애
    • 영재교육연구
    • /
    • 제17권1호
    • /
    • pp.77-98
    • /
    • 2007
  • 교사 전문성의 수준은 곧 교육의 질을 좌우하며, 영재교육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따라서 영재교육 교사 전문성에 대한 논의는 곧 영재교육의 질을 제고하는 방향 모색의 기반을 이룬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국내외 교사 전문성 관련 국내외 문헌을 고찰하여 영재교육 교사 전문성의 구성요소를 추출하였으며, 다음으로 요인분석을 통하여 교사 전문성의 구성요소를 지식기반, 능력기반, 상황기반 전문성으로 구분하였다. 마지막으로 2005년 한국교육개발원 영재교육 교사연수에 참여한 교사들을 대상으로 영재교육 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학교급별 및 교과별 교사 인식의 차이를 다변량 분석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중등 교사들이 초등 교사에 비해 전공 교과 전문지식 획득과 첨단지식 및 정보 습득 측면에서 또한, 과학 교사들이 수학 교사에 비해 영재교육 프로그램 개발 능력과 영재교육 평가방법의 전문성에 대한 중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 전문성 개발 프로그램의 콘텐츠별 필요성 및 효과성 인식 분석 (An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and Needs of the Contents of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 송경오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0호
    • /
    • pp.1-10
    • /
    • 2019
  • 이 연구는 교육환경 변화에 부응하는 콘텐츠 중심의 교사 전문성 개발 프로그램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에서 교사들의 전문성개발 프로그램 콘텐츠별 참여 실태와 필요성 및 효과성 인식 수준을 분석하였다. OECD의 교수-학습 국제조사 자료(TALIS)를 활용하여 중학교 교사 4,000명을 대상으로 교사들의 인식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교사들의 전문성 개발 참여율이 가장 높은 프로그램은 주로 교과내용 중심 콘텐츠인 반면에, 새롭게 요구되는 콘텐츠(ICT, 다문화 지도, 학교경영과 행정, 새로운 직업기술)의 경우 교사들의 전문성 개발 프로그램 참여율이 낮았다. 들째, 교사들의 프로그램 참여율이 낮았던 콘텐츠에 대해 필요성 및 효과성 인식 수준 역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교사경력에 따라 전문성 개발이 필요한 콘텐츠와 그 효과성을 달리 인식하고 있어 교사의 발달과정에 따라 전문성 개발 프로그램 콘텐츠를 다르게 접근해야 함을 시사하였다.

중등임용시험 '기계·금속' 과목의 출제방안 연구 (Study on the way how to make the recruiting Examination of 'Machinery·Metal' Subject in Technical High School.)

  • 최준섭;이승원;김종찬;정봉균;박상진;권차미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11-127
    • /
    • 2006
  • 이 연구에서는 공업계고등학교에서 기계 금속 과목을 담당할 교사 선발을 위한 교원임용시험의 기본 자료를 얻기 위하여, 교사 교육기관의 기계 및 금속의 교육과정과 공업 고등학교의 기계 금속과의 교육과정을 분석 하였다. 교육과정 분석을 통한 우수 교사 선발을 위한 현 중등 기계 금속 교원 임용시험의 범위와 내용 수준 등을 포함한 출제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중등 임용시험에 교원양성대학 및 공업계 고등학교의 교육과정을 반영하여 임용시험의 타당성을 높여야 한다. 둘째, 기계 금속 임용시험의 기본이수과목의 합리적인 재조정이 요구된다. 셋째, 기계 금속 임용시험 출제 영역 비율에 대한 근거가 마련되어야 하고 이해와 적용, 사고력을 요구하는 문항의 개발로 출제 수준을 개선해야 한다. 넷째, 영역별 전공교수에 따른 출제 경향의 편중을 막기 위하여 더 많은 수의 출제위원의 참여가 요구된다. 다섯째, 지필고사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실기능력평가를 추가 하는 임용시험 출제비율(안)을 제시하였다. 여섯째, 교사의 전문성을 확보하기 위한 장기적인 안목에서 기계 금속에서 기계 및 금속 영역으로, 각각 분리하여 선발해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