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ience Teaching Efficacy

검색결과 157건 처리시간 0.021초

탐구 기반 모의 수업 실연이 예비 교사들의 과학적 자기 효능감, 과학 내재 동기에 미치는 영향 (Enhancing Science Self-efficacy and Science Intrinsic Motivation through Simulated Teaching-learning for Pre-service Teachers)

  • 이현동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42권4호
    • /
    • pp.560-576
    • /
    • 2023
  • 이 연구에서는 교원양성 과정에서 예비 교사들이 수행하는 과학과 탐구 기반 모의 수업 실연에 대한 개선 방안을 도출하고, 예비 교사들이 개선 방안이 반영된 모의 수업을 실연하면서, 모의 수업 전과 후 과학적 자기 효능감에 따른 과학 내재 동기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으로는 현직 초등과 중등 교사 5인이 탐구 기반 모의 수업 실연 개선 방안 도출에, 교육대학교 3학년에 재학 중인 예비 교사를 대상으로 과학 내재 동기 차이 분석을 실시하였다. 탐구 기반 모의 수업 실연 개선 방안 도출에는 전문가 협의회에 계층분석과정(AHP)을 적용하였으며, 모의 수업 실연 전과 후 과학적 자기 효능감에 다른 과학 내재 동기 차이 분석에는 이원분산분석과 MANOVA 명령문을 통한 사후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탐구 기반 모의 수업 실연 개선에는 디지털·생태 소양과 민주 시민 의식 함양을 위한 활동과 과학과 핵심역량 함양을 위한 과학 탐구·학생 활동 중심의 수업·소집단 활동이 포함될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개선 사항을 반영하여 예비 교사들이 초등학교 과학의 '지구와 우주' 영역에서 7차시에 걸쳐 교수-학습 과정안을 작성하고 모의 수업을 실연하였다. 과학 내재 동기의 경우 모의 수업 전과 후, 과학적 자기 효능감의 모든 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모의 수업 실연 여부와 과학적 자기 효능감과의 상호작용 효과에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특히, 과학적 자기 효능감이 낮은 집단에서 모의 수업 실연에 따른 과학 내재 동기에 차이가 크게 나타난 것을 도출할 수 있었다. 학교 현장의 학생들의 과학 성취와 정의적 영역 향상을 위해서는 교사의 과학적 자기 효능감과 내재 동기 함양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예비 교사 교육과정에서부터 학교 현장성을 반영한 탐구 기반 모의 수업 실연을 실시할 필요성이 있음을 제안한다.

초등교사의 구성주의적 과학 평가관 및 관련 변인 탐색 (The Investiga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toward Constructivist Science Assessment and Their Relationship with Related Variables)

  • 노태희;윤지현;강석진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8권3호
    • /
    • pp.352-360
    • /
    • 2009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s among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f constructivist science assessment, views on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and the perceptions of constructivist science learning environment.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validate the factor structure of the perceptions of constructivist science assessment test. The test consisting of 3 factors with 21 questions in the previous research was reconstructed as one consisting of 2 factors with 22 questions as a result of the factor analysis. A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also conducted to predict the explanatory powers of the variables on perceptions of constructivist science assessment.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erceptions of constructivist science learning environment, views on constructivist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and personal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were the significant predictors of the perceptions of constructivist science assessment.

  • PDF

식물관찰 활동 및 관찰일지 쓰기를 활용한 수업에 대한 예비초등교사들의 반응 분석 (Analysis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Responses to Learning using Plant-observation Activities and Observation Journal Writing)

  • 김흥태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4권4호
    • /
    • pp.458-475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sponses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to the plant learning using plant-observation activities and observation journal writings. Thirty pre-service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Before and after practicing plant observation and observation journal writing for 11 weeks, pre-service teachers' interest to plants, attitude to plant-observation teaching, and plant-observation teaching efficacy were examined using a questionnaire. Also, the observation journals, reflective journal writings, and interviews were analyzed to investigate their qualitative change. In addition, the pre-service teachers were classified by multi-dimensional scaling and cluster analysis with respect to attitude to plant-observation teaching and observation journal writing, and teaching efficacy. While the pre-service teachers showed significant increase of the interest to plants and plant-observation teaching efficacy, and positive change of the attitude to plant-observation teaching, there was a little difference between gender with more positive effects on females. The positive attitude changes of pre-service teachers included positive recognition about plants and the diversity, increased interest and curiosity about plants, careful observation about nearby plants, and independent learning and positive inquiry with plants. In terms of teaching efficacy, they showed positive change such as enjoyment and satisfaction with plant-observation, confidence as elementary teachers in the future, and recognition about the importance of elementary teachers for plant education. However, the changes were different among the groups classified by attitude to plant-observation teaching and observation journal writings, and plant-observation teaching efficacy.

초등예비 교사의 스토리텔링 기법 적용이 과학개념 습득 및 과학교수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Storytelling Technique on pre-service teachers' Acquisition of Science Concept and Science Teaching Efficacy)

  • 이용섭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226-234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층과 암석' 강좌를 수강하는 초등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스토리텔링 기법 적용하여 과학개념 습득 및 과학교수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지층과 암석' 강좌를 수강하는 심화과정 1개 반(32명)을 대상으로 3월부터 6월까지 15주에 거쳐 실험처치를 하였다. 실험처치는 한 학기의 '지층과 암석'의 강좌를 수강하는 것이며 초등예비교사들이 모둠별 스토리텔링 기법으로 수업 시연을 하는 것으로 마무리 하였다. 연구의 결과 및 분석은 연구집단의 전-후 검사에서 대응 표본 t 검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와 논의를 바탕으로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예비 교사의 스토리텔링 기법 적용은 과학개념 습득에 효과가 있었다. 둘째, 초등예비 교사의 스토리텔링 기법 적용은 과학교수효능감 함양에 효과가 있었다. 셋째, 초등예비 교사의 스토리텔링 기법 적용 수업은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초등학교 예비 수학교사들의 수학 교수 효능감 실태 분석 (Analysis of Preservice Elementary Mathematics Teachers' Efficacy on Mathematics Teaching)

  • 강문봉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35-53
    • /
    • 2016
  • 이 연구는 우리나라 초등학교 예비 수학교사들의 수학 교수 효능감이 어느 정도인지를 분석한 것이다. 강문봉과 김정하가 개발한 효능감 측정 도구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3개 교육대학의 수학교육과 2학년과 4학년 164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예비 초등 수학교사들의 수학 교수 효능감은 약간 긍정적인 수준에 있으며, 남녀 또는 고등학교 때의 이수 계열이나 대학교의 학년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지역간에 어느 정도 유의한 차이가 드러났으며, 특히 사회문화적 영향에 대한 신념은 다른 요인에 비해 상당히 낮게 나타났다.

초등학교 교사들의 과학 교수 방법에 영향을 미치는 과학에 대한 학문적 배경, 과학 교수에 대한 태도, 과학 교수 효능에 대한 신념의 상호 관계성 조사 (I) - 양적 연구를 중심으로 - (An Investigation of the Relationships among College Backgrounds in Science, Attitudes toward Teaching Science, Science Teaching Self-Efficacy Beliefs, and Instructional Strategi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 - Based on a Quantitative Data Analysis -)

  • 박성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542-561
    • /
    • 2000
  • 교사들의 전문적인 자질 향상과 교사 양성과정과 재교육 과정의 변화를 위한 기본 방향을 제시하고자하여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교사들의 과학에 대한 학문적 배경, 과학 교수 태도, 과학 교수 효능에 대한 신념, 과학 교수법의 관계를 양적, 질적인 방법으로 조사하였다. 양적 연구 방법은 초등학교 교사들의 과학에 대한 학문적 배경(고등학교 때 이수한 과학과목의 수와 성취도, 교사양성 기간 중 이수한 과학과목과 과학교육과목의 수와 성취도), 과학 교수 태도, 과학 교수 효능에 대한 신념(과학 교수 자기 효능감과 과학 교수 결과의 기대감), 과학 교수법(비지시적, 지시적, 혼합형 교수법)의 활용을 각각 측정도구로 조사하였고 각각의 변인들간의 상관 관계를 Pearson 상관 계수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들이 고등학교 때 이수한 과학과목의 성취도, 교사양성 기간 중 이수한 과학과목과 과학교육과목의 수는 과학교수 태도와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둘째, 교사들이 고등학교 때 이수한 과학과목의 성취도, 교사양성 기간 중 이수한 과학과목의 수와 과학교육과목의 성취도는 과학교수 자기 효능감과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셋째, 교사들이 고등학교와 교사양성 기간의 과학과목 성취도는 비지시적인 교수법과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넷째, 교사들이 고등학교 때 이수한 과학과목의 수와 성취도, 교사양성 기간 중 이수한 과학 과목과 과학 교육 과목 성취도는 혼합형 교수법과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다섯째, 교사들의 과학교수 태도와 과학교수 자기 효능감과 과학교수 결과의 기대감과는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여섯째, 교사들의 과학교수 자기 효능감과 비지시적 교수법과 혼합형 교수법과는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 관계를 나타내었다. 일곱째, 초등학교 교사들의 과학교수 태도와 비지시적 교수법과 혼합형 교수법은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효과 있는 교수법의 개발 연구, 과학교수 효능의 신념과 과학교수 태도의 개발 연구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및 상관 연구가 계속되기를 기대한다.

  • PDF

Short-term ICT Training Program for Non-Computer Science Major Teachers in Developing Countries for Improving ICT Teaching Efficacy

  • Jeon, Yongju;Song, Ki-Sang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7권2호
    • /
    • pp.73-85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hort-term ICT training course that helps teachers from non-computing disciplines in developing countries acquire flipped-learning content creation skills. A field application is performed by applying the developed ICT training course to secondary school teachers of non-ICT subject specialisms in Laos. In the field study, participating teachers' teaching efficacy on ICT and satisfaction toward the training course are measured. The result of t-test on ICT teaching efficac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s in teachers' self-efficacy related to ICT use, both personal efficacy and outcome expectancy. The satisfaction survey performed after training showed that trainees were highly satisfied with the training course. The results of this field study could be used to propose a short-term teacher education model that could be applicable to teachers in other developing countries.

초등 예비교사와 교사의 교직 전문성과 과학교수 전문성에 대한 인식 (The perceptions on the professionalism of teaching profession and science teaching of pre-service and inservice elementary teachers)

  • 임희준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7권3호
    • /
    • pp.538-549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교육대학교의 과학 심화전공 예비교사 및 과학교육과 대학원에 재학 중인 교사들의 교직 전문성에 대한 인식, 초등 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았다. 또한, 과학 심화전공자로서 초등 과학교육에 대한 전문성에 대한 인식을 고찰하고, 이러한 인식이 과학교수의 효능감과 관련이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수도권에 소재한 한 교육대학교의 과학교육과 예비교사 2학년 64명, 4학년 53명, 과학교육과 대학원에 재학 중인 교사 23명으로 총 140명이었다. 검사도구는 5점 리커트 척도로 구성된 교직 전문성 인식 검사 도구, 과학교수 효능감 검사 도구 및 초등 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인식과 초등 과학교육의 전문성 인식에 대한 서술형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분석 결과, 교직 전문성에 대한 인식은 비교적 높았으며, 특히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 장기간의 전문적 교육, 교사로서의 자율성과 책무성에 많은 의미를 부여함을 알 수 있었다. 교직 전문성 및 일부 하위 영역에서 예비교사 2학년의 인식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 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인식은 대부분 긍정적이었으며, 과학 심화전공자로서 초등 과학교육에 대한 전문성은 그에 비해 인식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 과학교육 전문성 인식 여부로 집단을 나누었을 때, 전문성에 대한 인식이 높은 집단이 과학교수 효능감도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초등교사교육에서의 과학 교과 전문성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PDF

유아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 및 놀이 민감성이 유아의 놀이몰입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 Teaching Efficacy and Play Sensitivity on Young Children's Play Flow)

  • 최인숙
    • 보건의료생명과학 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49-57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 및 놀이 민감성과 유아의 놀이몰입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놀이교수효능감 및 놀이 민감성이 유아의 놀이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J도에 위치한 유치원,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유아교사 35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연구도구는 교사를 대상으로 한 '놀이교수 효능감' 및 교사 놀이민감성 척도'와 유아를 대상으로 한 '유아놀입몰입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놀이교수효능감 및 놀이 민감성과 유아의 놀이몰입간의 상관 관계는 교사의 놀이민감성 하위요인 중 놀이 관찰과 유아놀이몰입 하위 요인 중 시간감각의 변형 외 모든 변인 간에 정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 및 놀이 민감성이 유아의 놀이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본 결과 부분적으로 정적인 상관을 나타내었다.

간호학과 교수의 직무 스트레스와 교수 효능감이 조직 몰입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Job Stress and Teaching Efficacy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Nursing Professors)

  • 전영희;조정화;보사드경희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167-174
    • /
    • 2021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how job stress and teaching efficacy impacted organizational commitment. Methods: Data were collected from 158 nursing professors via an online survey, from Jan to June 2019. Results: The study found that four factors affected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nursing professors: i) type of nursing institution in which they are currently employed (β=-.16, p=.030), ii) position as an assistant professor (β=-.37, p=.012) and an associate professor (β=-.44, p=.002), iii) salary in the 50-59 million won range (β=.20, p=.024), and above 60 million won (β=.41, p<.001), and iv) professor's teaching efficacy (β=-.18, p<.016). Conclusion: To increase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four-year university professors, job characteristics should be considered. In the case of lower positions and salaries, additional compensation and programs that increase school affiliation should be introduced. Teaching methods training, lecture evaluation monitoring programs, and clinical training may also improve teaching effica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