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Storytelling Technique on pre-service teachers' Acquisition of Science Concept and Science Teaching Efficacy

초등예비 교사의 스토리텔링 기법 적용이 과학개념 습득 및 과학교수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 Received : 2017.07.31
  • Accepted : 2017.08.21
  • Published : 2017.08.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application of storytelling on pre-service teachers of elementary school who take courses in 'earth's strata and rock' on science teaching concept and science teaching efficacy. The experiment was aimed at one class (32 students) enrolled in the 'earth's strata and rock' course at intensive course through 15 weeks from March to June. The experiment was taking lectures of "earth's strata and rock" for one semester, and the pre-service teachers of elementary school finished class demonstration with storytelling technique by group. The results and analysis of the study were analyzed by the corresponding sample test in before and after the group test. The conclusion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application of storytelling method on pre-service teachers of elementary school was effective in science concept. teaching efficacy. Second, the application of storytelling method on pre-service teachers of elementary school was effective in science teaching efficacy. Third, the application of storytelling method on pre-service teachers of elementary school responded positively.

본 연구의 목적은 '지층과 암석' 강좌를 수강하는 초등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스토리텔링 기법 적용하여 과학개념 습득 및 과학교수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지층과 암석' 강좌를 수강하는 심화과정 1개 반(32명)을 대상으로 3월부터 6월까지 15주에 거쳐 실험처치를 하였다. 실험처치는 한 학기의 '지층과 암석'의 강좌를 수강하는 것이며 초등예비교사들이 모둠별 스토리텔링 기법으로 수업 시연을 하는 것으로 마무리 하였다. 연구의 결과 및 분석은 연구집단의 전-후 검사에서 대응 표본 t 검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와 논의를 바탕으로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예비 교사의 스토리텔링 기법 적용은 과학개념 습득에 효과가 있었다. 둘째, 초등예비 교사의 스토리텔링 기법 적용은 과학교수효능감 함양에 효과가 있었다. 셋째, 초등예비 교사의 스토리텔링 기법 적용 수업은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문숙, 김석우(2012). 내러티브 스토리텔링의 교육적 효용성에 대한 학습자 인식 연구, 사고개발, 8(2), 83-105.
  2. 강문숙, 박수홍(2012). 예비보육교사를 위한 스토리텔링 기반 수업모형 개발 기초연구. 교사교육연구, 51(3), 440-454.
  3. 교육부(2015). 2015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4. 김동렬(2015). 초등 예비교사들의 생명영역 탐구 수행 경험이 과학자 이미지와 과학 교수 불안에 미치는 영향. 과학교육연구지, 39(1), 1-14.
  5. 김은정(2011). 가정교과에서의 스토리텔링(storytelling) 을 활용한 수업 설계 방안.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23(1), 143-157.
  6. 김효남(2016). 초등예비교사들의 과학과 모의수업에 대한 동료평가분석. 과학교육연구소, 22(1), 69-78.
  7. 김효남과 명전옥(2009). 예비초등교사의 과학 정의적 특성과 과학교수 자아효능감과의 상관관계. 한국과학교육학회, 2008(1), 105-105.
  8. 손정우, 정은주(2013). 탐구적 과학글쓰기를 활용한 스토리텔링 교수․학습 방법의 개발 및 적용. 교과교육학연구, 17(3), 709-727.
  9. 신원섭(2016). 초등과학 탐구수업이 초등예비교사의 과학에 대한 태도, 과학 교수학습관 및 과학교수 개인 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생물교육학회, 44(3), 555-568.
  10. 이석희, 이용섭(2012). 스토리텔링 기법을 적용한 '태양계와 별' 수업이 과학동기와 공간지각능력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105-113.
  11. 이용섭, 김순식(2016). 초등 예비교사의 협력 과학수업이 과학교수효능감 및 과학지식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9(3), 341-351. https://doi.org/10.15523/JKSESE.2016.9.3.341
  12. 전경문(2006). 과학과 교육 강의에서 예비 초등교사들의 학습환경에 대한 인식과 과학 교수효능감. 초등과학교육, 25(1), 8-14.
  13. Chantal, V., Petra, F., & Jules, P. (2014). Teacher Training and Pre-service Primary Teachers' Self-Efficacy for Science Teaching.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25(4), 445-464. https://doi.org/10.1007/s10972-013-9363-y
  14. Cinici, A. C. (2016). Pre-service Teachers' Science Teaching Self-efficacy Beliefs: The Influence of a Collaborative Peer Microteaching Program. Mentoring & Tutoring, 24(3), 228. https://doi.org/10.1080/13611267.2016.1222812
  15. Deepika, M., & Sadler, T. D. (2016).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Science Self-Efficacy Beliefs and Science Content Knowledge.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27(6), 649-673. https://doi.org/10.1007/s10972-016-9479-y
  16. Franks, B. A., & McGlamery, S. L. (2016). Effects of Teaching in a Science Summer Camp on the Science Self-efficacy of Pre-service Teachers. Delta Kappa Gamma Bulletin, 82(3), 63-73.
  17. Lardy, C. H. (2011). Personal Science Teaching Efficacy and the Beliefs and Practices of Elementary Teachers Related to Science Instruction. University of California Publishing 3457727.
  18. Serkan, K. (2016). Guided Inquiry-Based Electricity Experiments: Pre-service Elementary Science Teachers' Difficulties. Journal of Education and Future, 10, 71-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