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ience Learning Motivation

검색결과 466건 처리시간 0.032초

과학영재아동의 창의성과 동기와의 관계 -전라북도 과학영재교육원 영재아동을 대상으로-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reativity and Motivation of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 허진휴;이영환
    • 영재교육연구
    • /
    • 제18권2호
    • /
    • pp.343-363
    • /
    • 2008
  • 본 연구는 과학영재교육원에 선발된 과학영재아동 297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창의성과 동기와의 관련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본 연구대상 과학영재아동은 창의적 특성과 학습동기가 높고 도전적인 상황에서 회피하기보다 적극적으로 대처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외부적 동기인 경쟁동기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과학영재 여학생의 창의성 점수가 남학생보다 높았으며, 반면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경쟁동기가 더 높았다. 세째, 과학영재아동의 창의적 동기는 학습동기와는 정적상관을, 회피동기와는 부적인 상관을, 그리고 경쟁동기와는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따라서 영재아 지도에 있어서 경쟁이나 비교보다 자발적인 동기와 흥미를 갖는 과제를 학습하도록 하여야 함을 시사한다.

플립드 러닝을 적용한 '임신, 분만 및 산욕간호' 수업경험: 혼합연구 (Class Experience of the Students on 『Pregnancy, Delivery and Puerperium』 Nursing Course through Flipped Learning: Mixed Method Research)

  • 이병주;황선영
    •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21-232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pplicability of a flipped learning course in Women's Health Nursing for nursing students. Methods: A total of 200 senior nursing students participated in flipped learning class of pregnancy, delivery and postpartum area, which included team-based learning and self-reflection for 8 weeks. One group pre-post test design was adopted and the changes in learning motivation and satisfaction were examined. In addition, reflective journals of the students were analyzed by making a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Results: Students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score of learning motivation in the posttest (t=-4.47, p<.001). They had a mean of 3.90 in learning satisfaction out of possible five points. As a result of content analysis, three themes were selected: 'Improved attitude toward active learning', 'Burden caused by excessive workload', and 'Valuing to the team-based activity' To be specific, six sub-themes were selected, with three positive and three negative categories: 'improved class attention and understanding', 'positive class participation by preparing lessons in advance', 'peer interactions through discussion', 'A lot of time and effort consuming', 'stress caused by the burden of preparing lessons', and 'difficulties in cooperative activities'. Conclusion: This study supports and confirms that the flipped learning can be a creative instructional model of positive teaching-learning strategy in clinical nursing courses to enhance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과학 학습시 중.고등학생들이 선호하는 동기 유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ferable Motivation Types in Science Learning of the Secondary School Students)

  • 김정석;권혜련;장남기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477-485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referable motivation types in science-learning an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ypes and scientific achievement of students in the secondary school.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the second grade 581 students sampled by random cluster sampling method in three middle schools and three high schools. Three motivation types in science learning were analyzed, and they were named to task-orientation, ego-orientation and work-avoidance. From our results, secondary school students preferred task-orientation and work-avoidance to ego-orientation. In the case of task-orientation, high school students, especially in male group, had much preferable tendency than that of middle school students (p<0.001). It is interpreted that, as the level of scientific content of texts or the cognitive level of students were higher, a preference for the motivation type was focused to the task-orientation, especially in male group. In the case of ego-orientation, the female group showed much preferable tendency than that of male group in middle school (p<0.05). However, the female group in high school students was not different from the other groups in this motivation type. In the case of work-avoidance, there were not only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ales and females in the middle school (p<0.001), but also difference betwee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female group (p<0.05). It showed that female group had much preferable tendency than that of male group, and this tendency was decreased to the higher grade students in secondary school. From the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motivation types and scientific achievement, task-orientation and work-avoidance were correlated to the scientific achievement. Its results were interpreted that the scientific achievement could be accomplished by the external motivation stimulus as well as the scientific content of texts. The task-orientation were comparatively correlated to the intelligence quality. It means that the students having high intelligence quality showed much preferable for the task-orientation.

  • PDF

초등학교 과학수업에서 교사의 학습 동기 전략 분석 (Analyses of Teachers교 Learning Motivation Strategies in Elementary Science Classes)

  • 김동욱;이성숙;강대훈;백성혜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3권1호
    • /
    • pp.50-60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fine teachers' learning motivation strategies and students' responses by analyzing science classes and interviews. The subjects were first grade and sixth grade teachers and students of an elementary school. The analysis tools are based on Keller's ARCS theory. The differences of teachers' motivation strategies were analyzed by grades and teachers' and students' backgrounds. The interviewers were composed of three teachers and three students of first grade, and three teachers and three students of sixth grade. The data were collected by recording of the classes using tape recorders, video cameras, and notebooks written by researcher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had their own styles of teaching strategies in their classes. Especially teachers' teaching backgrounds affected on the teachers' instructional strategies. The teachers who had long teaching experiences of lower grade students used to show a lot of attention strategies. While the teachers with long teaching experiences of higher grade students used to show few learning motivation strategies. Especially, sixth grade teachers used to show fewer confidence strategies than first grade teachers. Second, all of the teachers used to show few satisfaction strategies commonly in all the classes observed. Third, the students' recognition of the motivation strategies were not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conceptions or activities of the classes. Commonly first grade students focused on the attention strategies, while sixth grade students focused on negative motivation strategies. Fourth, the teachers who believed that students need detail guidance and control recognized the needs of satisfaction strategies by students' autonomous activities after observing video tapes of other teachers' classes.

  • PDF

중학교 과학 수업에서 학생들의 구조화된 상호작용을 유도하기 위한 상호동료교수 전략의 효과 (The Effect of Reciprocal Peer Tutoring Strategy for Inducing Structured Students' Interaction in Middle School Science Instruction)

  • 노태희;김소연;김경순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65-471
    • /
    • 2005
  • 이 연구에서는 과학 성취도, 과학 학습 동기, 자아존중감의 측면에서 상호동료교수 전략의 효과를 조사하였다. 남녀 공학 중학교에서 2학년 3학급(94명)을 비교 집단, 협동학습 집단, 상호동료교수 집단으로 배치하였다. '혼합물의 분리' 반원에 대하여 13차시 동안 수업을 실시하였다. 이원 공변량 분석 결과, 과학 성취도 검사에서 상호동료교수 집단의 점수가 비교 집단에 비해 높았음에도 불구하고, 세 집단간에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과학 학습 동기의 모든 하위 영역에서는 상호동료교수 집단의 점수가 비교 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특히, 과학 학습 동기의 자신감 영역에서는 상호동료교수 집단의 점수가 다른 두 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았다. 자아 존중감에서는 상호동료교수 집단 하위 학생들의 점수가 협동학습 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았다.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유능성, 자기결정성동기가 자기조절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s on the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due to Nursing Students'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 조혜경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475-483
    • /
    • 2018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대인관계유능성, 자기결정성동기, 자기조절학습능력과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이를 위해 C도에 소재하는 대학의 간호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2018년 6월부터 7월까지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부적절한 응답지를 제외한 251명의 설문지를 SPSS/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인관계 유능성(r=.361, p<.001)과 자기결정성동기(r=.466, p<.001)는 자기조절학습능력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고, 대인관계유능성과 자기결정성동기의 상관관계는 유의하지 않았다(r=.091, p=.148). 대인관계유능성과 자기결정성동기는 자기조절학습능력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요인이었으며, 설명력은 38.7%이었다. 본 연구를 통해서 확인된 결과를 바탕으로 대인관계유능성과 자기결정성동기를 강화시키고, 자기조절학습능력을 향상시키는 관련요인들을 분석하여 요인들의 융합을 통한 새로운 교육법 개발을 위한 연구가 시도되어야 할 것이다.

호텔.외식조리 관련학과 학생들의 학습동기 및 자기조절학습능력에 관한 연구 - 대구.경북 지역 전문대 학생을 중심으로 - (A Study on Learning Motivat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 of Students in Hotel and Food Service Related Departments - Focused on College Students in the Daegu.Gyeongbuk Areas -)

  • 김기진;김향희;정외숙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130-146
    • /
    • 2010
  • 본 연구는 전문대 호텔 외식조리 관련학과 학생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학습동기와 자기조절학습능력의 차이를 알아보고, 학습동기와 자기조절학습능력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조사는 대구지역의 3개 전문대 호텔 외식조리 관련학과 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267부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먼저 학습동기에 대해 설펴보면, '졸업 후 취업'이라는 동기가 강한 학생은 20~24세로 나타났고, '학습의 기쁨'에 대한 동기는 연령이 높을수록 강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졸업 후 취업', '대학생활의 즐거움'의 동기가 높은 학생이 낮은 학생보다 자격증을 더 많이 취득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조절 학습능력은 대체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높고, 학년과 연령이 높을수록 더 높게 나타났으며, 현장 실습 경험이 있는 학생이 없는 학생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인지전략', '메타인지 전략', '성취가치'의 수준이 높은 학생이 낮은 학생보다 취득한 자격증이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동기와 자기조절학습능력의 상관관계는 학습동기 중 '무동기'를 제외하고는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다. '무동기'는 자기조절학습능력의 모든 요인과 부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 PDF

Designing a Micro-Learning-Based Learning Environment and Its Impact on Website Designing Skills and Achievement Motivation Among Secondary School Students

  • Almalki, Mohammad Eidah Messfer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1권12호
    • /
    • pp.335-343
    • /
    • 2021
  • The study aimed to elucidate how to design a learning environment on the premise of micro-learning (ML) and investigate its impact on website designing skills and achievement motivation among secondary school students. Adopting the experimental approach,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n achievement test, a product evaluation form, and a test to gauge motivation for achievement. The sample was divided into two experimental groups. Results reveal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t 0.05≥α between the mean scores of the two groups that experienced ML, irrespective of the two modes of presenting the video in the pre-test and post-test, as for the test of websites design skills, product evaluation form, and achievement motivation test. Besides, there have been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t 0.05≥α between the mean scores of the first experimental group that had exposure to ML using the split-video presentation style and the scores of the second experimental group that underwent ML using continuous video presentation style in the post cognitive test of website design and management skills in favor of the group that had segmented-video-presentation ML. Another salient finding is the nonexistence of significant differences at 0.05≥α between the mean scores of the first experimental group that underwent segmented-video-presentation ML and the grades of the second experimental group that received ML with continuous video presentation style in the post-application of the product scorecard of websites designing skills and the motivation test. In light of these salient findings, the study recommended using ML in teaching computer courses at different educational stages in Saudi Arabia, training computer and information technology teachers to harness ML in their teaching and using ML in designing courses at all levels of education.

과학 글쓰기를 활용한 수업이 중학생들의 과학 관련 태도, 학습 동기 및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cience Writing on Middle School Students' Science - related Attitude,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 신정인;신예진;윤회정;우애자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511-521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과학 수업의 정리 단계에서 글쓰기를 강조한 수업이 학생들의 과학 관련 태도, 학습 동기 및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경기도 소재 중학교 1개교의 2학년 학생 127명을 연구 대상으로 총 30차시에 걸쳐 수업을 진행하였다. 수업 정리 단계에서 실험반은 학습 목표와 연관된 과학 개념을 글쓰기로 정리하였고, 비교반은 문제 풀이로 정리하였다. 학생들의 과학 관련 태도는 TOSRA를 수정 보완한 과학 관련 태도 검사지, 과학 학습 동기는 PALS와 MSLQ를 수정 보완한 과학 학습 동기 검사지, 학업 성취도는 학교의 지필 평가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 관련 태도 검사 결과, 과학 글쓰기 수업은 학생들의 전체적인 과학적 태도 함양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p<.05). 특히, 하위 영역에서는 학생들의 '과학 탐구에 대한 태도'와 '과학 수업의 즐거움', ' 과학에 대한 적극성'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p<.05). 둘째, 과학 학습 동기 검사 결과, 과학 글쓰기 수업은 학생들의 전체적인 학습 동기를 유의미하게 향상시켰으며(p<.05), 하위 영역에서는 '과제에 대한 가치'와 '자기 효능감'에 효과가 있었다. 셋째, 과학 글쓰기를 활용한 수업은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특히 상위 수준의 학업 성취도 집단에 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융복합 블렌디드 러닝 환경에서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력, 학습동기가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Motivation on Learning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in Convergence Blended Learning Environment)

  • 서남숙;우상준;하윤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9호
    • /
    • pp.11-19
    • /
    • 2015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학습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한 학습전략으로써 블렌디드 러닝을 적용하여 자기주도학습력, 학습동기, 학습만족도와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고 학습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기 위해 시도된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D대학교 성인간호학 수업에 참여하는 학생 140명으로 7주 동안 면대면 수업과 6주 이러닝 수업을 진행한 후 2014년 6월 9일부터 6월 14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일반적 특성에 따른 변수들의 차이는 없었으며, 학생들의 학습만족도는 자기주도학습력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r=.25, p=.003). 자기주도학습력이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 요인으로 설명력은 22.1%로 나타났다(F=20.74, p<.001). 본 연구를 통해 간호대학생의 학습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자기주도학습력을 고려한 블렌디드 러닝 콘텐츠 개발이 요구되고 다양한 블렌디드 러닝 운영방법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