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ience Learning Motivation

검색결과 466건 처리시간 0.027초

초등학교 과학 수업에서 대본을 사용한 협동학습의 효과 (The Effects of Scripted Cooperative Learning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Instruction)

  • 고한중;강석진;문소현;한재영;노태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459-467
    • /
    • 2004
  • 이 연구는 초등학교 과학 수업에 대본을 사용한 협동학습의 적용하여 그 효과를 조사하였다. 6학년 3개 학급 95명을 대상으로 '여러 가지 기체' 단원 총 9차시에 대하여 전통수업, 협동수업, 대본을 사용한 협동수업을 실시한 후, 학업 성취도, 과학 학습 동기, 과학 수업에 대한 태도를 비교하였다. 이원 공변량 분석 결과, 학업 성취도에서 수업 처치와 성취 수준 사이에 유의미한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성취 수준 하위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 점수는 대본을 사용한 협동학습 집단이 다른 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 또한 과학 학습 동기와 과학 수업에 대한 태도 점수도 대본을 사용한 협동학습 집단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게임을 활용한 과학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 학습 동기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cience Class with Game on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of Elementary Students)

  • 유은주;소금현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0권2호
    • /
    • pp.103-115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게임을 활용한 과학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 학습 동기 및 학업성취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3학년 2개 반을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선정하여 연구집단에서는 게임을 활용한 수업으로 과학수업을 처치하였고, 비교집단에서는 교사용 지도서에 따르는 일반적인 수업을 진행하였다. 실험 처치 기간은 8주로 11차시에 걸쳐 게임을 활용한 과학수업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게임을 활용한 과학수업은 과학 학습 동기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둘째, 게임을 활용한 초등과학수업은 과학 학업성취도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또한 인터뷰를 통해 수업에서 소외되던 학생들이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되고 학습동기를 가지게 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협동적인 컴퓨터 보조 수업이 중학생들의 과학 학습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Cooperative Computer-Assisted Instruction on Middle School Students' Learning in Science)

  • 노태희;김창민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266-274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협동적인 CAI와 개별적인 CAI가 중학생들의 과학 개념, 학업 성취도, 수업 환경에 대한 인식, 그리고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였다. 중학교 3개 학급을 대상으로 분자 운동 단원에 대해 5차시 동안 협동적 CAI, 개별적 CAI, 전통적 수업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개념, 수업 환경에 대한 인식, 학습동기 검사에서 협동학습 집단의 평균이 전통적 수업 집단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개념의 파지 검사에서 협동학습 집단의 개념 이해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개념의 파지 및 학습동기 검사에서 수업 처치와 사전 성취 수준 사이의 상호작용 효과가 있었다. 이에 대한 교육학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 PDF

Fostering growth: The impact of STEM PBL on students' self-regulation and motivation

  • Hyunkyung Kwon;Robert M. Capraro;Yujin Lee;Ashley Williams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27권1호
    • /
    • pp.111-127
    • /
    • 2024
  • There is an increasing concern in the United States regarding the workforce's ability to maintain a competitive position in the global economy. This has led to an increased interest in effective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nd mathematics (STEM)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TEM project-based learning (PBL) on students' self-regulation and motivation to learn. Secondary students (n = 60) participated in a STEM summer camp in which STEM PBL was utilized. Results showed that students increased their self-regulation skills (t = 2.83, df = 59, p = .004) and motivation (t = 2.25, df = 59, p =.004), with Cohen's d effect sizes of 0.395 and 0.404, respectively. Student-centered learning and peer collaboration while solving real-world problems were likely the greatest contributing factors to the outcomes. Educators should utilize the results to provide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experience STEM PBL.

비디오활용 사례기반학습이 간호대학생의 임상의사결정능력 및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Case-Based Learning Using Video on Clinical Decision Making and Learning Motivation in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 유문숙;박진희;이시라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863-871
    • /
    • 201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case-base learning (CBL) using video on clinical decision-making and learning motivation. Methods: This research was conducted between June 2009 and April 2010 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non-synchronized design. The study population was 44 third year nursing students who enrolled in a college of nursing, A University in Korea. The nursing students were divided into the CBL and the control group. The intervention was the CBL with three cases using video. The controls attended a traditional live lecture on the same topics. With questionnaires objective clinical decision-making, subjective clinical decision-making, and learning motivation were measured before the intervention, and 10 weeks after the intervention. Results: Significant group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clinical decision-making and learning motivation. The post-test scores of clinical decision-making in the CBL group were statistically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Learning motivation was also significantly higher in the CBL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BL using video is effective in enhancing clinical decision-making and motivating students to learn by encouraging self-directed learning and creating more interest and curiosity in learning.

Circle Map를 활용한 초등학교 과학수업이 학습 동기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lementary Science Teaching Program with Circle Map on Learning Motive and Learning Achievement)

  • 홍유경;이석희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9권3호
    • /
    • pp.799-810
    • /
    • 2017
  • In this study, to raise the scientific literacy for students,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 was developed by applying the Circle Map.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 of Elementary Science Teaching Program with Circle Map on Learning Motive and Learning Achievement. To this end, the 6th grade classroom of A-elementary school located in Jeju-city was selected the experimental group (25 patients). And the other 6th grade classroom in the same school was selected to the comparative group (25 patients). The experimental group was conducted applying the Circle Map. Comparison group has been conducted lesson program in accordance with the general science class teacher guide. Was through a pre-test of science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level can be assumed in the same group. After completing the experimental treatment by conducting a post-mortem examination was statistically validated. In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First, elementary science class which applied Circle Map had the effect of to improve the scientific motivation(p <.05). In particular, associat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higher than the scores of the comparative group, the difference was significant. Second, the Circle Map applied to elementary science clas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improving science achievement.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applied Circle Map was higher than the comparative group in science achievement post-test comparison. Between the group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p <.05). The above findings, Elementary science class which applied Circle Map can be concluded to be effective in science and science achievement motivation. Therefore, applying the Circle Map of elementary science class could be useful in scienc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 addition, when it is determined through the previous study, applying the Circle Map classes will be able to derive a meaningful learning also subjected to a number of fields and areas.

중학교 과학수업에 적용된 플립러닝(Flipped Learning)의 효과 (The Effects of Flipped Learning on Learning Outcomes in Middle School Science Course)

  • 이정민;노지예;정연화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263-272
    • /
    • 2016
  • 본 연구는 중학교 과학수업에서 플립러닝을 적용하고 과학성취, 과학흥미, 내재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의 남자 중학교 1학년 학생 90명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고, 플립러닝 수업(실험집단)과 강의식 수업(통제집단)을 진행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공분산분석(ANCOVA)을 통해 평균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플립러닝으로 적용한 집단의 과학성취, 과학흥미의 평균이 강의식 수업집단의 평균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나, 두 집단의 내재학습동기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플립러닝의 효과성을 검증하고, 과학교육에서 플립러닝에 대한 이해를 확장시켰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간호 술기 수행평가에서 실제 성취도, 지각된 성취도와 학습 동기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s among Learning Motivation, Perceived Achievement, and Actual Achievement on Nursing Skill Performance Assessment)

  • 김은정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48-56
    • /
    • 2017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perceived and actual achievement on skill performance assessment and identify the relation to learning motivation factors. Methods: A total of 80 senior nursing students currently studying at a university participated in the study in 2015. Students completed a performance examination of 20 nursing skills at the end of their 7-week training period; their performance was rated using checklists. Students then completed a survey, which included questions about learning motivation and perceived achievement level.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and Kruskal-Wallis test. Results: There was a weak correlation between perceived and actual achievement. Intrinsic and extrinsic goal-orientation and self-efficacy in learning motivation factors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to perceived achievement. Perceived achievement and self-efficacy in middle quartile of actual achievement were higher than other upper- or lower-quartile group. Conclus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motivation factors of learners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to maximize academic achievement in nursing skills training. In addition, it should be considered a strategy to reduce the gap between perceived and actual achievement.

과학 교과에서 학습 동기 전략을 활용한 4E&E 순환학습모형의 개발 (Development of 4E&E Learning Cycle Model using Learning Motivation for School Science)

  • 하태경;심규철;김현섭;박영철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527-545
    • /
    • 2008
  • 본 연구는 과학교육에서 학습동기 요소를 활용한 4E&E순환학습모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본 모형은 동기설계와 수업설계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4E&E순환학습모형은 유인(Engage), 탐색(Exlpore), 설명(Explain), 확장(Expand) 등의 4단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단계마다 평가(Evaluate)와 feed-back을 통해 순환적으로 진행된다. 그리고 4E&E순환학습 모형은 수업과정 중에 평가와 피드백을 통한 지속적으로 학습에 대한 점검이 이루어지는 특징을 갖고 있어 효과적으로 학습 목표에 도달할 수 있다. 특히, 4E&E순환학습 모형은 학습동기유발전략을 활용하여 수업을 설계하고 실시함으로써 수업에 대한 매력도를 높이고 학습에 집중할 수 있어 과학교육에서 매우 효과적인 모형이라 할 수 있다.

초등 과학 협동학습에서 유화성을 고려한 소집단 구성의 효과 (The Effect of Grouping on the Basis of Students' Agreeableness in Cooperative Elementary Science Classes)

  • 강석진;서아영;권혁순
    • 대한화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270-278
    • /
    • 2007
  • 이 연구에서는 협동학습에서 학생의 유화성 수준을 고려한 집단 구성이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의 과 학 성취도, 자아효능감, 과학 학습 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다. 1개 초등학교의 6학년 3개 학급 학생 72명 을 학급 단위로 통제 집단과 처치 집단으로 임의 배정했다. 사전 검사로 유화성 검사, 자아효능감 검사, 과학 학 습 동기 검사를 실시했다. 처치 집단의 학생들은 유화성 수준에 따라 동질 혹은 이질적으로 소집단을 편성한 후, 협동학습 전략에 따라 수업을 실시했다. 반면, 통제 집단 학생들은 임의로 소집단을 편성한 후, 전통적인 방 식으로 수업을 실시했다. 협동학습 처치는 5주(16차시) 동안 실시했다. 수업 처치가 끝난 후, 성취도, 자아효능 감, 과학 학습 동기 검사를 실시했다. 연구 결과, 이질 집단과 동질 집단의 성취도 검사 점수가 통제 집단에 비 해 유의미하게 높았지만, 유화성 수준에 따른 집단 구성은 성취도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자아효능감과 과학 학 습 동기 검사에서는 수업 처치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