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chool Library Instruction

검색결과 122건 처리시간 0.03초

학교도서관 독서교육방법으로서의 구성주의 학습이론 적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n Application of Constructivism to Reading Instruction in the School Library)

  • 서진원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265-289
    • /
    • 2012
  • 본 논문은 학교도서관 독서교육에 관한 연구이다. 독서교육은 학교도서관의 중요한 역할 중의 하나이다. 구성주의는 현대의 중요한 학습이론으로 각 교과의 학습에 적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구성주의의 학습원칙을 학교도서관의 독서교육에 적용하였다. 독서교육은 오늘날 독서전략에 관심을 가지고 발전하고 있으며, 주로 국어과 독서교육에서 연구되어 왔다. 여러 문헌들의 독서전략들을 조사하고, 이를 Westhoff가 제안한 방식으로 범주화하여 학교도서관의 독서교육과정에 적용하였다. 구성주의 학습원칙은 강인애가 정리한 것을 중심으로 적용하였으며, 독서교육과정은 한국도서관기준의 학교도서관 정보이용교육단계를 기준으로 하였다. 학교도서관의 정보이용교육(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은 독서교육을 포함하며, 그것을 더욱 확장 발전시킨 개념이기 때문이다. 구성주의 학습원칙을 적용한 학교도서관의 독서교육은 학교교육과 학교도서관의 발전에 기여 할 것이다.

국가수준의 교육과정과 연계한 정보활용교육과 도서관활용수업의 제도화 (Institutionalization of Information Literacy Instruction and Library Assited Instruction Considering National Level Curriculum)

  • 이병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443-462
    • /
    • 2007
  • 본 연구는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에 정보활용교육을 위한 "도서관과 정보활용" 교과를 삽입하고, "도서관과 정보활동" 교과의 교육과정에 도서관활용수업 및 도서관협력수업에 관한 사항을 명시함으로써 정보활용교육과 도서관협력수업을 제도적으로 정착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제7차 교육과정의 교과별 교육과정에 맞춰 교과의 성격, 교과의 목표, 내용 체계, 교수-학습 방법, 평가 방법, 도서관협력체계 등 6개 항목으로 나누어 도서관협력수업을 포함한 "도서관 정보활용" 교과의 교육과정 시안을 제시하였다.

  • PDF

구성주의 교육방법의 구현요소로서의 학교도서관 활용수업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chool Library Assisted Instruction as a Practical Element of Constructivism)

  • 서진원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215-236
    • /
    • 2011
  • 구성주의교육은 현대지식기반 사회에서 학교교육의 중요한 목표이다. 구성주의는 학습자의 사회적 학교생활을 통해서 지식의 구성이 개인적, 주관적으로 이루어진다고 주장한다. 학습자의 창의성을 바탕으로 하는 지식의 개인적, 주관적 구성은 오늘날 학교교육의 목표를 학습자중심교육으로 발전시키고 있다. 본 연구는 구성주의교육의 원리와 특성을 규명하고, 구성주의교육의 구현요소로서 학교도서관활용수업의 개념과 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학교도서관활용수업은 최근 학교현장에서 관심을 받고 있으나 아직은 충분한 단계로 발전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학교도서관활용수업의 범위와 단계를 조사하고 구성주의교육에서 적용될 수 있는 일반적인 특징을 제시하고자 한다. 구성주의교육은 학습자의 실제적(authentic)경험과 체험을 중시하는 학습환경의 조성을 강조하며, 자료중심교육을 바탕으로 하는 토의학습, 문제 중심학습, 프로젝트학습 등의 학습방법이 효과적이다. 학교도서관은 학교의 정보자료센터로서 자료중심교육의 필수적 요소이며, 학교도서관활용수업은 가장 효과적인 자료중심교육의 방법이다.

사서교사의 정보활용능력이 도서관활용수업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eacher Librarian's Information Literacy on Library-Assisted Instruction)

  • 이승길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161-180
    • /
    • 2007
  • 본 연구는 사서교사의 정보활용능력이 도서관활용수업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 사서교사의 정보활용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 도서관활용수업과 사서교사의 정보활용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도서관활용수업에서 계획하기가 가장 부족했으며 정보활용능력에서는 정보검색이 가장 부족하다는 것을 밝혀내었다. 따라서 도서관활용수업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교과교사와 사서교사간의 협력을 강화하고 사서교사의 정보활용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하여 정보검색에 대한 체계적인 연수프로그램을 실시해야 한다.

사서교사와 국어교사의 협동수업이 중학생의 학습흥미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Collaborative Instruction Between a Teacher Librarian and a Korean Language Teacher on a Middle School Student's Learning Interest and Academic Achievement)

  • 기민진;송기호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123-142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사서교사의 정보활용교육용 교과서인 "도서관과 정보생활"과 중학교 1학년 국어교과를 협동수업을 통해서 운영하고, 협동수업이 학생들의 학습흥미와 학업성취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밝히는 것이다. 연구 결과 학교도서관의 자료를 기반으로 사서교사와 국어교사가 상호 협력하여 공동으로 수업을 계획하고, 전개하며, 평가하는 것은 학생들에게 국어교과에 대한 학습흥미를 촉진시킴으로써 학업성취도 측면에서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교 교육에서 정보활용교육을 활성화시키기 위해서는 협동수업을 실시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 단위 학교 수준에서는 도서관의 물리적 환경 개선과 충분한 기교재 확충이 필요하다. 또한 정보활용력에 대한 체계적인 지도와 자료 활용을 위한 충분한 수업시간을 확보할 수 있는 탄력형 시간표 편성이 이루어져야 한다.

사서교사의 도서관 협력수업 실행의도 영향요인 연구 (Factors Affecting Teacher Librarians' Intentions to Implement Collaborative Instruction in School Libraries)

  • 김승희;박지홍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121-142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계획행동이론을 적용하여 사서교사의 도서관 협력수업 실행의도를 설명하는 것이다. 사서교사의 도서관 협력수업 실행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태도, 주관적 규범, 교사효능감 및 지각된 통제가능성을 설정하고, 사서교사 218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연구모형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사서교사 연령이 30대인 경우, 근무학교의 규모가 작은 경우, 도서관 협력수업 경험이 있는 경우에 도서관 협력수업 실행의도가 높게 나타났다. 계획행동이론에 따른 변수 중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통제가능성은 사서교사의 도서관 협력수업 실행의도에 영향을 미쳤다. 반면에 교사효능감은 도서관 협력수업 실행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개방형 문항을 활용하여 통합적으로 연구결과를 해석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도서관 협력수업을 확대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학교도서관 교육 활성화 전략으로서 통합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연구 (Development of the Integrated Curriculum as the Activation Strategy of the School Library Instruction)

  • 송기호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87-116
    • /
    • 2007
  • 학교도서관 교육은 학생의 정보활용능력을 위한 도구교과 중 하나이다. 따라서 학교 교육과정과의 연계가 학교도서관 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중요한 전략이다. 학교도서관 통합 교육과정은 학교도서관 교육의 사고전략과 교과교육 과정의 학습주제를 통합한 것이다. 학교도서관 통합교육과정의 목적은 사서교사의 교육적 역할을 강화하고 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을 신장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연계와 협동 전략으로써 범교과 학습주제를 기반으로 10학년을 위한 통합교육과정 개발 사례를 제시하였다.

  • PDF

학교도서관 중심의 독서교육을 위한 독서전략 범주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ategorization of Reading Strategies for Reading Instruction in School Library)

  • 이병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139-159
    • /
    • 2008
  • 독서교육에 관한 최근의 연구에 의하면 독립적인 기능 중심의 교육보다는 독서전략을 중심으로 지도해야 한다는 주장이 폭넓게 수용되고 있다. 독서전략은 독자가 능숙하게 독서를 하는데 동원하거나 지도교사가 효과적인 독자가 될 수 있도록 지도하는 방법이나 의도적인 계획을 말한다. 그동안 학교도서관에서 제공하는 독서교육 프로그램은 독서촉진 혹은 행사에 치중해 왔다. 따라서 학교도서관에서 제공하는 독서교육은 독서촉진이나 행사보다는 독서전략 중심의 교육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텍스트 종류, 텍스트의 구조, 독서의 과정, 인지전략 등 4개의 요소로 구분하여 독서교육에 필요한 독서전략을 범주화하였다.

  • PDF

고등학교 도서관의 협력수업 사례에 관한 연구 - 중국어과 프로젝트 학습을 중심으로 - (A Case Study on the High School Library-Assisted Instruction: Focused on the Chinese Project Learning)

  • 이덕주;조미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31-251
    • /
    • 2012
  • 본 연구는 학교도서관에서 이루어지는 교과 협력 수업의 바람직한 학습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의도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인문계 S고등학교 도서관에서 이루어진 중국어과 프로젝트 협력수업을 중심으로 주제 선정 방침 및 선정된 주제 등 수업내용을 파악하고 학생의 보고서 사례를 제시하였다. 또한 중국어과 프로젝트 학습에 참여했던 고등학교 2학년 학생 117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지 조사를 통하여 주제에 대한 흥미, 학교도서관 협력 수업 과정에 대한 인식 및 학교도서관 협력 수업이 어떤 점에서 학생에게 도움이 되었는지를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학생들의 학교도서관 협력수업에 대한 만족도는 높은 편으로 나타났다.

초등학교 도서관교육과 그 과제 (School Library and Information Skills Instruction and the Task in Korean Primary School)

  • 유소영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35-55
    • /
    • 2002
  • 초등학교 도서관 교육이 학교교육 목적을 달성하는데 기여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창의성 함양에 초점을 둔 효율방법을 사용할 것이 요청된다. 그러한 교육방법은 The Big Six와 같은 학습모형의 이용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학습모형을 이용하여 학습하도록 하려면 도서실의 설치, 자료확보, 사서교사 채용, 학습모델을 이용한 정보기술교육의 교안개발 보급, 등 여러 가지 교육에 필요한 선결문제를 반드시 해결해야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