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http://dx.doi.org/10.14699/kbiblia.2012.23.3.231

A Case Study on the High School Library-Assisted Instruction: Focused on the Chinese Project Learning  

Lee, Deog-Ju (송곡여자고등학교)
Cho, Mi-Ah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사서교육전공)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v.23, no.3, 2012 , pp. 231-251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The present study was intended to present desirable directions of project learning of curriculum subjects utilizing school libraries. To this end, lesson contents including theme selection policies and selected themes were grasped centering on Chinese project learning conducted in the school library of S academic high school and examples of students' reports were presente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117 high school students in the second year who participated in the Chinese project class to analyze their interest in the themes, their perception of school library-assisted instructional processes and how the school library-assisted Instruction helped the students Also, this study analyzed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 of the help provided by the school library-assisted Instruction among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liberal arts, those in the department of natural sciences and those in the department of arts.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the students' satisfaction of the school library-assisted Instruction was high.
Keywords
Teacher Librarian; Chinese; Project Learning; School library; School Library Assisted Instruction; Team-Teaching;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송기호. 2012. 학교도서관 운영의 실제.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2 김연화. 2009. 중학교 과학수업에서 프로젝트 프로그램 적용이 학생들의 문제해결과 과학에 대한 태도 및 흥미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과학교육학과.
3 김연화, 최경희, 이향연. 2009. 중학교 과학수업에서 프로젝트 프로그램 적용이 학생들의 문제해결력과 과학에 대한 태도 및 흥미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 교과 교육연구, 9(3): 155-180.
4 김효경. 2005. 구성주의적 지리교육을 위한 학교도서관 활용 수업에 대한 연구: 중학교 지역지리 단원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지리교육 전공.
5 임유원. 2006. 수학 수업에서의 학교도서관 활용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시립대학교 교육대학원, 수학교육 전공.
6 임지숙. 2005. 학교도서관을 활용한 국어 수업 연구. 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국어교육 전공.
7 양소라. 2010. 메타분석과 실증연구를 통한 학교도서관 활용수업의 교육적 효과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8 윤희정. 2006. 웹기반 프로젝트 학습에서 학습의 실제성, 학습동기, 성취도와의 관계 규명.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교육공학과.
9 이순일. 2008. 학교도서관을 활용한 고등학교 국사 수업 연구. 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사서교육 전공.
10 이현주. 2008. 학교도서관을 활용한 중학생 진로교육 프로젝트 학습모형 연구. 석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사서교육 전공.
11 임현숙. 2005. 영어교과를 위한 도서관 활용수업 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프로젝트 학습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사서교육 전공.
12 정말희. 2006. 학교도서관을 활용한 도덕 교과의 자료기반학습 모형 연구.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사서교육 전공.
13 한겨레신문. 2012. 학교도서관에 사서교사를 허하라! 2012년 4월 16일.
14 한윤옥. 1995. 학교도서관의 협동교수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29: 257-279.
15 Helm, Judy Harris and Lilian G. KaTz. 2001. Young Investigators: The Project Approach in the Early Years. NY: Teachers's College Press.
16 Karz, Lilian G. and Sylvia C. Chard. 1989. Engaging Children's Mind: The Project Approach. NJ: Ables, 5-20.
17 Thomas, J.D. 2000. A Review of research on project based learning. San Rafael, CA: The Autodesk Foundation. [cited 2012.8.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