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Satisfaction with Learning

검색결과 1,340건 처리시간 0.029초

학습몰입, 학교몰입, 학교 지원의 만족도, 학습지속의향에 대한 예측력 검증 (Prediction of Learning Flow, School Flow and School Support on Satisfaction and Learning Persistence in Engineering College)

  • 주영주;정애경;최혜리
    • 전자공학회논문지 IE
    • /
    • 제49권1호
    • /
    • pp.30-38
    • /
    • 2012
  • 본 연구는 공학계열생들의 학습몰입, 학교몰입, 학교의 지원이 만족도와 학습지속의향 예측여부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만족도와 학습지속의향을 준거변수로 하는 가설적 모형을 설정하고, 국내 D 대학의 2010년 1학기 기초학습 능력강화 프로그램에 속한 공학계열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예측변수의 준거 변수에 대한 예측력을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학습몰입(${\beta}$= .22)과 학교몰입(${\beta}$= .20)은 만족도를 유의하게 예측하였으며, 학교몰입(${\beta}$= .32), 학교의 지원(${\beta}$= .23)과 만족도(${\beta}$= .22)는 학습지속의향을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마지막으로 만족도는 학습몰입과 학습지속의향, 학교몰입과 학습지속의향을 매개하는 변수임을 확인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는 학습몰입, 학교몰입, 학교의 지원 변수가 학습자들의 만족도, 학습지속의향 향상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변수임을 시사하며, 특히 만족도는 학습지속의향을 높이는데 매개역할을 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이에 본 연구는 공학계열생들의 성공적인 교육을 위한 학습전략을 제공하는데 있어서 기초적인 토대를 제공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고위험 신생아간호 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학생의 수업만족도, 수업참여도, 학습동기 및 임상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 Simulation-based High-risk neonatal Care Education on Learning Satisfaction, Class Participation, Learning Motivation and Clinical Competency in Nursing Students)

  • 김순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0호
    • /
    • pp.6807-6815
    • /
    • 2015
  • 본 연구는 고위험 신생아간호 시뮬레이션 교육을 적용하기 전과 후의 간호대학생의 수업만족도, 수업참여도, 학습동기 및 임상수행능력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한 연구이다. 단일군 전후설계 연구로, 간호대학생 118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사전 조사를 실시한 후 고위험 신생아간호 시뮬레이션 교육은 오리엔테이션 40분, 실습준비 40분, 시뮬레이션실습 160분, 디브리핑 160분, 상황 자율실습 180분, 시뮬레이션실습 평가 2회로 진행되었고 이후 사후조사가 실시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7.0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paired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고위험 신생아간호 시뮬레이션 교육 전 후의 수업만족도, 수업참여도, 학습동기 및 임상수행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상자의 수업참여도는 수업만족도와, 학습동기는 수업만족도 및 수업참여도와, 임상수행능력은 수업만족도, 수업참여도 및 학습동기와 각각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고위험 신생아간호 시뮬레이션 교육이 간호학생의 수업만족도, 수업참여도, 학습동기 및 임상수행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임을 확인하였다.

노인간호 가상 시뮬레이션 교육에서 몰입경험, 학습역량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Flow Experience and Learning Competency on Learning Satisfaction in Gerontological Nursing Virtual Simulation Education)

  • 권영숙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82-192
    • /
    • 2022
  • 본 연구는 가상 시뮬레이션기반 노인간호 실습교육 실시 후 간호대학생의 몰입경험과 학습역량이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간호대학 학생 72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자료수집은 2021년 4월 2일부터 5월 7일까지 온라인 설문을 통해 수행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WIN 24.0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상관관계 및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가상 시뮬레이션 교육 후 간호대학생의 학습만족도는 몰입경험(r=.656, p<.001), 학습역량(r=.672, p<.001)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학습만족도에 가장 영향력이 있는 요인은 학습역량(𝛽=.459, p<.001), 몰입경험(𝛽=.413, p<.001)으로 나타났으며 모형의 설명력은 60.9%이었다. 그러므로 가상 시뮬레이션 교육 후 학습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실습에 대한 몰입을 촉진하고 개개인의 학습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들을 개발할 것을 제언한다.

온라인 학습환경에서 의과대학생의 일반적 특성, 학습몰입, 자기주도성, 학습만족도간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Characteristics, Learning Flow, Self-Directedness and Learner Satisfaction of Medical Students in Online Learning Environment)

  • 전성주;유효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8호
    • /
    • pp.65-74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의과대학생을 대상으로 온라인 학습환경에서 학습자의 일반적 특성과 학습자 관련 변인인 학습몰입, 자기주도성, 학습만족도간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효과적인 온라인 교수학습 방안을 탐색하고 학습 만족도 향상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C지역의 의과대학 의예과 1, 2학년과 의학과 1, 2학년 총 473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자기보고식 설문형식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 학습집중시간은 31-40분이(38.9%) 가장 높았고, 규칙적으로 학습하는 학습자가(65.5%) 비규칙적으로 학습하는 학습자보다(34.5%) 많았으며, 학년이 높을수록 규칙적으로 학습하는 학습자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학습몰입은 평균 4.03(±0.86), 자기주도성은 평균 4.49(±0.97), 학습만족도는 평균 4.38(±1.01)이었다. 학년, 학습집중시간, 학습규칙성에 따라 학습몰입, 자기주도성, 학습만족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학습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년, 학습몰입, 자기주도성이었으며, 설명력은 72.5%였다. 본 연구는 온라인 학습환경에서 의과대학생들의 학습만족도와 관계가 있는 변인들을 확인함으로써 의과대학의 온라인 학습환경 활용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였고, 학습만족도 향상을 위한 온라인 학습관리체제 구축 등에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표준화 환자를 활용한 간호학생의 당뇨식이교육 수행능력과 자기효능, 의사소통, 학습만족도 및 간호전문직관의 상관관계 (The Relationship among Clinical Competence on Diabetic Diet Education Using Standardized Patients, Self-efficacy, Communication, Learning Satisfaction, and Professional Values of Nursing Students)

  • 현경선;정연희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21-228
    • /
    • 201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clinical competence of diabetic diet education on standardized patients, self-efficacy, communication skill, learning satisfaction, and professional values of nursing students. Methods: The present study was a descriptive research. The participants were 144 junior nursing students in a university. The clinical competence on diabetic diet education was assessed by trained evaluators when nursing students performed diabetic diet education using the standardized patients. The students' self-efficacy, communication skill, professional values, and learning satisfaction were measured by themselves using the questionnaires. Results: The clinical competence on diabetic diet education showed positive correlations with communication skill and learning satisfaction, while the competence was not correlated to self-efficacy and professional values.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clinical competence on diabetic diet education may be more related to communication skills and learning satisfaction than self-efficacy and professional values. Promoting communication skills and learning satisfaction using a standardized patient may increase nursing students' competence on diabetic diet education.

간호대학 수업에서 혼합학습을 활용한 문제중심학습 설계 및 운영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the Design and Operation of PBL by Employing Blended Learning on Instruction in a Nursing College)

  • 최은영;이우숙
    • 동서간호학연구지
    • /
    • 제16권2호
    • /
    • pp.96-104
    • /
    • 2010
  • Purpose: This research is a case study on a problem-based learning (PBL) model with blended learning in a nursing college. Methods: The target students were nursing sophomores in a nursing college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a blended learning course and to be subjects in this study for 15 weeks. The questionnaires developed by Baek (2003) and Lee (2007) were modified and applied to collect data. Results: The students' satisfaction with the blending learning was the highest in the item "Online community activities were helpful in enhancing knowledge."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PBL was the highest in the item "It was helpful to listen my classmates' opinions rather than thinking all by myself." Conclusion: This study is suggestive that blended learning is effective to improve learning satisfaction by reinforcing practicality of face-to-face study to online learning. Various learning methods based on students' demands and preferences should be applied in nursing education.

생태학습장 이용객의 지각된 성과에 의한 만족도 연구 (A Study on User Satisfaction by Perceived Performance of Ecological Learning Center)

  • 박청인;김종해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9권8호
    • /
    • pp.1057-1066
    • /
    • 2010
  • An ecological learning center is defined as a place which can establish the correct relationship between human and environment. Human can learn ecosystem and importance of environment throughout observation of nature and participation in program of ecological learning center. The most important aspects of ecological learning center planning are to reflect on user's demand and preservation of ecosystem. The prime goals of this study is to analyze user's characteristics in the Young Wheol Mulmurigol Ecological Learning Center. The second goal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satisfaction model based on user's perceived performance of each program and facility in the center. For this study, questionnaire survey with 204 individuals was completed. The data from the questionnaire were analyzed statistical method by SPSS. There are several significant results from the study as following First, this ecological learning center as a newly operating facility is used not for educational purpose but for resting and relaxation purpose. It is due to that the most of users in this center are package tourists with historic scenes. Second, user's perceived performance evaluated by 23 attributions of programs and facilities, and these attributions could be classified by 5 factors such as environment friendly design, educational function, preservation of environment, provision of various bio-top and provision of resting area. Third, the user satisfaction model indicates that user satisfaction is depended on various factors such as preservation of environment, provision of various bio-top, provision of resting area. Among these factor affecting the satisfaction, provision of various bio-top is the most influence on user satisfaction.

간호대학생의 플립러닝 학습이 학습태도, 자아존중감,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lipped learning on the Learning Attitude, Self-esteem, Lesson Satisfaction for Nursing Students of the University)

  • 김진;차남현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3호
    • /
    • pp.9-14
    • /
    • 2022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에게 플립러닝 학습이 학습태도, 자아존중감,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시행하였다.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은 2021년 9월 1일부터 12월 30일까지 A 시의 대학생 38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연구설계는 단일집단 사전-사후설계이다. 사전과 사후조사에서 학습태도, 자아존중감, 수업 만족도를 조사하였고 실험처치로 플립러닝 강의를 실험군에게 적용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 27.0 버전을 사용하였고 실험 전과 후의 효과 검정은Paired T-test를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학습태도는 자아존중감과 수업만족도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플립러닝 교육방법은 학습태도(t=-4.01, p<.01)와 자아존중감(t=-3.53, p<.001), 수업만족도(t=-4.20, p<.001)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Mediation Effects of Learning Attitude in the Influence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Collaborative Skill to Education Satisfaction in SW Educatio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A City

  • Choi, Myoung-sook;Kang, Donghee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7권9호
    • /
    • pp.287-294
    • /
    • 2022
  • 본 연구는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SW교육에서 자기주도학습능력 및 협업능력이 학습태도를 매개로 교육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A광역시에 소재한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321명의 응답을 분석하였으며,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과 학습태도가 여학생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고등학생이 중학생보다 모든 변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다. 둘째, 학습태도는 자기주도학습능력이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효과에서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태도는 협업능력이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효과에서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SW교육에서 성별과 학교급에 따른 SW교육의 전략이 차별화되어 야 하고 이상의 세 변인들을 촉진시킬 수 있는 수업설계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액티브 러닝 학습방법을 활용한 심전도 개론 및 실습 교과과정의 학습효과와 만족도 조사 (Outcomes of active learning methods in an electrocardiography course; identifying the effects of flipped, case-based, and team-based learning)

  • 김철태;김정선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61-73
    • /
    • 2019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troduce active learning methods, including flipped, case-based, and team-based learning in an electrocardiography (ECG) course and to investigate outcomes and satisfaction with these methods. Methods: To identify the learning effect of active learning, pre-and post-academic self-efficacy was compared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In the experimental group, pre-and post-knowledge and clinical performance regarding ECG were also assessed. In addition, class satisfaction was investigated after application of active learning methods in the experimental group. Data were collected from 84 paramedic students and analyzed using SPSS 22.0 (IBM, Armonk, NY, USA). Result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post-academic self-efficacy and knowledge. The experimental group also showed high clinical performance (9.83 out of 10 in ECG checking ability and 9.63 out of 10 in ECG reading ability). The mean satisfaction score was 4.23 out of 5 (responses based on a Likert scale) in the experimental group. Conclusion: Active learning in an ECG course was found to be highly effective and satisfactory. Furthermore, paramedic students can enhance their accountability and judgement with team-based learning through free engagement in discussion.